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79403169
· 쪽수 : 918쪽
· 출판일 : 2001-06-10
책 소개
목차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편찬, <교장> 간행의 문화사적 의미(박노자)
고려시대 남경 설치배경에 대한 재검토(최혜숙)
1. 서언
2. 남경의 명칭변천
3. 남경의 설치배경
4. 문종대 남경설치
5. 숙종대 남경의 재건
6. 결어
고려 「도영」에 관한 재검토(박옥걸)
서
1. 도영 호칭의 유래와 성격
2. 도영의 사례와 실태
3. 도영과 도영제의 문제
결어
고려 인종대 서경민의 항쟁과 서경세력의 분화(강옥엽)
1. 머리말
2. 서경민 항쟁의 실상과 그 전개과정
3. 항쟁 후 성경파의 향방
4. 맺음말
고려시대 농업생산력 연구사 검토(권영국)
1. 머리말
2. 노동수단
3. 노동대상
4. 맺음말
고려시대 공장의 신분(김난옥)
1. 머리말
2. 공장의 범주
3. 공장의 권리에 대한 법적 제한
4. 공장의 신분적 위상
5. 맺음말
고려 남반직의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최규성)
서론
1. 남반제의 실시와 그 소속기구
2. 남반·내료 및 내시의 성격분석
3. 남반의 출신성분
결론
내포지방의 매향비(오윤희)
1. 서
2. 내포지방의 매향비
3. 매향동기와 최초의 매향지 진감선사
조선시대 봉수군 신분과 생활(방상현)
1. 서론
2. 천감산 봉수대
3. 봉수군의 군역
4. 봉수군 신분과 경제생활
5. 결론
채무일의 생애와 예술(문덕식)
머리말
1. 채무일
2. 유묵
맺음말
'조보'의 발행과 그 성격(김경주)
1. 머리말
2. 조보의 기원과 형태
3. 조보의 사례 분석
4. 맺음말 - 조보의 성격
조선 중기 경주 지역의 효자·열녀(박주)
1. 머리말
2. 경주 <동경잡기>의 편찬
3. <동경잡기>에 나타난 효자·열녀
4. 맺음말
중종∼명종조의 관학교육진흥책(신해형)
1. 머리말
2. 반정공신계 훈구대신의 정치주도시기
3. 비공신계 훈구대신과 사림파 관료의 정치주도시기
4. 훈척계 대신의 정치주도시기
5. 맺음말
네덜란드인 조선표착에 관한 재고찰(신동규)
1. 머리말
2. 박연의 표착선
3. 박연의 표착지와 표착년
4. 하멜의 표착지와 이동경로
5. 맺음말
조·일간 공무역 : 서계별복(1614∼99)의 분석(정성일)
1. 머리말
2. 별복의 개념·종류·형식
3. 별복의 교환과 무역 규모
4. 맺음말
한일선린외교와 조선통신사(이원식)
1. 서언
2. 선린외교의 유래
3. 교린관계의 복구
4. 국서의 개찬
5. 통신사의 내빙
6. 통신사 연구의 현황
7. 결언
17세기, 야소종문에 대한 조선의 인식과 대응(손승철)
1. 문제제기
2. 피랍조서인과 일본천주교회
3. 1644년 야소종문포송 요청
4. 1653년 하멜표류와 사소종문
5. 1686년 도주청포송양선척서와 호칭문제
1804년 이달우가사사건에 관한 연구(이상배)
1. 서언
2. 조선후기 가사사건의 개요
3. 이달우가사사건
19세기 논산지방 유림의 서원활동과 학계설치(이정우)
1. 머리말
2. 19세기 전반 서원의 재정비와 향촌활동 전개
3. 19세기 후반 유림의 학교활동과 학계설치의 성격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