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966230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2-10-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1999년판 지은이 머리말
1장 마르크스의 경제위기론과 그에 대한 비판
이윤율 저하 경향
법칙 자체
마르크스 사후 한 세기 동안의 이윤율 저하 경향
기술 진보의 효과
생산성과 생산수단의 비용
착취 증대와 이윤율
개개 자본의 이윤율과 체제 전체의 이윤율
경제 위기와 자본 가치의 저하
경제 위기를 통한 구조조정과 체제의 노화 현상
제국주의와 전쟁
비생산적 소비와 이윤율
노화하는 자본주의, 비생산적 지출, 경쟁의 새로운 양상
경쟁의 여러 차원들과 이윤율 저하
결론
2장 1930년대의 대불황
첫 국면: 고전적 자본주의
독점기업들과 제국주의
1930년대의 경제 위기
1930년대: 독점자본주의에서 국가자본주의로
불황에서 전쟁으로
국가자본주의와 전면전의 경제학
3장 국가자본주의, 군비 경제, 오늘날 경제 위기
군비, 이윤, 대호황
이론과 현실
군비, 국가, 제국주의
모순 ① 일국적 자본들과 국제적 생산
모순 ② 비군사적 국가자본주의들의 성장
새로운 경제 위기 시대
대호황기의 노동력: 복지국가, 가족, 이민
자본의 집중과 국가의 구실
낭비
새로운 금융 자본과 경제 위기
새로운 경제 위기 시대
부록 ─ 다른 경제위기론들
① 임금이 경제 위기의 원인이라는 주장
② 정부 지출이 경제 위기의 원인이라는 주장
③ ‘장기파동’ 이론
④ 헤게모니 위기?
⑤ 원료 위기?
⑥ 제도적 위기 이론
⑦ 독점과 경기 부진 이론들
후주
용어 해설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100년도 더 전에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모순 위에 구축된 체제라는 것을 보여 줬다.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설명에서 핵심인 이윤율 저하 경향
마르크스에 따르면, 자본주의가 성장함에 따라 이윤율, 즉 자본 투자에 대한 이윤의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자본주의가 생산력을 발전시키는 방식, 즉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이 이뤄지는 방식의 직접적 결과다. 마르크스는 자신보다 앞선 세대의 경제학자들이 이윤율 저하를 알아챘을 때 두려움을 느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왜냐하면 이윤율 저하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단지 역사적이고 일시적인 생산양식일 뿐이라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며,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특정 단계에서 더 이상의 발전과 충돌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윤율 저하는 "자본주의 생산의 진정한 장애물은 자본 자체"라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이윤율 저하 '법칙'이 존재한다는 주장은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설명에서 단지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었다. 이 법칙은 자본주의가 결국 실패하기 마련인 체제라는 마르크스 주장의 핵심이었다.
임금 인상이 경제 위기의 원인인가?
경제 위기를 가장 단순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임금 인상이 이윤을 줄인 탓에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주장은 (거대한 미국 경제를 비롯한) 서방세계의 두 경제만 봐도 현실에 들어맞지 않는다. 영국의 국민소득 가운데 모든 기업이 차지하는 몫(세금 공제 후)은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전혀 감소하지 않았다. (백번 양보해서)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임금 인상 때문에 기업의 생산량과 국민소득 중 '이윤 몫'이 줄었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문제가 왜 호황 초기에는 발생하지 않다가 이때 발생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체제가 그 전에는 실질임금 상승을 감당할 수 있었지만, 더는 그럴 수 없게 됐다는 것 말고 다른 설명은 불가능하다. 여기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은 실질임금 상승이 경제 위기를 낳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경제 위기 때문에 실질임금 상승이 이윤을 감소시키게 됐다는 것이다. '이윤 몫 감소'는 경제 위기의 산물이지 원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