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2555534
· 쪽수 : 618쪽
· 출판일 : 2016-11-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4
서문 14
신론 32
1. 하나님에 대한 인식 가능성 35
2. 하나님의 이름들, 존재, 속성 38
2.1 하나님의 이름에 관한 서론 38
2.2 엘로힘; 엘, 아도나이; 엘리욘; 엘 샤다이; 여호와 ; 여호와/엘로헤 쩨바오트 39
2.3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서론 41
2.4 하나님의 본질 42
2.5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의 구별 43
2.6 비공유적 속성들 49
2.6.1 하나님의 자존성(aseitas) 49 | 2.6.2 하나님의 단순성(simplicitas) 49 |
2.6.3 하나님의 무한성(infinitas)50 | 2.6.4 하나님의 영원성(aeternitas) 52 |
2.6.5 하나님의 광대성(immensitas) 54 | 2.6.6 하나님의 불변성(immutabilitas) 57
2.7 공유적 속성들 59
2.7.1 하나님의 영성 59 | 2.7.2 하나님의 지성 62 | 2.7.3 하나님의 의지 70 |
2.7.4 하나님의 거룩성 79 | 2.7.5 하나님의 사랑 82 | 2.7.6 하나님의 의 87 |
2.7.8 하나님의 감정: 그분의 진노, 열심, 후회 97 | 2.7.9 하나님의 능력 98 |
2.7.10 하나님의 복되심 101
3. 삼위일체 102
3.1 삼위일체 서론 102
3.1.1 구약에 나타난 삼위일체 흔적 102 | 3.1.2 신약의 삼위일체 이해 107
3.2 교부들의 삼위일체 이해 108
3.3 삼위일체 용어; 경륜과의 관계, 유비, 본질의 인격성 113
3.4 삼위일체론적 두 이단 (양태론, 삼신론) 반박 124
3.5 성부 하나님 125
3.5.1 성부와 성자와의 관계 125 | 3.5.2 성부의 위격 129
3.6 성자 하나님 130
3.6.1 서론: 성자에 대한 주제 130 |
3.6.2 아들의 위격적 존재 및 그 근거와 방식에 관하여 130 |
3.6.3 성자의 신성 140 | 3.6.4 성자의 경륜적 사역 148
3.7 성령 하나님 150
3.7.1 서론: 성령에 관한 주제 150 | 3.7.2 성령의 위격적 존재 및 그 성격과 지위 150 | 3.7.3 성령의 신성 161 | 3.7.4 성령의 경륜적 사역 162
4. 하나님의 작정 일반 167
4.1 하나님의 외적 사역으로서 작정 171
4.2 작정에 관한 성경의 용어들 174
4.3 하나님 작정의 속성 174
4.4 작정과 자유 182
4.5 작정의 효과 190
4.6 작정의 불변성 191
4.7 작정과 섭리 193
4.8 작정과 하나님의 본질 193
4.9 작정과 죄 194
5. 예정론 200
5.1 예정론 개요 200
5.2 예정론의 교의학 체계에서 위치 200
5.3 예정론 용어들 205
5.3.1 야다, 기노스코 205 | 5.3.2 하나님의 예지에 대한 반론 212 |
5.3.3 예지 개념의 발전 213 | 5.3.4 에크레고마이 218 | 5.3.5 프로오리조 218 |
5.3.6 프로티데미 220
5.4 유기 221
5.5 사도 바울의 예정론 225
5.5.1 로마서 9-11장 해설 225 | 5.5.2 에배소서 골로새서 해설 254
5.6 예정론 각론 257
5.6.1 개요 257 | 5.6.2 예정의 주체 257 | 5.6.3 예정의 출발점 259 |
5.6.4 예정 안에 있는 구별하는 요소 260 | 5.6.5 예정의 유효적이고 형성적인 요소 263 |
5.6.6 예정의 대상자 265 | 5.6.6.1 인간; 그리스도 265 | 5.6.6.2 천사들 268 |
5.6.7 예정의 대상에 나타나는 성질 274 |
5.6.7.1 타락전 선택설과 타락 후 선택설의 차이 275 | 5.6.7.2 타락 전 선택설 284 |
5.6.7.3 타락 전 선택설과 타락 후 선택설 논쟁의 역사 288 |
5.6.7.4 유기에 대한 타락 전 선택설 및 타락 후 선택설의 설명 291 |
5.6.7.5 예정과 완악하게 함 293 | 5.6.7.6 예정과 그리스도 294
6. 창조 295
6.1 창조론 개요 295
