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동해지역 교류와 협력의 다층성과 제약

환동해지역 교류와 협력의 다층성과 제약

정성장, 권세은, 신진숙, 김석희, 최영진, 이창수, 이영형, 박영애, 황관췬, 취엔이슈, 바뎬쥰, 안나잉, 장휘이지 (지은이)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0원
24,000원 >
24,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4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환동해지역 교류와 협력의 다층성과 제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동해지역 교류와 협력의 다층성과 제약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정학
· ISBN : 978898222566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7-05-22

책 소개

환동해지역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다. 환동해지역의 현실 영역에서 형성되는 관계성 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공존 방안을 모색하고 환동해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및 생태적 시각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환동해지역의 소통과 협력, 공존을 지향하며

제1장 환동해문화권의 의미와 방향 | 김석희
제2장 환동해지역 생태인식과 재현 양상 | 신진숙
제3장 일본의 ‘조몬문화론’의 변용과 환동해 문화 교류의 원상 | 이창수
제4장 북한 북동부 환동해 공간의 성격 : 중국과 러시아의 지정전략을 중심으로 | 이영형
제5장 환동해지역에서 경제적 관계의 의미 | 최영진
제6장 중·한 FTA 관세 양허가 중국의 대한국 농산물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박영애
제7장 동북아시아 지역화 및 지역주의 전개 과정의 비대칭성 산업 | 권세은
제8장 동북아지역 거버넌스의 동력, 패턴과 수단 | 바뎬쥰 · 안나잉
제9장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과 환동해협력 | 정성장
제10장 북한의 안정정책과 한반도 위기 | 장휘이지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소개

