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종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정책평가연구원장
1959년 대구 출생. 경제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평생을 바친 한국의 대표적인 경제학자다. 계성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대우경제연구소와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 서울시립대와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재정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교수 시절에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함께하는시민행동,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시민단체에서 활동했고, 공기업개혁시민연대(공개련)를 만들어 공공 개혁을 위한 시민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2012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새누리당 비대위원장 취임 당시, 그는 새누리당에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새로운 정강정책과 경제민주화 및 맞춤형 복지 도입을 주도했다. 선거 때마다 나오는 포퓰리즘의 근본적 차단을 위해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선 ‘공약가계부’를 공약화하기도 했다. 지금의 한국 경제와 사회의 기반이 된 금융실명제, 금융소득종합과세, 근로장려세제 등 주요 정책 수립에 깊이 관여했다.
19대 국회의원이 되면서 박근혜 대선후보의 공약・정책・메시지를 총괄하였고, 대선 후에는 공약실천을 위한 국정과제를 만들고, 각종 개혁법안을 처리하는 데 주력했다. 2014년부터 청와대 경제수석·정책조정수석으로서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했다. 특히,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규제프리존특별법 입안과 기업 활력법 추진 등 경제 정책 및 공공개혁, 연금개혁, 맞춤형 복지, 원격의료 등 여러 정책에 기여했다.
현재는 ‘정책은 평가가 중요하다’는 소신으로 2022년 5월 출범한 정책평가연구원에서 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 저서
『근로자와 서민을 위한 세제개혁』, 『재정포퓰리즘과 재정개혁』(공저), 『자본주의 대토론』(공저), 『건강한 복지를 꿈꾼다』(공저), 『Income Inequality in Korea』(공저), 『안종범 수첩』, 『수첩 속의 정책』, 『정치에 속고 세금에 울고』(공저), 『정책평가개혁론: 바른 정책은 바른 평가에서』, 『G3 대한민국: K-국부론에서 길을 찾다』
펼치기
양원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산업연구원과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쳐, IMF 위기 직후 재정경제부 장관 자문관으로 근무했으며 예금보험공사에서 구조조정 업무를 담당했고, 우리금융지주 설립을 주도했다.
IMF 위기가 수습된 후에는 은행에서 근무했다. 기업은행 연구소 초빙연구위원, 우리은행 상근감사, KB금융지주 부사장 겸 경영연구소장 등 직책을 맡아 여러 은행경영에 직접 참여했다. 현재는 2015년 3월부터 하나금융지주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필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 제물포 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 공과대학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컬럼비아 대학에서 경영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1982~)와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원장을 거쳐 고려대 제16대 총장을 지냈습니다. 고려대 퇴임(2013.3) 후 현재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로 재직하며 강의하고 있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연구위원장과 경제정의연구소장을 맡아 정부정책 비판과 제안, 국회의정감시와 입법청원, 금융실명제실시, 중앙은행독립 등의 시민운동을 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상임대표를 맡아 정부의 예산감시운동을 벌이며 예산낭비를 하는 기관이나 단체에게 “밑 빠진 독 상”을 수여했습니다.
시민사회단체의 연합단체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의 공동대표로 활동했습니다. 제7대 유한재단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백범상(백범정신실천상)’ 심사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금융경제학> <재무론> <재무관리> 등이 있습니다.
*저자가 속한 분야 : 교육자/교수 〉 경제.금융전문가
펼치기
이영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노사관계·인사관리Industrial Relations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 정책심의회·정책자문위원회 위원이며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이다. 한국경영학회 제65대 회장이며 한국인사조직학회장과 한국윤리경영학회장, 산업관계연구·인사조직연구·윤리경영연구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박정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신문기자로 오랫동안 일했으며 현재 경제 칼럼니스트 겸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필립 피셔와 존 템플턴, 제시 리버모어, 윌리엄 오닐, 짐 로저스의 저작을 우리말로 처음 옮겼으며, 투자 분야의 고전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애쓰고 있다. 저서로 《찰스 다우 연구》와 《월가의 지혜 투자의 격언 365》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존 템플턴의 영혼이 있는 투자》와 《대공황의 세계 1929~1939》를 비롯해 3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이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안건회계법인에 근무하고 있으며, '함께하는 시민행동' 예산감시위원회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방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생활경제연구소장.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으며 오랫동안 경제부 기자로 활동했다. 대중 경제 방송의 원조로서 1998년 외환위기 직후 MBC <손에 잡히는 경제, 김방희입니다>를 필두로, KBS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를 진행하며 출근길 시민들의 생활경제 감각을 일깨우는 데 기여했다.
최근에는 <김방희TV>를 운영하며 사업과 투자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 ‘더 넓고 깊은 경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또한 현대 경제학이나 경영학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들을 연구하는 데 몰두하고 있는데, 그 첫 성과가 『환상 상품』이다. 이 책은 경제학 법칙 너머에 있는 상품 설계와 성공 법칙을 폭넓은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어 스타트업과 마케팅에서 성공을 원하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통찰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펼치기
이희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 히토츠바시(一橋)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국제금융센터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동노 (옮긴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Chicago 사회학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역사사회학, 사회사상, 사회운동 전공
·『근대와 식민의 서곡』외 다수의 저작
펼치기
박태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겨레신문사 기자, 인티즌(Intizen) 대표를 역임하였고, 현재 안철수 연구소 자문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주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