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350997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4
이 책을 시작하며 ◆ 14
프롤로그: 디아코니아, 교회와 생명 ◆ 19
1장 프롤레고메나 ◆ 31
1. 왜 디아코니아를 말하는가?
- 디아코니아 교회론 정립을 위해
2. 전이해: 디아코니아와 말씀하시는 하나님
2장 디아코니아의 구약성경적 이해 ◆ 55
1. 예배로서의 섬김
2. 사랑으로서의 섬김
3. 복음전파로서의 섬김
4. 준행으로서의 섬김
5. 자연을 돌봄으로서의 섬김
6. 요약: 구약성경에 나타난 섬김의 의미를 마무리하면서
3장 디아코니아의 신약성경적 이해 ◆ 89
1. 섬김으로서의 디아코니아
2. 대접으로서의 디아코니아
3. 복음 전파로서의 디아코니아
4. 직분으로서의 디아코니아
4.1. 사도행전에 나타난 직분
4.2. 바울 서신에 나타난 직분
5. 구제로서의 디아코니아
6. 구제 헌금 혹은 부조로서의 디아코니아
6.1. 사도행전에 나타난 부조
6.2. 로마서와 고린도후서에 나타난 부조
7. 코이노니아로서의 디아코니아
8. 은사로서의 디아코니아
9. 요약: 디아코니아의 신약성경적 의미를 마무리하면서
4장 디아코니아와 신학 안에서의 인접분야와의 관계: 하나님 나라 진보의 추동과 연동으로서의 디아코니아 ◆ 135
1. 디아코니아와 삼위일체론
2. 디아코니아와 기독론
3. 디아코니아와 성령론
4. 디아코니아와 종말론
5. 디아코니아와 교회론
6. 디아코니아와 성례
7. 디아코니아와 목회
8. 디아코니아와 선교
9. 디아코니아와 기독교 사회 윤리
10. 디아코니아와 기독교 교육
11. 디아코니아와 예배
12. 디아코니아와 젠더
13. 디아코니아와 사이버 공간
14. 디아코니아와 장애
5장 결론 ◆ 253
에필로그: 디아코니아와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 ◆ 260
참고문헌 ◆ 270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회의 디아코니아는 성경이 보여 준 예수의 삶과 정신을 최선으로 택하여 굳게 지켜(택선고집, 擇善固執) 시대를 거슬러 근본으로 돌아가고자(역시귀본, 逆時歸本) 하는 교회의 본래적 행보라고 생각한다. 이러 한 치열한 노력 없이 어떻게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을 수 있겠는가?
국문학자 정민 교수는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추구하던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가장 큰 특징을 “벽(癖)”으로 보았다. 이 “벽”은 미친 듯 몰두하여 다른 것을 돌아보지 않는 몰입의 상태를 가리킨다.
사도 바울의 삶이 바로 이 “벽”의 삶이었다. 그는 예수에게 사로 잡혀 오직 한길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삶을 향하여 복음의 증인으로서의 삶을 오롯이 살았다(빌 3:12-14; 골 1:24-25). 그는 예수로 인해 세상에 대해 바보가 된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벽”이다. 나는 오늘의 교회가 “디아코니아벽”에 걸렸으면 좋겠다. 이것은 그야말로 큰 병이요 장애지 만, 세상을 살리는 병이요, 장애이다. 이제 교회 건물은 그만 짓고, 묘지 도 땅도 그만 사고, 오직 디아코노스(종) 예수에 사로잡혀 “디아코니아 벽”에 미친 교회를 보고 싶다.
_ 프롤로그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디아코니아는 개인적이면서 공동체 지향적이다. 그것은 파편적이지 않고, 포괄적이면서 통전적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백성이요 자녀 된 이 땅의 교회는 이러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디아코니아를 겸손히 본받아야 할 것이다. 우리의 디아코니아는 사적인 관계뿐만이 아니라 모든 공적인 영역에서도 그대로 실천되어야 한다. 하나님이 인간의 몸으로 이 땅에 오셔서 우리와 소통하셨듯이 디아코노스(종) 예수가 교회의 머리로서 디아코니아를 몸으로 실천하심으로 세상과 철저히 소통하셨다. 디아코노스 예수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역시 몸으로 철저하게 세상과 소통해야만 하는 것이다.
코이노니아라는 개념 속에는 교제, 친교, 사귐의 의미도 있지만, 디아코니아의 의미를 포함한 섬김과 봉사의 의미도 그 안에 있다. 서로 간의 친밀한 교제와 사귐을 지속적으로 가지는 노력을 통해 교회는 이 땅의 갈등의 요소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코이노니아는 교회론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온전한 사귐이 있는 그곳에서 효과적인 교회의 디아코니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디아코니아와 코이노니아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이루면서 우리의 삶을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으로 직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디아코니아는 하나님과의 바른 윤리를 가능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_ 1장 프롤레고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