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79402216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1-06-10
책 소개
목차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의 이론적 배경(최몽룡·김경택)
1. 서언
2. 한국 고대사에 있어 복합사회에 관한 논의
3. 결언 : 한국상고사와 봅합사회에 대한 이해
우리 전통사학의 고조선사 인식(박경철)
서
1. 고조선사 인식의 형성
2. 고조선사 인식의 전개
3. 고조선사 인식의 심화
4. 새로운 고조선사 인식지평의 토대와 인식수준의 고양을 전망하며
결어
한국 고대의 천신관(최광식)
머리말
1. 초기국가의 천신관
2. 삼국시기의 천신관
3. 남북국 시기의 천신관
맺음말
한국 고대의 지모신 신앙(장지훈)
1. 서론
2. 한국 지모신 신앙의 기원
3. 한국 지모신 신앙의 성격과 구조
4. 결론
삼국시대 조상신 관념의 형성과 그 특징(박현숙)
머리말
1. 조상신 관념의 형성
2. 국가 제사와 조상신
3. 조상신 관념의 특징
맺음말
<삼국사기>를 통해 본 삼국시대의 천문관(정운용)
1. 서언
2. <삼국사기> 천문관계 기사의 검토
3. <삼국사기> 천문관계 기사의 의미
4. 삼국시대 천문관
5. 결어
고대 한국 면의 기원과 발달(박선희)
1. 서론
2. 면의 기원
3. 면의 특성
4. 면의 발달
5. 결론
<일본서기>에 나타난 고구려 기사에 대하여(최재석)
머리말
1. <일본서기>의 고구려 묘사
2. 668년 이전 대화왜 파견 고구려사인 기사
3. 668년 이후 대화왜(일본)파견 고구려사인 기사
4. 고구려파견 대화왜(일본) 사인 기사
맺는말
고구려 지모신신앙과 모처제(한영화)
1. 머리말
2. 지모신신앙의 존재형태
3. 모처제의 유제
4. 맺음말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마한」에 관한 일고찰(박대재)
1. 머리말
2. '북마한설'에 대한 재검토
3. 전통사학의 마한에 대한 인식
4. 고구려 영내 마한의 유래와 존재
5. 맺음말
강화지역의 해양방어체제 연구(윤명철)
1. 서론
2. 해양방어체제의 성격
3. 강화지역의 해양환경과 역사적 상황
4. 봉천산 지역의 해양전략적 가치
5. 결론
백제 평기와 한 유형에 관한 소고(최맹식)
1. 머리말
2. 유적별 기와 검토
3. 기와 내면 승석문(노문)에 관한 검토
4. 맺는말
익산 왕궁리유적의 성격에 대한 시론(지병목)
머리말
1. 왕궁리유적의 지정학적 위치와 조사경과
2. 왕궁리유적 성곽유구의 발굴 성과
3. 성곽유구의 특징과 그 제체세력에 대하여
맺음말
남북국시대 신라 황해경영의 기반(권덕영)
1. 머리말
2. 제도의 정비
3. 수군의 증강
4. 조선술의 발달
5. 신항로의 개척
6. 맺음말
신라촌락문서에 보이는 내시령의 성격(박명조)
머리말
1. 신라촌락문서의 기재양식과 성격
2. 신라통일기의 지방통치와 촌
3. 내시령과 촌락지배
맺음말
최치원 시무책의 건의 배경에 대한 고찰(최영성)
1. 머리말
2. 현실인식과 개혁의지
3. 시무책의 건의와 구시정신
4. 맺음말
고운 최치원의 서체연구(손환일)
1. 머리말
2. 문화적 배경
3. 쌍계사 진감단사비의 서체분석
4. 맺는말
신라하대 효공왕의 즉위와 비진골왕의 왕위계승(김창겸)
1. 머리말
2. 비진골왕 출현의 전조
3. 효공왕의 즉위와 신분
4. 비진골 왕위계승의 추이
5. 맺음말
신라하대 진의 재검토(윤재운)
머리말
1. 신라하대 진의 설치
2. 신라하대 진의 구조
3. 신라하대 진의 성격변화
맺음말
발해의 무기에 대하여(방학봉)
1. 병기가 출토된 유적과 유물
2. 발해의 무기
3. 발해무기의 특징
후백제 견훤의 역사계승인식(조법종)
서론
1. 후삼국 시기 역사계승인식의 내용
2. 후삼국 시기 마한계승인식의 특성
결론
역사적으로 본 조령로와 충주(최대성)
1. 머리말
2. 초점과 조령
3. 조령의 형세
4. 조령로의 역할
5. 충주와 조령
신라는 왜 멸망하였는가(최근영)
1. 머리말
2. 원인적 조건
3. 근인적 요인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