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은이), 강해근, 나진규, 장견실 (옮긴이)
풍월당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1,200원 -10% 0원
3,400원
57,800원 >
61,200원 -10% 0원
0원
61,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0,520원 -10% 3020원 51,440원 >

책 이미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가
· ISBN : 9791189346416
· 쪽수 : 1344쪽
· 출판일 : 2023-07-24

책 소개

1908년 출간된 슈바이처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오늘날까지도 바흐에 관한 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기본 연구서이자 안내서다. 출간 후 백 년을 훌쩍 넘겼음에도 독일에서 여전히 중쇄를 찍고 있다는 것은 이 책이 음악가들과 애호가들 사이에서 얼마나 널리 읽히고 있는지를 방증한다.

목차

저자의 말 7
머리말 10
I. 바흐 예술의 뿌리 25
II. 코랄 가사의 성립 33
III. 코랄 선율의 성립 49
IV. 예배에서의 코랄 65
V. 바흐까지의 코랄전주곡 87
VI. 바흐까지의 칸타타와 수난곡 103
VII. 아이제나흐에서 라이프치히까지 165
VIII. 라이프치히의 바흐 189
IX. 모습, 기질, 성격 241
X. 음악 여행, 비평가, 친구 271
XI. 예술가 바흐와 선생으로서의 바흐 297
XII. 죽음과 부활 347
XIII. 오르간 작품 409
XIV. 오르간 작품의 연주 449
XV. 클라비어 작품 485
XVI. 클라비어 작품의 연주 523
XVII. 실내악 작품과 오케스트라 작품 575
XVIII. 《음악의 헌정》과 《푸가의 기법》 623
XIX. 바흐와 미학 641
XX. 시적 음악과 회화적 음악 653
XXI. 바흐 음악에서 가사와 음 681
XXII. 코랄의 음악언어 725
XXIII. 칸타타의 음악언어 753
XXIV. 아른슈타트, 뮐하우젠, 바이마르와 811
XXV. 1723~1724년 라이프치히의 칸타타 849
XXVI. 《마니피카트》와 《요한수난곡》 875
XXVII. 1725~1727년의 칸타타 905
XXVIII. 〈애도송〉과 《마태수난곡》 929
XXIX. 1728~1734년의 칸타타 969
XXX. 세속칸타타 1007
XXXI. 모테트와 노래 1059
XXXII. 오라토리오 1073
XXXIII. 미사곡 1089
XXXIV. 1734년 이후의 칸타타 1115
XXXV. 칸타타와 수난곡의 연주 1181
참고문헌 1297
칸타타와 코랄 목록 1300
옮긴이의 말 1323
인명 찾아보기 1328

