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도 바울의 신비주의

사도 바울의 신비주의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은이), 조남홍 (옮긴이)
한들출판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도 바울의 신비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도 바울의 신비주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83495976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12-04-17

목차

역자 서문 v
역자 일러두기 v i i
서언 x i i i

1장 바울의 신비주의의 특징
원시적 신비주의와 완성된 신비주의 1
바울의 신비주의와 관계되는 성서 구절 5
신- 신비주의 없는 그리스도-신비주의 6
아레오바고 연설의 스토아 철학적 신- 신비주의 8
스토아 철학적 신비주의와 바울의 신비주의 11
신- 신비주의의 장애물로서의 천사 지배 14
부활의 신비주의와 중생의 신비주의 17
바울의 신비주의의 실재주의적인 것 21
바울의 신비주의의 성례전적인 것 25
신화적 신비주의와 우주적-역사적 신비주의 29
신비주의적 가르침과 비-신비주의적 가르침의 공존 31

2장 헬레니즘적이냐, 유대주의적이냐?
헬레니즘적 해석: 라이첸슈타인 35
헬레니즘적 해석: 부세트 39
유대주의적- 헬레니즘적 해석: 다이스만 44
종말론적 해석의 가능성 47

3장 바울의 서신들
순수성의 질문 53
서신들의 목적과 내용 55
서신들의 기록 시기 59
서신들의 본래 형태와 전승된 형태 60
유실된 서신들 64

4장 구속에 관한 종말론적 가르침
바울의 서신에 나타난 종말론적 기대 65
구속에 관한 예수의 종말론적 가르침 70
예수의 속죄 죽음의 종말론적 제약성 72
예수의 죽음의 의미에 관한 원시 그리스도교의 표상 77
예수의 죽음과 바울에 있어서의 구속에 관한 종말론적 가르침 79
예수의 재림과 종말 사건들 82
율법과 천사 지배 86
구속에 관한 종말론적 가르침의 영지주의적 변화: 영지주의와 신비주의 89

5장 바울의 종말론 문제들
메시아 종말론과 인자 종말론 95
솔로몬 시편에서 나타난 메시아- 종말론의 복고 99
예수의 종말론: 하나님 나라에서의 부활한 자들 101
예수에 있어서 인자와 메시아의 일치 104
바룩과 에스라 묵시록의 종말론 106
바울에 있어서 메시아 왕국을 위한 죽은 자들의 부활 113
고린도 교회의 부활을 부인하는 자들 116
바울의 이중적 부활 개념 117
신비주의에서 본 메시아 왕국에서의 부활의 존재 양식 120
메시아적 세계 시간의 시작인 예수의 부활 122
자연적 세계와 초자연적 존재가 맞물리는 사실-신비주의 124

6장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한 존재의 신비주의
그리스도- 신비주의의 기초: 성도 공동체 개념 127
예수의 설교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신비주의 132
에수의 부활에 참여로서의 그리스도에게 속함 137
내면에서 직관된 종말론으로서의 신비주의 140
예수에 대한 바울의 관계 문제 해결 141
성도의 공동체와 그리스도의 신비적인 몸 145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한 존재 148
그리스도와의 공동과 그리스도 안에 있음 152
그리스도 안에 있음 154
그리스도의 신비적 몸에서의 교호 관계 158
비윤리적 육체적 결합에 의한 그리스도와의 공동의 파괴 162
죽음과 부활에 관한 바울의 표상 164
죽음과 그리스도에게 있음 170
헬레니즘적 해석에 대한 종말론적 해석의 우위성 174

7장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의 현상: 고난
그리스도와의 고난 공동과 죽음 공동 177
원시 그리스도교의 표상으로서 그리스도와의 고난 공동 181
바울의 고난: 사도행전의 정보 186
바울의 고난: 그의 편지의 정보 188
바울의 고난: 체형 190
질병: 황홀경의 체험 192
유대인들에 의한 박해: 유대주의적 그리스도인들과의 적대 195
바울의 고난: 자신의 교회 안에 있는 반대자들 199

8장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한 존재의 현상: 영 소유
도래하는 영에 관한 예언자들의 가르침 203
세례 요한과 예수에 있어서 영의 부으심과 오셔야 할 자 205
바울: 그리스도의 영과 부활의 영: 성령 209
영 안에 있음 212
성령의 역사들 215
감성적으로 영적인 것과 이성적으로 영적인 것 216
영 안에서의 인식 218
영의 검증: 요한일서 4장, 디다케, 허마의 목자 221

9장 신비주의와 율법
예언자들에 있어서의 보편주의와 배타주의 225
예수에 있어서 보편적 믿음과 배타주의적 행동 227
원시 그리스도교와 바울의 이방인 설교 230
이스라엘의 회개를 위한 이방인 설교 233
그리스도 안에 있음에 근거한 율법으로부터의 자유의 논증 236
율법으로부터의 자유에 관한 바울적 가르침의 특징 238
율법과 종말론의 불일치성 현재 상태(status quo)의 이론 240
자신의 입장을 실천적으로 관철시키는 데 있어서의 바울의 어려움들 249
율법을 중심으로 한 싸움 251

10장 신비주의와 믿음에 근거한 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의 대신에 믿음에 근거한 의 259
갈라디아서에서의 믿음에 의한 의 264
로마서에서의 믿음의 의: 율법과 죄 268
바룩과 에스라 묵시록에서의 율법과 죄 270
로마서에서의 믿음의 의: 하나님의 은혜 272
로마서에서의 믿음의 의: 예수의 속죄 죽음 275
구속론의 단편으로서의 믿음의 의 277

