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00167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3-08-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저널리즘 글쓰기의 원리
기자는 어디에서 글을 쓰고 있는가
: 언론의 사회적 위치와 기자의 직업적 위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양날의 검, 객관주의
기사 작성의 원리: 사실 검증의 절차
‘사실’을 표현하는 기사 작성의 관습
2장 육하원칙과 단신 쓰기
육하원칙이란 무엇인가
육하원칙 구성 요소들의 표현
단신쓰기와 육하원칙
단신 실습
3장 눈으로 본 사실의 전달-현장 기사
발생 기사의 특징과 유형
살인 발생 기사의 패턴
화재 발생 기사의 패턴
발생 기사의 사실 전달 원리
발생 기사 쓰기 실습
4장 귀로 들은 사실 전달의 기술-인터뷰 기법
취재기법으로서의 인터뷰
인터뷰 절차와 방법
인터뷰 기사 쓰기 실습
피처 인터뷰: 인물론 쓰기
5장 주장과 논리적 근거의 제시-기획 기사의 구조
기획 기사의 성격
기획 기사의 논리적 구조
기획 기사를 통해 배울 점
기획 기사의 다양한 유형
6장 칼럼 쓰기
주제란 무엇인가
구성 전략과 소재 선정
단락 구성은 어떻게 해야 되는가?
언론문장의 전략과 기본 요소
부록
기사 첨삭 유형별 사례
자기 소개서 작성법
참고문헌
책속에서
익명의 상태에서 내가 올린 글을 보고 상대방은 나의 이미지를 판단한다. 순간적인 표현 능력, 즉 글쓰기, 말하기, 표정 짓기 등이 매우 중요한 이유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최근에는 대학에서도 글쓰기, 말하기, 듣기, 표정 짓기 등 자기표현과 관련된 자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별도의 커리큘럼을 만들어 교육을 하기 시작했다. 이 중에서도 글쓰기는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자기표현의 기술이다.
_<들어가는 말> 중에서
저널리즘을 철학적으로 정의하자면 ‘지식의 현실 개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방식에 대해서는 ‘전달자’에 머물러야 한다는 ‘전달자 모델’과 전달을 넘어 해석과 평가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주창자 모델’이 있다. 스트레이트 기사를 쓰는 규칙들은 그 이후에나 적용되는 언론계 내부의 직업적 관습일 뿐이다. 시대 변화와 사회적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수정될 수 있는 잠정적인 약속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저널리즘 글쓰기 학습은 저널리스트로서 언론이 사회 현실에 개입하는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는 것이다.
_<들어가는 말> 중에서
이 구도에서 기자는 시민사회의 공익성 요구와 언론사주의 상업적 요구를 절충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그래서 기사 작성 관행은 모순되기 쉬운 두 가지 요구를 현실적으로 절충하는 고민의 산물이다. ‘심각한 내용을 섹시하게’, ‘대중적 소재를 사회적 의미가 있는 주제로’, ‘공익성의 추구로 상업적 결과를’, ‘어려운 내용을 쉬운 말로’, ‘시작은 가볍게 결말은 진지하게’ 등과 같은 기자들의 글쓰기 요령을 압축한 표현들이 공익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고민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민의 결과로 기자들은 공익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다양한 글쓰기의 방법들을 구축해 왔는데, 그 철학적 뿌리가 객관주의다.
_<1장 저널리즘 글쓰기의 원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