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218113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8-04-15
책 소개
목차
서문
1. 시민 민주주의와 권력 박탈
조직의 권력 | 경제적인 권력 박탈 | 정치적인 권력 박탈 | 권력 박탈의 한계 | 권력 박탈을 실감하는가 | 여론조사 결과의 맥락 | 세계를 향한 불신 | 권력 박탈 : 국민은 무엇을 하는가
2. 저널리즘이 당면한 문제들
통제권의 상실과 지위의 하락 | 예상된 결과들 | 뉴스 청중 감소로 인한 권력 박탈 | 청중의 불만에 의한 권력 박탈 | 저널리스트들의 대응 | 대응 방법의 한계
3. 저널리즘의 관행과 문제점
외부 유입 뉴스와 하향식 뉴스 | 뉴스의 대량 생산 | 데이터 변형 : 수동성, 뉴스 적합성, 대리인 | 민주주의에 관한 저널리즘 이론과 그 결함 | 다운플레잉 이코노미 | 저널리즘의 한계와 그 민주주의적 함의
4. 뉴스 효과의 문제
뉴스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기관이나 사회를 향한 뉴스 효과 | 장기적 효과의 가능성 | 저널리스트는 민주주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 뉴스,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용자 친화적 뉴스 | 전국 뉴스와 국제 뉴스의 지역화 | 참여적 뉴스 | 공공 저널리즘 |
설명적 저널리즘 | 뉴스 의견 | 다관점적 뉴스와 뉴스 미디어 | 또다른 뉴스 형식들 | 뉴스와 유머 | 뉴스 픽션 | 새로운 저널리스트 | 더 좋은 뉴스를 위한 비용 | 변화의 가능성
6. 시민 민주주의를 위하여
시민 민주주의 | 시민 민주주의로 가는 길 | 제안들 | 시민 민주주의를 위하여 : 현실과 이상을 교차시키기
주
옮긴이의 글
책속에서
몇몇 비평가들은 직업의 이상에 대한 헌신을 새삼 강조한다면, 다른 이들은 시민들에 대한 정치적 교육과 민주주의에 대한 저널리즘의 기여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주요 수단은 공공 저널리즘 혹은 시민 저널리즘으로 1980년대에 시작된 전문적인 개혁운동이다.
이 운동은 현재 주로 지방 소도시에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방면에 걸친 프로젝트로 성장했다. 프로젝트는 굉장히 다양하다. 대부분은 다가오는 선거 일정에 맞춰서 사람들에게 시민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실험하는데 열심이다.
투표나 다른 종류의 시민 참여를 강조하고, 투표자들의 흥미를 글고 후보자들이 '이슈'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뉴스 포맷을 개발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몇몇 신문들은 지역 뉴스 면과 정치 뉴스가 보도되는 카테고리와 섹션을 새롭게 꾸몄다.
몇몇 경우는 주민들에게 관련 정치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에 대한 정치인들의 피드백을 자극하기 위해 심지어 지역 뉴스 미디어가 지역 커뮤니티 모임을 쥐최하기도 한다. 실로 공공 저널리즘은 지금까지 너무 많은 관심을 받아서 아주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트를 정당화시키는 라벨로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특정 정치인에 대해 적대적이지 않은 시민들로 정치를 바꿔보려는 시도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몇몇 신문들은 사업가인 발행인의 지역 동맹을 강화하거나 부수 확장의 계기로 공공 저널리즘을 이용한다는 비판을 받기까지 했다. (77쪽, '저널리즘이 당면한 문제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