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 핵위기와 동북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83124210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7-01-3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83124210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국제관계연구총서 18권. 부산외대 국제관계연구소가 기획한 총서로서, 북핵위협의 실상을 파악하고 동북아 정세의 현황을 정확히 진단해 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목차
북핵 위협의 심각화에 따른 한국의 미.중관계:
THAAD 사례를 중심으로 _ 박휘락
Ⅰ. 서론 11
Ⅱ. 자율성-안보 교환 이론과 적용 14
Ⅲ. 북한의 핵위협과 평가 22
Ⅳ. 사례 분석: 사드배치의 경우 27
Ⅴ. 결론 40
참고문헌 42
북한 핵위협의 실체와 한국의 전략 _ 조영기
Ⅰ. 북한 ‘핵’의 실체 45
Ⅱ. NPT 체제의 특성과 한계 53
Ⅲ. 북한 ‘핵’에 대한 미.중의 전략 65
Ⅳ. 북한 ‘핵’에 대한 한국의 전략 73
참고문헌 82
북한의 핵 위기 조성과 급변사태 가능성 _ 추부길
Ⅰ. 북한의 핵(核) 능력 85
Ⅱ. 북한 핵(核) 투발수단의 진전 95
Ⅲ. 북한의 핵 위기 조성의 의도 106
Ⅳ. 북한의 핵 위기 조성에 따른 국제사회와 중국, 미국의 입장 111
Ⅴ. 북한 핵 위협과 한.미의 대응 126
Ⅵ. 북한 핵(核)으로 인한 급변사태 가능성 149
참고문헌 164
북한의 비핵화와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 _ 이홍종
Ⅰ. 서론 169
Ⅱ. 이론적 배경 170
Ⅲ. 북한의 비핵화 175
Ⅳ.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의 한반도정책 182
V. 결론 184
참고문헌 186
아베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성립과 동북아 _ 손기섭
Ⅰ. 서론 189
Ⅱ. 아베정권의 정치과정과 ‘신안보법’의 내용 192
Ⅲ. 신안보법의 국내외적 쟁점 201
Ⅳ. 동북아 주요 각국의 정책대응 208
Ⅴ. 결론 214
참고문헌 218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