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83123749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12-08-24
책 소개
목차
서 문 / 3
제1부 전후 중일 정치경제관계의 발전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중일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 15
Ⅰ. 서론15
Ⅱ. 전후 일본의 대중외교 구도21
Ⅲ. 사토내각기의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31
Ⅳ. 다나카 내각기의 국교정상화의 정치과정41
Ⅴ. 결론52
제2장 중일 ‘72년 체제’의 성립과 발전 56
Ⅰ. 서론 56
Ⅱ. 중일 국교정상화와 평화우호조약60
Ⅲ. 중일 정부간 경협과 ‘데즈쿠리외교’69
Ⅳ. 미일동맹 재정의와 ‘장쩌민 방일’82
Ⅴ. 결론 91
제3장 일본의 제3차 대중국 엔차관의 동결해제결정 97
Ⅰ. 서론 97
Ⅱ. 천안문사건까지의 대중 엔차관협력101
Ⅲ. 천안문사건과 신규 엔차관의 동결106
Ⅳ. 가이후내각의 점진적 균형외교110
Ⅴ. 결론 124
제4장 고이즈미 내각기의 중일 ‘72년 체제’의 갈등과 전환 126
Ⅰ. 서론 126
Ⅱ. 중일 ‘72년 체제’의 협력과 갈등 131
Ⅲ. 중일 ‘72년 체제’의 전환 139
Ⅳ. 중일 갈등 : 역사인식, 엔차관, 영토자원 149
Ⅴ. 결론161
제2부 중일관계의 쟁점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제5장 일본과 중국 간의 동중국해 해양영토분쟁 165
Ⅰ. 서론165
Ⅱ. 동중국해 영토분쟁의 역사성과 쟁점 168
Ⅲ. 90년대 이후의 동중국해 해양갈등 179
Ⅳ. 고이즈미 내각기 해양영토분쟁의 특성187
Ⅴ. 결론199
제6장 일본의 대중국 정부간 경제협력의 정책결정 205
Ⅰ. 서론 205
Ⅱ. ‘정치원조론’과 ‘내외압조정적 정치결정’ 208
Ⅲ. 80년대까지의 대중경협의 원조내용과 정책결정 216
Ⅳ. 탈냉전기의 대중경협의 정책결정과 원조내용229
Ⅴ. 결론 : ‘정치원조’의 구조변용238
제7장 하시모토 내각 이후의 미일동맹의 강화와 중일관계 243
Ⅰ. 서론243
Ⅱ. 90년대 후반 미일동맹의 재정의와 강화 247
Ⅲ. 반테러 전쟁에의 협력과 자위대 해외파병253
Ⅳ. 후쿠다 정권의 등장과 동아시아 외교256
Ⅴ. 결론 261
제8장 일본과 중국 사이의 한국외교 265
Ⅰ. 서론265
Ⅱ. 21세기 중일관계의 갈등271
Ⅲ. 일본외교와 동아시아 278
Ⅳ. 한중일관계의 질적 전환283
Ⅴ. 한국외교의 방향성 286
<참고문헌>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