6.2 창조론 논의의 세 부분 297
6.3 창조를 다루는 성경구절 개요 300
6.4 창세기 1-2장 해설 302
6.4.1 성경의 시작: 창조 역사 302 | 6.4.2 창세기 1-2 장에 대한 3가지 설명 방식 302 |
6.4.3 창세기 1:1 305 |
6.4.3.1 “태초에”, “바라”( 305 (?????? | 6.4.3.2 “하늘과 땅” 306 | 6.4.4 창세기 1:2 307 |
6.4.4.1 회복 이론 및 비판 307 | 6.4.4.2 카오스 308 | 6.4.4.3 하나님의 신의 활동 308 |
6.4.5 창세기 1:3-5 첫째날 창조 309 |
6.4.5.1 “하나님이 말씀하셨다”는 의미 309 | 6.4.5.2 빛 310 |
6.4.5.3 빛과 어두움의 나뉨 310 | 6.4.5.4 저녁, 아침 312 |
6.4.5.5 “날”( ???? )에 대한 해석 312 |
6.4.6 창세기 1:6-8 둘째 날 창조 316 |
6.4.6.1 둘째 날과 셋째 날의 연관성과 구분성 316 | 6.4.6.2 궁창 316 |
6.4.6.3 궁창 위의 물 317 |
6.4.7 창세기 1:9-13 셋째 날 창조 317 |
6.4.7.1 육지 317 | 6.4.7.2 식물 318 |
6.4.8 창세기 1:14-19 넷째 날 창조: 빛들; 징조, 계절, 날, 해 319 |
6.4.9 창세기 1:20-23 다섯째 날 창조: 새들과 물고기들 321 |
6.4.10 창세기 1:24-31 여섯째 날 창조 322 |
6.4.10.1 육지 동물 322 | 6.4.10.2 인간 창조에 앞선 엄숙한 의논 323 |
6.4.10.3 형상과 모양의 의미 324 | 6.4.10.4 남자와 여자의 구별 325 |
6.4.10.5 창조시 인간에게 주어진 명령 325 |
6.4.10.6 인간의 음식, 동물의 죽음 문제 325 | 6.4.10.7 창조에 대한 전체 평가 326 |
6.4.11 창세기 2:2-3 하나님의 안식 326 | 6.4.12 창세기 1장 과 2장의 관계 327
6.5 창조론에 관한 비정통 이론들 328
7. 섭리 338
7.1 섭리의 정의와 다른 사역과의 관계 340
7.2 섭리 교리의 기초 340
7.3 그릇된 섭리론 340
7.3.1 이신론적 섭리론 340 | 7.3.2 범신론적 섭리론 341
7.4 바른 섭리론 344
7.4.1 보존 344 | 7.4.2 협력 345 | 7.4.3 통치 356
인간론 370
1. 인간의 본성 373
1.1 인간 본성의 요소: 몸, 영혼 373
1.2 삼분설 374
1.3 실재론 379
1.4 인간 영혼의 기원에 관한 세 이론 382
1.4.1 유전설 383 | 1.4.2 창조설 385 | 1.4.3 선재설 388
1.5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 389
1.6 인류의 통일성 403
2. 죄 405
2.1 죄에 관한 철학적 이론들 405
2.2 펠라기우스 죄론 413
2.3 로마교 죄론 418
2.4 원죄 419
2.4.1 원죄의 정의 419 | 2.4.2 원죄를 부정하는 이론들 419 |
2.4.3 죄의 전이에 대한 이론들 420 | 2.4.3.1 언약론 421 | 2.4.3.2 간접적 전가론 430 |
2.4.3.3 실재론 432
2.5 행위 언약 436
2.5.1 행위 언약의 약속 438 | 2.5.2 행위 언약의 형벌 438 |
2.5.3 행위 언약에서 아담의 측별한 지위 439 | 2.5.4 행위 언약의 효력 442 |
2.5.5 행위 언약의 성례 446
2.6 아담의 범죄 448
2.6.1 시험 계명 448 | 2.6.2 사단의 시험 451 | 2.6.3 첫 범죄의 본질 453 |
2.6.4 첫 범죄의 결과 457
2.7 첫 범죄로서 원죄 458
2.7.1 원죄(peccatum originale)의 정의와 장점 458 |
2.7.2 내재적 죄(peccatum inhaerens) 459 |
2.7.2.1 내재적 죄의 두 구성요소: 원의의 부재, 적극적 악의 실재 459 |
2.7.2.2 적극적 악의 실재 459 | 2.7.2.3 인간의 본성적 무능 464 |
2.7.2.4 내재적 원죄의 범위 472
2.8 죄의 구별 479
2.8.1 원죄와 실범죄 479 | 2.8.2 사망에 이르는 죄와 용서받을 수 있는 죄 480 |
2.8.3 작위의 죄와 무작위의 죄 481 |
2.8.4 하나님을 대적하는 죄와 이웃을 대적하는 죄 482 | 2.8.5 그 외의 구분들 482
