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061494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4-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함재봉 (한국학술연구원 원장)•02
추천사 김주용 (연동교회 위임목사)•04
서문 송인설 (한국교회학연구소 소장)•06
목차•
김필례 _
Ⅰ. 들어가는 말 17
Ⅱ. 김필례 가계(家系)와 기독교 신앙 20
Ⅲ. 신앙의 구조와 신학적 주제 26
1. 신앙의 구조 –영적구원과 사회, 국가를 향한 복음적 사명•26
2. 기독교적 인간관 – 근대적 여성의 발견•35
3. 복음의 확장•40
Ⅳ. 교육의 이상 45
1. 근대적 여성상의 실현 –주체적, 전문적인 여성•45
2. 민주주의의 고양 –인간화•51
Ⅴ. 나가는 말 54
연보•56
이상재 _
Ⅰ. 들어가는 말 61
Ⅱ. 생애와 활동 63
1. 박정양과의 관계•63
2. 정동개화파(친미개화파) 이상재•66
3. 기독교 입교 과정과 활동•70
1) 한성감옥에 수감•70
2) 연동교회와 YMCA 입교와 입회, 그리고 게일•73
3) YMCA 초기 활동•81
4) YMCA 학관과 청년교육의 목표•84
Ⅲ. 이생재의 민족주의 운동 88
1. 3.1운동의 정신적 배후•88
2. 민립대학(民立大學) 설립운동•90
3. 흥업구락부 부장 이상재•96
Ⅳ. 신간회 운동 102
Ⅴ. 사상-신부적(神賦的) 국가관-인권관과 경제민주주의 원점 107
1. 신부적(神賦的) 국가관 –인권관•107
2. 경제민주주의 원점•111
Ⅵ. 나가는 말 116
연보•120
김정식 _
Ⅰ. 들어가는 말 125
Ⅱ. 관직 활동과 옥중 기독교 입교 128
1. 초기 생애와 관직 이력•128
2. 수감 중 신앙 체험•136
Ⅲ. 황성기독교청년회와 도쿄 조선기독교청년회 활동 142
1. 황성기독교청년회 수석 간사•142
2. 도쿄 조선기독교청년회 수석 총무•144
Ⅳ. 도쿄 연합예수교회 설립 및 김정식이 끼친 영향 153
1. 도쿄 연합예수교회의 설립•153
2. 김정식의 기독교 청년운동이 끼친 영향•159
Ⅴ. 나가는 말 165
연보•168
강신명 _
Ⅰ. 들어가는 말 173
Ⅱ. 복음주의의 통일성과 다양성 176
1. 복음주의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역사적 이해•176
2. 복음주의의 통일성•178
3. 복음주의의 다양성•179
Ⅲ. 강신명의 생애 181
Ⅳ. 강신명의 신학 186
1. 강신명의 복음주의 신학•186
1) 회심주의•186
2) 성서주의•187
3) 행동주의•188
4) 십자가중심주의•189
2. 강신명의 복음주의 신학의 발전•191
1) 경건주의와 복음주의•
2) 에큐메니칼 복음주의•
Ⅴ. 나가는 말 196
연보•200
정경옥 _
Ⅰ. 들어가는 말 205
Ⅱ. 정경옥의 생애 206
Ⅲ. 정경옥에 대한 신학연구사 213
1. 1960년대 신학연구사•213
2. 1970년대 신학연구사•213
3. 1980년대 신학연구사•214
4. 1990년대 신학연구사•215
5. 2000년대 신학연구사•217
Ⅳ. 정경옥의 복음주의 신학 223
1. 복음주의•223
2. 성경•225
3. 회심•228
4. 영적인 변화된 생활•231
Ⅴ. 나가는 말 235
연보•238
강원용 _
Ⅰ. 들어가는 말 243
Ⅱ. 강원용의 생애, 교회사적 의미 244
1. 생애•244
1) 농촌 산골마을 야학과 교회개척에 열심이던 젊은 기독청년:
1917-1937•
2) 일본 통치의 마지막, 조국의 분단과 6.25, 그리고 강원용의 삶과 학문수업: 1938-1957•
3) 귀국이후 크리스챤 아카데미: 1957-1979•
4) 유신 붕괴 이후- 인생의 마지막: 1980-2006•
2. 교회사적 활동•251
1) WCC에 참여•
2)한국기독교신풍운동•
Ⅲ. 강원용의 사상적 배경과 내용 256
1. 배경•256
1) 지역•257
(1) 함경도•257
(2) 북간도 용정•259
2) 인물•261
(1) 프란체스코와 가가와 도요히코•261
(2) 김재준, 라인홀드 니버, 폴 틸리히와의 만남•261
3) 성 야고보 전도교회와 에큐메니칼운동•264
(1) 성 야고보 전도교회•264
(2) 에큐메니칼 운동•266
2. 사상: 인간화와 교회이해•268
1) 인간화•269
2) 교회이해•272
3. 두개의 실천적 요람•273
1) 경동교회•273
2) 사회참여 활동: 크리스챤 아카데미 운동과 대화•
Ⅳ. 나가는 말 278
연보•280
참고문헌•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