저자소개

알베르트 슈바이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75년 알자스로렌의 카이저스베르크에서 태어나 1965년 아프리카 가봉의 랑바레네에서 세상을 떠났다. 슈트라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한 뒤 파리에서 샤를 마리 비도르에게 오르간을 배웠고, 1896년 처음으로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을 경험한 뒤 바그네리안이 되었다. 1899년에는 칸트의 종교철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1901년에는 성찬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1902년에는 신학 교수자격시험에 통과했고 슈트라스부르크의 니콜라이 교회에서 사역을 시작했다.1905년에 비도르의 격려로 프랑스어로 바흐 전기를 쓴 그는1908년 이를 확장한 독일어판 단행본『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를 출간했다. 1905년부터 1913년까지 슈바이처는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의 선교를 목적으로 약학공부에 매진했고1913년 가봉의 랑바레네에서 의료봉사를 시작했다. 그는 이때부터 저술, 강연, 오르간연주, 음반 등에서 얻은 수익으로 병원을 세우고 자비로 운영하며 “숲의 의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평생 평화주의자로 살았고, 바흐의 음악을 사랑했다.1957년부터는 라디오와 기고를 통해 반핵운동을 시작하기도 했다.1952년 노벨평화상을, 1955년 영국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펼치기
강해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독일 뮌헨 음악대학에서 첼로를 공부했다.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음악대학장을 역임했고,2002년부터 7년간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국제바흐페스티벌」과「바흐심포지엄」을 기획하여 2011년 까지 이끌었다. 역서로는 니콜라우스 포르켈의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2005/2020),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의 『바로크 음악은 말한다』(2006), 마르틴 게크의 『바흐의 아들들』(2012) 등이 있고,『역사주의 연주의 이론과 실제』(2006),『바흐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들』(2007)등의 책임 편집을 맡았다.
펼치기
나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교회음악을,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 신학, 종교학을 공부했다. 귀국 후에는 한국찬송가공회에서 전임간사로 활동하며 『21세기찬송가』(2006)의 편집 실무를 담당했으며, 장신대, 목원대, 백석대, 연세대에서 강사를, 호남신학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한국인 찬송가의 역사』(2001), 『21세기 찬송가 해설집』(2012), 『바흐의 오르간음악, 전곡해석』(2012), 『찬송가학』(2013), 『교회음악개론』(2014), 『한국가곡의 이해』(2015),『21세기 찬송가의 한국인 작품들, 분석과 해설』(2019), 『바흐의 교회음악』 (2020)등이 있다.
펼치기
장견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을 전공했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 박사 학위를받았다.가천대,서울대,성신여대에서 강사로 재직했고, 「조성 구조로 본 슈만의 연가곡 구상」, 「쇤베르크의 초기가곡」, 「모차르트 현악사중주KV 387에 나타난 그의 고전양식」등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1899년 어느 날, 둘이서 바흐의 코랄전주곡을 공부하던 중에 나는 그에게 이 음악은 도무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같다고 고백하였다. “프렐류드와 푸가에서는 이 대가의 논리가 그렇게도 명료하고 정연한데, 코랄 선율만 나오면 그만 모든 게 모호해진다”고 털어놓았다. [...] “당연히 그럴 수 있습니다”라며 나의 제자는 이렇게 말하였다. “코랄은 그 가사로 풀지 않으면 해명되지 않는 게 많거든요.”
나는 가장 골칫거리였던 코랄전주곡들을 제자 앞에 펼쳐 놓았다. 그는 그 곡들의 가사를 프랑스어로 외워 낭송해 주었다. 그러자 수수께끼가 풀렸다. 그다음 날부터 며칠 동안 우리는 오후 내내 코랄전주곡 전곡을 살펴보았다. 슈바이처는―그가 바로 내 제자다―한 곡씩 설명하고, 그 설명을 들으며 나는―바흐의 존재에 관해서는 겨우 어렴풋이 상상만 하고 있었는데―한 사람의 새로운 바흐를 알게 되었다. 나는 단번에 깨달았다. 바흐는 내가 거대 입상처럼 우러러보았던 위대한 대위법의 대가 그 이상으로, 이 토마스칸토르의 예술에는 시의 이념을 표현하고 가사와 음을 일치시키려는 그의 욕망과 능력이 드러나 있음을 본 것이다.


예술가에는 주관적 예술가와 객관적 예술가가 있다. 주관적 예술가의 예술적 기반은 그들 자신의 개성이다. 그들은 그들이 속한 시대에 예속되지 않고 거의 자유롭게 창작하며, 그들 스스로 법이 되어 시대의 흐름에 맞서 새로운 형식을 만들고, 그것으로 자신들의 사상을 표현한다. 리하르트 바그너가 그러했다.
바흐는 객관적 예술가다. 객관적 예술가들은 전적으로 자신들이 사는 시대에 속해 있으며, 오로지 그 시대가 제공하는 형식과 사상만으로 작품을 만든다. [...] 이 객관적 예술가의 작품은 비개성적이 아니라 초개성적이다. 그는 자신 앞에 놓인 모든 것을 유일무이한 완벽함으로 다시 한번 그리고 최종적으로 표현하고픈 열망만 가진 듯이 보인다. 이렇듯 그의 내부에는 그가 아니라 그 시대의 정신이 살고 있으며, 지난 세대와 현세대의 모든 예술상의 모색과 욕망, 창작과 동경, 그리고 방황이 그 안에서 한데 어우러져 힘을 발한다.


루터가 가장 좋아한 작곡가는 프랑스 왕 루이 12세의 궁정악장 조스캥 데프레(1450~1521), 그리고 하인리히 이자크의 제자로 빈과 뮌헨 궁정에서 활동한 루트비히 젠플(1555년경 사망)이었다. 조스캥에 대한 루터의 발언은 유명하다. “그는 음표의 대가다. 음표는 그가 원하는 대로 할 수밖에 없고, 다른 작곡가는 음표가 원하는 대로 할 수밖에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346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