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80210800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0-05-30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Ⅱ. 저예산 영화 산업 분석
1. 한국 저예산 영화의 기준
2. 저예산 영화의 역할
3. 한국 저예산 영화 제작 현황 개요
4. 저예산 영화의 산업 구조
1) 투자
2) 제작
3) 배급
4) 상영
5. 저예산 영화의 가치사슬 변화
Ⅲ.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저예산 영화 사례 분석
1. 유형 1: 기본형 가치사슬 구조에 따른 저예산 영화
1) 대기업, 금융자본 투자의 저예산 영화
2) 정부 및 기관의 제작 지원을 받은 저예산 영화
2. 유형 2: 가치사슬 구조로 본 저예산 독립 영화 연구
1) 저예산 영화 전문 배급사: 영화사 진진
2) 새로운 배급 전략: <우리 학교>
3) 저예산 영화 노하우의 집결: <워낭소리>
3. 유형 3: 변화하는 저예산 영화의 가치사슬 구조
1) 전문 배급사에서 투자, 제작으로 확장: 인디스토리
2) 온·오프라인 동시 개봉: <슬리핑 뷰티>
3) 저예산 영화 전문 온라인 배급: 인디플러그
4. 유형 4: 수직통합형 가치사슬 구조
1) TV 영화: <어느 날 갑자기>
5. 저예산 영화들의 사례 연구를 통한 결과
Ⅳ. 해외 저예산 영화 산업과 국내 인디음악 산업 사례 분석
1. 해외 저예산 영화 산업 사례 분석
1) 프랑스
2) 미국
3) 영국
4) 일본
5) 멕시코
2. 국내 인디음악 시장 사례 분석
Ⅴ. 한국 저예산 영화의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전략
1. 기획력의 확장, 전문 기획 인력 지원
1) 저예산 영화에 대한 기획비 지원 제도 확장
2) 저예산 영화 기획, 마케팅, 배급 교육 및 인프라 구축
3) 저예산 영화 전문 기획 인력 지원
2. 제작비의 정책적 지원, 제작 환경개선
1) 저예산 영화의 안정적인 제작 지원 제도 구축
2) 저예산 스태프 인건비 지원 방안 모색
3) 제작사, 투자사에 대한 세제 혜택
3. 수익 창출을 위한 수익 다각화
1) 저예산 영화의 글로벌화
2) 부가판권 시장 활성화
4. 배급 및 마케팅 전략과 지원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2002년∼2009년 저예산 영화 리스트
2. 인터뷰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