2.9 성령을 거스리는 죄 484
3. 은혜 언약 491
3.1 언약에 관한 성경적 용어, 개념, 구분 491
3.2 구속 언약 504
3.2.1 “평화의 작정” 명칭의 유래와 정당성 506 |
3.2.2 구속 언약의 내용 506 |
3.2.2.1 성자에 대한 성부의 요구들 506 | 3.2.2.2 성자를 위한 성부의 약속들 507 |
3.2.3 구속 언약과 그리스도 509 | 3.2.4 구속 언약과 성례의 관계 518
3.3 은혜 언약 518
3.3.1 은혜 언약의 정의 518 | 3.3.2 은혜 언약과 구속 언약의 관계 518 |
3.3.3 은혜 언약과 행위 언약 비교 519 |
3.3.3.1 은혜 언약과 행위 언약의 공통점 519 |
3.3.3.2 은혜 언약과 행위 언약의 차이점 519 |
3.3.4 은혜 언약의 중보자 520 | 3.3.5 은혜 언약의 당사자 527 |
3.3.5.1 개혁파 언약 신학자들의 견해 527 |
3.3.5.2 은혜 언약의 대상자들을 택자만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 529 |
3.3.5.3 개혁파 신학자들의 은혜 언약 구분 532 |
3.3.5.4 개혁파 신학자들의 은혜 언약 구분에 대한 평가 535 |
3.3.6 은혜 언약의 조건성 549 | 3.3.7 은혜 언약의 유언적 성격 555 |
3.3.8 은혜 언약의 일방적이면서 쌍방적인 성격 559 |
3.3.9 은혜 언약의 약속들 560 | 3.3.10 은혜 언약에 대한 인간의 반응의 형태 560 |
3.3.11 은혜 언약의 보증: 그리스도 560 | 3.3.12 은혜 언약의 특성들 563 |
3.3.13 은혜 언약과 선택의 관계 569
3.4 언약의 세대들 570
3.4.1 구약 시대 570 | 3.4.1.1 원약속(창 3:15) 570 | 3.4.1.2 노아 언약(창 6:13; 9:9ff) 574 |
3.4.1.3 아브라함 언약 574 | 3.4.1.4 시내산 언약 576 | 3.4.2 신약시대 586 |
3.4.3 언약 시행의 두 구분 587
책속에서
우리가 하나님을 알 수 있는가? 그렇다. 성경은 하나님의 아들이 이르러 우리에게 지각을 주셔서 “우리가 참된 자를 알도록 하셨다”(요일 5:20)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은 이 지식이 제한적이다는 점을 잊지 않는다(마 11:25) (I 1,1)
우리는 죽을 수밖에 없는 육체가 도덕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영혼과 함께 있는 단 하나의 전형(典型)을 알고 있다. 그 전형은 죽은 자들로부터 부활하기 전 구주의 인간 본성이다. 그는 죽음의 씨를 자신의 몸에 지니고 다니셨다. 이 몸은 죄 된 육체와 동일했다. 이것을 바울은 말한다(롬 8:3; 빌 2:7). 자기 자신에 취하심(anamatie op zich-zelf), 이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죄 없는 영혼이 육체라는 헐어빠진 장막에 거주해야 했고, 그래서 죽음과 가장 가까운 결합 속에 들어가셨다는 것을 보여준다(II 1,19,5 C).
오히려 은혜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법을 죄인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으나, 그 사람에게 적용하지 않으시는 데에 있다. 하나님은 어디에서 우리에게 자신의 은혜를 보여주시는가? 우리에게서 요구할 수 있는 것을 그리스도에게서 요구하시는 곳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생각할 때, 모든 것이 엄격한 법이요, 우리를 볼 때, 모든 것이 값없는 은혜이다. 여기서 우리는 은혜 언약으로서 이 언약이 삼위일체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약 안에서 전삼위일체가 일하고 계시다. 이 언약은 아버지의 예정에서 출발하고, 아들의 보증됨으로 법적으로 기반을 닦고 있으며, 성령께서 적용하심으로써 완전한 실현에 이른다(엡 2:8; 요 1:16) (II 3,38,1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