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80210411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05-12-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대상
3 연구 보고서의 구성
Ⅱ 영화산업 전문인력 직무분석
1 영화 산업 전문인력 직무수행 방식의 특성:프로젝트 방식
2 직무분석 개요
가. 기존 연구 고찰 및 직무분석틀
나. 조사 목적 및 조사 개요
다. 직군 및 직급 구분
라. 영화 제작구조도
3 개발 및 전반제작 직군 직무분석
가. 투자 소직군
나. 제작 소직군
다. 각본연출 소직군
라. 연기 소직군
4 주요제작 직군 직무분석
가. 미술 소직군
나. 촬영조명 소직군
다. 음향 소직군
라. 특수효과 소직군
5 후반제작 직군 직무분석
6 기타 직무분석
7 주요 소직군의 경력경로
8 교육 훈련의 기본방향
가. 직무 내 전문성 강화 교육
나. 직무 외 교육 훈련 강화
Ⅲ 영화산업 전문인력 실태
1 '영화산업인력 직무 및 근로실태 조사'개요
가. 조사 개요
나. 조사 사항
다. 표본 특성
2 영화산업 전문인력 경력 형성과정
가. 직군와 직급
나. 영화산업 진입과정
다. 직무 이동
라. 최종 희망직무
3 영화산업 전문인력에 대한 교육과 훈련
가. 유용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나. 교육 훈련 수요
다. 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교육 내용
4 영화산업 전문인력 근로 조건 실태
가. 임금
나. 사회보험과 부가급부
다. 일자리 만족도
라. 이직성향
5 영화산업과 영화산업인력 전망
가. 영화산업 전망
나. 영화산업인력 전망
6 보론:영화산업 전문인력의 근로자성
제1절 근로자성 여부 판단기준
제2절 근로자성 여부 판단기준과 관련된 실태
제3절 영화산업 전문인력 근로자성 여부
부표
IV. 영화산업 전문인력 정책 지원 방향
1 영화산업 전문인력 형성과 산업발전 간 악순환구조
2 영화산업 전문인력 형성과 산업발전 간 선순환구조
3 직종별, 직급별 인력구분과 근로 조건 개선 및 제작과정 합리성 제고
4 인력 구분에 따른 전문화되고 상이한 교육 훈련
5 순환 구조 정착을 위한 재정·세제 지원 방안
가. 영화진흥기금 설치
나. 세제지원 방안
참고문헌
부록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