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

송규진, 홍면기, 원동욱, 최영진, 박동훈, 주용하오, 김보라, 이송림 (지은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0원
24,000원 >
24,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4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지리학
· ISBN : 978898222565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7-05-22

책 소개

환동해학은 동해와 주변 지역의 관계성을 지구지역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사유하는 지역학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역사적 기억과 문화적 경험, 국가 간 협력과 갈등, 미래를 향한 초국가적 상생과 실천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목차

머리말

I. 중국 동북지역의 근대사 조망

1. 만주(중국 동북지역)의 지정학과 지경학적 협력의 문제 : 역사·이론·정책의 변증 | 홍면기
2. 근대시기 환동해권의 경제적 관계 : 일제강점기 조선의 대‘북방권’ 무역을 중심으로 | 송규진

II.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회랑과 한반도
3.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동북아 경제회랑의 정치경제 | 원동욱
4. ‘일대일로’의 시각에서 본 중국 동북3성과 한반도 : 두만강지역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 박동훈

III.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 간의 경제관계
5. 중국 동북3성과 러시아 극동지역·북한의 경제 관계 | 주용하오
6. UN 대북 경제제재 조치가 북·중 교류와 교역에 미치는 영향 | 최영진
7. 몽골-중국 동북3성의 경제협력과 환동해지역 : 몽골 수입 대체·수출 지향 산업의 최우선 분야 협력을 중심으로 | 김보라

IV. 중국 동북 접경지역의 생태환경 문제와 협력
8. 중국 동북지역과 북·러 접경지역의 생태환경 문제 | 이송림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소개

송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고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원광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로 활동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비교사연구센터장)이다. 저서로는 『일제하의 조선무역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한국무역의 역사』(공저, 청아출판사, 2011),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공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일제강점기 사회사업관계자료 해제』(공저, 아연출판부, 2019), 『신춘추오패: 패권과 탈패권 사이의 21세기 국제질서』(공저, 아연출판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홍면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 전공.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이며, 독도체험관장이다. 주요 논저로 『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분야별 거버넌스 제도화 방안』(공저), 『동아시아 평화와 초국경협력』(공저), 『통일의 신지정학』(공저),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기원』(역서), 「장보고의 해상 활동과 미래 한국의 국가 전략 : 한반도 미래 비전과 지정학적 정체성의 모색」, 「‘동해 평화론’ 서설 : 소통·협력 공간으로서의 동해와 한반도의 역할」, 「재외한인 네트워크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원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대외관계 전공. 동아대학교 중국일본학부 중국학 전공 교수이며, 국제정치학회 중국분과장이다. 주요 논저로 『중국의 동북지역개발과 신북방 경제협력의 여건』(공저), 『국제운송회랑의 새로운 지정학 : 유라시아 실크로드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 연구』(공저), 『신기후 체제하 글로벌 에너지 질서 변동과 한국의 에너지 전략』(공저), 「중국의 지정학과 주변외교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중국의 대북 영향력 분석 및 전망」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사회학 전공.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HK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환동해관계망의 역동성』(공저), 『환동해지역의 이해』(공저),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공저), “Aligning Labor Disputes with Institutional, Cultural, and Rational Approach : Evidence of East Asian-Invested Enterprises in China”, 「환동해지역의 항구와 해상관계망 형성」, 「동북아 접경지역의 경제기술개발구, 소지역협력 그리고 일대일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동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 전공. 중국 옌볜대학교 국제정치학과 부교수이며, 옌볜대 조선한국연구센터 부주임이다. 주요 논저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한반도』, 『한중수교 이후 북·중 관계의 발전 : 추세 분석과 평가』(공저), 『朝?半??究文??料索引』(공저), 『?北???合作 : 困境?出路』(편저), 「동북3성과 한반도 경협의 비전과 과제 : 한·중 전략적 협력관계 내실화의 관점에서」, 「두만강지역개발과 국제협력 : 중국 ‘창지투선도구’ 건설의 국제환경 분석」, 「김정은 체제 정당성 원천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대 북한 체제 개혁의 과제 : 포스트 마오 시기(1976∼1978)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의 조어도 분쟁에 있어서 대응 전략의 변화」,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중·한 관계 : 천안함 사건 이후를 중심으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주용하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경제론·중국경제론 전공. 국립대학법인 후쿠시마대학교 경제경영학류 준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신아시아경제론 : 중국과 아시아·컨센서스의 모색』(공저), 『중국 동북진흥전략과 한·중 경제협력』(공저), 『중국 동북경제의 전개 : 동북아시아의 신시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보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 전공.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연구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 「GTI에 대한 몽골의 시각과 비전 및 한·몽 협력 방안 : 동몽골지역개발계획 내용을 중심으로」, 「이웃 국가들을 통해 출해구를 확보하고자 하는 몽골의 이해관계와 몽골러시아 연해주 협력 : 정책 문서와 협의·합의·협약 내용을 중심으로」,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Opportunities in the Mongolian Four Regions and Regional Dispersion of Korean FDI in Mongolia”,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Invest Mongolia Agency and KOTRA : From the Perspective of Synergy Opportunities”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송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환경경제·환경정책 전공. 중국 연변대학교 경제학과 전임강사이다. 주요 논문으로 「自治體における容器包裝リサイクル政策の分析と評價―橫浜市等の大都市における事例硏究」, 「容器包裝リサイクル費用の測定と評價に關する自治體での實證分析とEPR適用可能性」, 「自治體における容器包裝リサイクル費用の測定と評價」, 「?國的低?經濟政策」, 「延邊地區城市?棄物分類收集與?源化處理對策硏究」, 「동북아환경문제와환경협력」, 「延邊地區縣域生態經濟發展模式與對策硏究」, 「朝鮮民主主義共和國の自然環境保護と自然保護區についての考察」, 「中國の環境經濟政策の現狀と展望」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