정성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파리 낭테르대 정치학 석사 파리 낭테르대 정치학 박사 현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 센터장한국핵안보전략포럼 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한미연합군사령부 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국방부 및 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논저] Idéologie et système en Corée du Nord (L’Harmattan) 『日韓同時核武装の衝撃』 (ビジネス社) 『왜 우리는 핵보유국이 되어야 하는가』 (메디치미디어) 『우리가 모르는 김정은: 그의 정치와 전략』 (한울아카데미) 『현대 북한의 정치: 역사·이념·권력체계』 (한울아카데미) 외 다수
펼치기
권세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 정치 전공. 경희대학교 러시아어학과 교수이며, 국제지역연구원 원장 및 HK사업단 연구책임자이다. 주요 논저로 『러시아지방의 체계론적 이해』(공저), 『러시어지방연구시리즈 1∼7』(공저), 『21세기 러시아정치와 국가 전략』(공저), 『동해의 재인식과 환동해학의 모색』(공저), 『환동해지역의 비판적 성찰』(공저), 『환동해 관계망의 역동성』(공저), 「지역 연구의 패러다임으로서 복잡성에 대한 시론」, 「학제적 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시론」, 「지역 연구 단위로서의 유라시아에 대한 일고」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신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현대문학 전공.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HK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윤리적인 유혹, 아름다움의 윤리』, 『동해의 재인식과 환동해학의 모색』(공저), 『환동해지역의 비판적 성찰』(공저), 『환동해지역의 이해』(공저), 『환동해 관계망의 역동성』(공저), 「환동해 인권의 위상학」, 「환동해 변방 담론을 통해 본 근대 공간의 정치와 그 역설」, 「환동해 디아스포라 : 국경을 넘는 사람들」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석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화가, 언어문화학 박사, 일본 문학 번역가. 경희대 국제지역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 ‘계란판 화가’로 알려지면서 아티스트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20년 4월, 온라인 전시 <재생/Re.play>로 출발하여 2021년 11월 <때: The Time>(복합 공간 루덴스), 2022년 3월 <봄눈: 가장자리의 봄>(아트필드 갤러리), 2022년 12월 <빛과 바람의 시간>(아스트페이스 퀄리아), 2023년 8월 <머물지 않는 바람>과 2024년 3월 <플레로마>(아트필드 갤러리), 2025년 3월, 여섯 번째 개인전 <The Poetic: 물결·숨결·바람결>(아트필드 갤러리)을 개최하였다. 한국의 아트필드 갤러리와 독일의 온라인 갤러리 아틀리아(Atlia)에 소속되어 있으며, 포도뮤지엄에 <Reflection, 나와 나>, <내 세상이야> 두 점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스미소니언 박물관에서 지원하는 『변시지 작품집Ⅲ』에 평론 <변시지의 토포스, 바람의 동중정(動中靜)>이 실렸다. 김석희는 끊임없이 바람을 꿈꾼다. 바람이 분다는 것은 정지된 화면의 연속성을 의미한다. 그것은 부단하게 바람을 따라 흘러가는 매력적 사유와 정지된 공간의 역동성을 꾀하는 일이다.
펼치기
최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사회학 전공.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HK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환동해관계망의 역동성』(공저), 『환동해지역의 이해』(공저),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공저), “Aligning Labor Disputes with Institutional, Cultural, and Rational Approach : Evidence of East Asian-Invested Enterprises in China”, 「환동해지역의 항구와 해상관계망 형성」, 「동북아 접경지역의 경제기술개발구, 소지역협력 그리고 일대일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상대문학 전공. 경희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이며, 국제지역연구원 HK연구사업 공동연구원이다. 주요 논저로 『동해의 재인식과 환동해학의 모색』(공저), 『일본학 연구의 지평과 재조명』(공저), 「일본 신화의 변용과 체계화 : 국토창생신화를 중심으로」, 「일본 상대문헌신화에 나타난 한국상 : 천손강림신화 속의 한국을 중심으로」, 「일본 상대 문헌 속의 게이타이천황과 고대 환동해環東海 교류에 관한 고찰」,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 전개와 한국계 이주민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영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정학 및 러시아 정치 전공.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연구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지정학』, 『러시아, 정치체제 구축과 발전 전략 Ⅰ : 정치체제 구축 편』, 『러시아, 정치체제 구축과 발전 전략 Ⅱ : 정치 과정, 개발 정책, 안보 정책』, 『시베리아 지역연구 : 공간에 대한 인식과 가치』, 『중앙아시아 지역연구 : 공간에 대한 인식과 가치』, 「쿠릴열도Kuril’skie Ostrova에 대한 ‘소유’와 ‘반환’의 지정전략」, 「중국의 러시아 극동 진출에 대한 러시아의 의식구조 분석」,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극동지역 진출 현황 및 그 역할 분석」, 「한국·러시아 간 외교문서 분석을 통해 본 양국 관계의 특징」, 「러시아의 북극해 확보 전략 : 정책 방향과 내재적 의미」, 「북극해의 갈등 구조와 해양 지정학적 의미」,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아무르주州 진출 환경 및 실태 조사」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 전공. 지린대학교 동북아연구원 세계경제연구소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해양생물자원 자산화 관리와 협력에 관한 연구』, 「중국의 일대일로와 한국의 유라시아이니셔티브의 전략적 연계 방안 연구」, 「한국 수도권 환경오염의 관리와 중국에 주는 시사점」, 「이산화탄소 배출권 교역과 탄소세 : 유효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정책 조합」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황관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취엔이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바뎬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 전공. 길림대학교 국제정치학과 교수이며, 동북아연구원 국제정치연구소 소장이다. 주요 논저로 『냉전 후 일본의 대만에 대한 정책 연구』, 『동북아 지역정치 및 중국의 지역전략』, 「냉전 후 몽골 국가안전전략의 특징과 추세」, 「일본의 남해 문제 개입 동기, 조치와 추세」, 「국제 체계의 전변과 동북아 지연정치의 곤경」, 「전략 문화 시각에서 일본과 한국의 안전협력 요소의 구성」, 「동북아지역 경제협력의 정치 환경」, 「한반도 다자 안전협력 메커니즘 분석」, 「일본과 북한의 경제 무역 관계의 현황, 특징과 추세」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안나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장휘이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경제 전공. 지린대학교 동북아연구원 국제경제연구소 교수이며, 조선한국연구소 소장이다. 주요 저서로 『대국 관계 중의 조선반도』, 『냉전의 얼음 어떻게 녹아야 하는가 : 대국의 대조선반도정책 관점에서』(공저), 『중한수교 20년 : 성과 및 문제』, 『조선반도 전략 조정 및 동북아지역 대국의 관계』, 『조선의 전략 조정』, 『조선의 경제 발전 방식 조정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