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기독교사 1 : 1945년까지

한국 기독교사 1 : 1945년까지

(복음주의자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의 기독교 역사)

김명구 (지은이)
예영커뮤니케이션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기독교사 1 : 1945년까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기독교사 1 : 1945년까지 (복음주의자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의 기독교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83509932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18-06-15

책 소개

신학도들과 목회자들, 교회지도자들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을 공부하는 학도들에게도 초점을 맞추었다. 기독교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시대 요구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고, 기독교 복음의 진수를 이해해야 한국 교회를 향한 몰이해적 비판도 멈출 수 있다고 보았다.

목차

발문
저자 서문



기독교 공식 선교 이전의 시대적 서설(序說)

1부 근대와의 충돌
1장. 조선과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충돌
2장. 근대문명과의 충돌-제너럴셔먼호 사건, 신미양요

2부 기독교 선교의 필연적인 조건과 그 시작
1장. 근대국가 구축의 이데올로기
2장. 새로운 근대사상 정립의 시도-신앙 영역에 대한 거부
3장. 이수정에 대한 배척



선교의 시대

1부 기독교 선교의 호기(好期)-합법적 선교의 시작
1장. 미 북감리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2장. 미 북장로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3장. 선구자 맥클래이(Robert S. Maclay)
4장. 만주의 스코틀랜드 선교사들을 통한 복음 전파
5장. 기독교 선교사들의 입국
6장. 의료와 교육 선교-복음 전파의 교두보
7장. 기독교 병원-선교신학의 분리
8장. 기독교 학교-복음적 목표와의 괴리 확인
9장. 의료·교육 선교의 확장-Pros와 Cons
10장. 교회의 공식적 시작-서울유니온교회, 벧엘교회, 정동장로교회의 출발
11장. 내륙(內陸)으로의 선교지 확보 모색
12장. 여러 교파의 조선 선교
13장. 선교지 분할과 예양의 문제
14장. 선교방식-복음 전도의 선교방식
15장. 기독교 선교사들과 정치와의 관계

2부 복음의 분화와 기독교 기호계 민족주의의 발흥
1장. 이승만과 한성감옥의 입교자들
2장. 황성기독교청년회(皇城基督敎靑年會, YMCA)의 창설과 그 전개
3장 복음 분화의 사회학-시대적 이유, 계급·계층적 이유,지역적 이유



한국 교회 시대의 도래

1부 시대적 상황과 한국 기독교의 대처 방식
1장. 시대적 상황-러일전쟁과 을사늑약
2장. 대응과 대처 방식의 분화

2부 1907년 영적 대각성 운동-역사의 필연
1장. 영적 대각성 운동의 토대
2장. 평양대각성운동
3장. 백만인구령운동(Evangelizing a Million Korea Homes)
4장. 한국 장로교회 정치제도의 수립-복음주의 신학의 전통 확인
5장. 1907년 평양대각성 운동의 해석학
6장.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의 한국 선교 시작

3부 기독교와 민족운동
1장. 105인 사건
2장. ‘개정사립학교 규칙’과 ‘포교 규칙’ 공포
3장. 3·1운동
4장. 기독교와 상해임시정부

4부 기독교와 1920년대-분리와 분열의 시대
1장. 문화정치와 시대적 시련-한국 사회 분열 획책
2장. 기독교 민족주의계간의 격렬한 분열과 대립
3장. 한국 기독교의 분리와 분열
4장. 한국 교회의 분열-시대 상황 대처에 대한 이견, 지역적·신학적 갈등

5부 기독교와 공산사회주의
1장. 반기독교 운동과 공산사회주의의 기독교회 공격
2장. 공산주의에 대한 역사적 경험-신간회와 만주에서의 경험
3장. 기독교계의 반응과 대응
4장. 기독교 농촌 운동
5장. 교회부흥운동과 부흥회

6부 한국 감리교회의 형성과 한국 교회의 전향
1장 남북감리교회의 합동-사회복음주의로의 이향 선언과 미국 교회 지향 확인
2장 일본의 기독교 박해와 한국 기독교의 전향

색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회사 전공, 서울 YMCA 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한국교회학연구소 고문, 『한국 기독교사 1』(예영 커뮤니케이션, 2018), 『한국 기독교사 2』(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Nationalism, Religion and Democracy(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13)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 곧 19세기 영미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역사를 보려 했던 결과물이다. 동시에 신앙고백서이기도 하다. 기독교 복음이 한국에 들어와서 어떻게 진행되고 무슨 이유로 갈라졌으며,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현상화되었는지 보고 싶었다. 분명한 것은, 기독교가 한국 역사에 지울 수 없는 영향을 끼쳤고 어떤 그룹과 비교할 수 없는 공적을 남겼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고 “역사라는 것이 하나님의 세계 통치라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복음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와 세계성이 한국 민족의 명제였던 독립을 이루게 했고 한국 역사를 견인했음을 거듭 확인했고, 동시에 기독교회사를 모르면 한국 역사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올바로 밝혀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일반사와 기독교사가 구별되지 않는다는, 스승 민경배 선생님의 말씀이 옳았음도 확인했다. 기독교 복음이 기독교인들의 신앙고백으로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세계사와 한국 역사를 직결시킨 실체라는 것, 신앙과 역사가 동떨어져 분리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것이다.


장로교 선교사들은 선교지 분할에만 그치지 않고 감리교와의 교계예양(敎界禮讓, comity arrangement)을 결정했다. 효율적인 복음 전파를 위해 선교 지역을 분할해 선교하자는 제안을 수락했던 것이었다. 선교 지역 분할은 시간의 경제에서나 재정의 관리 그리고 새 선교 단체의 활동 개시 때에 제기되는 갈등을 극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었다.
1888년에 접어들면서, 북감리교와 북장로교 선교사들은 빈번하게 회합을 가졌다. ‘영아소동’을 비롯해 선교사 배척 운동이 일어나면서 공동 대처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이 회합에서 선교 구역 조정 문제가 자연스럽게 제기되었고, 선교지 분할 문제가 정식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경쟁과 충돌보다는 연합과 협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던 것이다.
1888년 3월, 북감리교 선교부를 대표했던 아펜젤러는 언더우드에게선교지 분할에 대한 기본적 원칙을 제시했다. 각 선교부가 부락을 나누어서 선교 사역을 하되, 이미 상대 선교부가 선교를 시작한 곳에 대한 선점권을 인정하자는 것이었다. 단 그 지역의 교인들이 요청하면 이를 예외로 하기로 했다. 이 제안에 대해 언더우드는 부락 별로 나누지 말고 “도(道)와 도시를 중심으로 해서, 선교 구역을 나누자”고 수정제안을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