11장 신비주의와 성례전
원시 그리스도교 성례전의 종말론적 근원 287
종말론적 성례전으로서의 요한의 세례 291
최초의 교회에 의한 요한 세례의 수용 295
예수에 있어서의 세례와 만찬 299
메시아적 식사를 위한 기도로서의 네 번째 기도 302
제자들과 함께 한 예수의 최후 만찬 305
갈리리로 먼저 떠남과 포도주를 새롭게 마심 308
예수의 만찬과 원시 공동체의 주 만찬 313
원시 그리스도교의 주 만찬의 본질 319
광야 유랑의 성례전과 메시아적 성례전 325
바울에 있어서의 세례 328
주(主) 만찬과 관계된 바울의 성서 구절 332
제자들과 함께 한 예수의 식사 공동에 관해 바울이 알고 있는 것 333
바울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식사 공동 336
주(主) 만찬과 그리스도 몸과의 공동 339
헬레니즘적 신학에 있어서 주 만찬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공동 342
세례와 성만찬에 관한 바울적 이해와 헬레니즘적 이해 349
바울의 성례전은 다만 메시아의 축복과만 관계한다 351
부활의 보증으로서의 바울의 성례전 352
죽은 자들을 위한 세례 356
헬레니즘적 신학에 있어서의 성례전과 부활 360
비종말론적 구속 개념과 성례전 361

12장 신비주의와 윤리
하나님 나라를 위한 회개로서의 윤리:
세례 요한, 예수, 원시 그리스도교 367
바울에 있어서의 영 소유와 그리스도 안에 있음의 열매인 윤리 372
윤리적 신비주의와 초 윤리적 신비주의 377
윤리와 자유 380
바울 윤리의 본질 385
율법 성취로서의 사랑 387
영의 가장 높은 표현으로서의 사랑 389
바울의 사랑 윤리와 그리스도교 밖에서의 사랑 윤리 394
바울의 윤리와 예수의 윤리 402
바울의 윤리에 있어서 심판과 보상 405
세상으로부터 내적으로 자유롭게 됨이지 외적 자유로움이 아니다 407
세상의 공권력에 대한 윤리적 평가 412
그의 윤리의 빛 아래에서 본 바울: 노동을 통한 자주성 415
그의 윤리의 빛 아래에서 본 바울: 섬김 416
그의 윤리의 빛 아래에서 본 바울: 그의 온유함과 겸양 419

13장 바울의 신비주의의 헬레니즘화:
이그나티우스와 요한신학
헬레니즘화될 수 있는 그리스도인 믿음으로서의
그리스도와의 공동 신비주의 421
예수에 대한 믿음의 헬레니즘화 424
이그나티우스: 구속의 헬레니즘적 해석 428
이그나티우스: 예수와 교회에 있어서의 육과 영의 하나됨 433
이그나티우스: 신비주의와 로고스론 437
져스틴에 있어서의 구속 개념의 헬레니즘화 439
요한복음에 있어서 그리스도 안에 있음의 신비주의의 헬레니즘화 441
미래의 성례전에 대한 믿음으로서의 로고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445
요한복음에서의 세례 448
요한복음 453
요한복음: 그리스도교 세례의 등장 456
요한복음: 생명의 빵과 성만찬 457
요한복음: 변용한 그리스도의 여러 일들 463
요한복음: 바울적 신비주의에서 요한적인 신비주의로 회고 465
바울적 신비주의와 요한적 신비주의에 대한 종교적 평가 469

14장 바울의 신비주의가 지니고 있는 불후(不朽)의 것
그리스도교에 있어서 생각함의 수호 성인: 바울 473
그리스도- 신비주의의 의미 475
하나님 나라 믿음과 구속 믿음의 통일성 478
정신적 체험으로서의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함 484
예수의 복음과 바울의 복음 488

역자 해제
알버트 슈바이처의 생애와 신학 501
《사도 바울의 신비주의》의 내용 개요 553

주요 항목 색인
주제 색인 597
구약성서 610
외경 및 위경 611
신약성서 613
기타 문헌 623
인명 색인 626

저자소개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5년 알자스로렌의 카이저스베르크에서 태어나 1965년 아프리카 가봉의 랑바레네에서 세상을 떠났다. 슈트라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한 뒤 파리에서 샤를 마리 비도르에게 오르간을 배웠고, 1896년 처음으로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을 경험한 뒤 바그네리안이 되었다. 1899년에는 칸트의 종교철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1901년에는 성찬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1902년에는 신학 교수자격시험에 통과했고 슈트라스부르크의 니콜라이 교회에서 사역을 시작했다.1905년에 비도르의 격려로 프랑스어로 바흐 전기를 쓴 그는1908년 이를 확장한 독일어판 단행본『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를 출간했다. 1905년부터 1913년까지 슈바이처는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의 선교를 목적으로 약학공부에 매진했고1913년 가봉의 랑바레네에서 의료봉사를 시작했다. 그는 이때부터 저술, 강연, 오르간연주, 음반 등에서 얻은 수익으로 병원을 세우고 자비로 운영하며 “숲의 의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평생 평화주의자로 살았고, 바흐의 음악을 사랑했다.1957년부터는 라디오와 기고를 통해 반핵운동을 시작하기도 했다.1952년 노벨평화상을, 1955년 영국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펼치기
조남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회 싸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