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8653633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흐름과 구성
제2장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에 대한 이론적ㆍ개념적 논의
제1절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에 대한 개념적 정의
1. 「지역공동체」의 개념
2. 「지역공동체 발전」의 개념
3.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에 대한 개념
제2절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
1. 지역공동체 발전의 패러다임 변화
2. 우리나라의 지역공동체 발전 패러다임 변화
3.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의 필요성 대두
4.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의 기제와 요인
제3절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 정책 및 제도적 논의
1. 한국의 관련정책 및 제도적 변화
2. 해외의 관련정책 및 제도적 논의
제4절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에 관한 경험적 논의
1. 경험적 선행연구
2.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에 관한 성공요인
제3장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사례 심층분석
제1절 지역공동체 사례분석 개요
제2절 심층적 지역공동체 사례분석
제3절 지역공동체 사례의 특성요인 분석 및 시사점
제4장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사례 추진현황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 기초 추진현황 및 만족도 조사
2. 요인별 기여도 분석결과
제3절 지역공동체 형성 요인적 경로분석
1. 모형 설정
2. 변수 생성 및 추출
3. 분석 절차 및 방법
4. 영향구조 분석
5. 영향구조 분석 결과
제4절 지역공동체 형성에 대한 구조적 분석
1. 모형 개요 및 설정
2. 영향구조 설정 및 분석
제5장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의 동태성 및 중장기 전략
제1절 개요 및 분석방법론
제2절 마을공동체 주도의 발전과정에 대한 동태적 이해
1. 마을공동체 현안문제와 협력과정
2. 마을공동체 비전과 목표공유에 기반한 성과창출
제3절 마을공동체 주도의 발전모형과 중장기 발전전략
제6장 지역공동체 주도적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
제1절 마을(공동체) 만들기 관련 조례
1.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 현황
2. 광역자치단체
3. 특ㆍ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4. 도의 기초자치단체
5. 광역자치단체 조례비교
6. 기초자치단체 조례비교
7. 광역자치단체 조례제정안
8. 기초자치단체 조례제정안
제2절 협동조합과 지역공동체 활성화
1. 협동조합의 개요
2. 협동조합기본법 주요내용
3. 협동조합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강화
제3절 지역공동체 지원 정책추진 방안
1. 기존 한계 및 방향
2. 지역공동체 지원 기본원칙 및 방향
3. 제도적 정책추진 방안
4. 지역공동체 활성화 관련 법률 및 조례제정 추진
5. 중간지원조직 설립 및 운영
6. 중앙과 광역시도 및 시군 마을단위 중간지원조직
7. 공동체 조성기금 설치 및 운용
제7장 결 론
제1절 연구내용 요약
1. 연구목적 및 개념적 접근
2. 설문조사 및 요인검증
3. 중장기 추진전략 및 정책제언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참고문현]
Abstract
[부록]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