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379693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목회적 권능은 어디서 오는가
Part 1. 존 맥아더의 설교와 목양
1. 삶으로 입증된 설교
2. 생애
3. 설교
4. 목양
*요약
Part 2. 존 찰스 라일의 설교와 목양
1. 복음주의 목회의 전형
2. 생애
3. 설교
4. 목양
*요약
Part 3. 존 칼빈의 설교와 목양
1. 성경적 설교와 목양의 실효성
2. 생애
3. 설교
4. 목양
*요약
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교회의 수적 영적 성장은 주권자 하나님의 뜻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이나 현대적 방법은 없다. 우리는 그런 기술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인간의 공식과 프로그램과 고안으로 이루어진 성장을 원하지 않는다. 우리는 적극적인 성경적 사역에 초점을 두고 주님의 교회에 수를 더하는 일을 주님께 맡기는 것으로 만족한다(행 2:47). 우리가 할 일은 주님이 우리가 하도록 계획하신 것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우리는 교회를 세우는 일이 하나님의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_ Part 1. 존 맥아더의 설교와 목양 중에서
맥아더의 목회에서 두드러진 요소 중 하나는 성경적 상담이다. 그는 기독교 심리학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이라고 말한다. 심리학의 전제와 기독교의 진리는 통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오늘날 교회는 기독교 심리학의 영향 아래 있다. 맥아더는 이 상황을 이렇게 요약한다. “‘정신과 정서적 건강’이 새로운 전문적 유행어다. 비록 많은 사람이 그것을 영적인 온전함과 동일하게 보고 있지만 성경적 개념이 아니다. 죄가 병으로 불리고, 그래서 사람들은 회개가 아닌 치료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습관적 죄가 중독 또는 강박적 행동으로 간주되고, 많은 사람이 그 해결책을 도덕적 교정보다는 의료적 돌봄이라고 생각한다.” 맥아더는 이렇게 된 원인을 성경적 설교의 쇠퇴에서 찾는다. 따라서 이 상황을 바꾸는 길은 성경적 설교의 회복에 있다.
_ Part 1. 존 맥아더의 설교와 목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