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인들이 결딴낸 우리말

시인들이 결딴낸 우리말

권오운 (지은이)
문학수첩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인들이 결딴낸 우리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인들이 결딴낸 우리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8392722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에서 우리 문학 작품에 사용된 잘못된 사례를 하나하나 찾아 우리말의 옳고 그름을 알려줬던 우리말 지킴이 권오운이 이번에는 다시 한 번 ‘시’로 우리말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목차

머리말 _7

1장 산과 들에서 잘못 피어난 우리말
만일 ‘열무꽃’을 보았다면 처녀 불알도 보았으리! _11
죽었다 깨더라도 ‘민들레 홀씨’는 없다 _20
벚나무가 꽃이 피면 ‘벚꽃나무’가 된다고? _29
아니! 고사리로 ‘이엉’을 엮는다고요? _35
금줄에 ‘솔가지’는 없다 _45
‘땡감’은 있어도 ‘땡감나무’는 없다 _57

2장 점점 잊히는 정다운 우리말
술래를 정하는 말 ‘고드래뽕’을 아십니까? _71
강원도에서는 ‘벙치매미’가 운다? _81
우리말 ‘다모토리’를 아십니까? _91
‘꾀복쟁이’가 아니라 ‘발가숭이’다 _103
이름을 모를 뿐 ‘이름 없는 꽃’이란 없다 _112
‘바둑머리’는 있어도 ‘까치머리’는 없다 _121
단추는 ‘달아’ 입어야 한다 _128

3장 국어학자도 놓치기 쉬운 우리말
‘산달을 앞둔’ 사람은 ‘임산부’가 아니라 ‘임신부’다 _137
‘토막잠’이라는 ‘잠’은 없다 _148
‘숨바꼭질’ 속에는 ‘술래잡기’가 숨어 있다 _159
‘지구의 반대편’은 도대체 어디인가? _170
‘논다니’와 놀아나면 ‘달첩’이 운다 _180
‘성긴 눈’은 있어도 ‘성긴 눈발’은 없다 _191

4장 일상에서 잘못 쓰기 쉬운 우리말
플랫폼에 ‘지하철이 들어온다’고요? _203
‘도둑고양이’만 있고 ‘길고양이’는 없다 _216
당신이 ‘빈정 상하면’ 나는 ‘비위 상한다’ _228
라면은 ‘불지’ 않고 ‘붇기’만 한다 _239
이런 떡을할! ‘풍지박산이 났다’네 _249
‘난이도’는 있어도 ‘승부욕’은 없다 _258
‘살색’이 아니라 ‘살구색’입니다 _270

5장 시골에서 결딴난 우리말
‘천수답(天水畓)’은 있어도 ‘천답(天畓’)은 없다 _283
‘너와집’은 ‘돌기와집’이다 _296
벼를 ‘빻을’ 수는 없다 _305
‘홰’에는 닭이 오르고 ‘횃대’에는 옷이 걸린다 _317
‘숫병아리’가 아니라 ‘수평아리’다 _328
누구 ‘은주발’ 보신 분 있습니까? _337
‘햇콩’, ‘햇팥’이 아니라 ‘해콩’, ‘해팥’이다 _345
못생기기로 ‘도치’ 뺨칠 놈이 ‘삼세기’다 _353

저자소개

권오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강릉 출생. 196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KBS 출판부장, 편집위원 역임.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겸임교수 역임. 지은책; <원님 전 상서> (시집) <알 만한 사람들이 잘못 쓰는 우리말 1234가지> <우리말 지르잡기> <작가들이 결딴낸 우리말> <우리말 소반다듬이> 등.
펼치기

책속에서

말이 생각의 그릇을 키우고 그 생각이 나라의 수준을 올리는 만큼 국민이 국어에 좀 더 귀 기울이고 바르게 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글을 쓰는 사람들이 귀담아들어야 할 소리다. 되잖게 휘갈겨대다가는 우리의 소중한 한국어는 ‘가정언어’로도 살아남지 못하리라고 생각한다. 말이 통해야 말이지!_12~13쪽, <1장 산과 들에서 잘못 피어난 우리말>에서


‘이불을 꿰매고’ 또 ‘단추를 꿰매는’ 것이 옳은 표현일까? 천만의 말씀이다. 우선 ‘꿰매다’의 뜻부터 알아보자. ‘옷 따위의 해지거나 뚫어진 데를 바늘로 깁거나 얽어매다’가 ‘꿰매다’이다. 그렇다면 (4)의 경우는 어떤가? ‘홑청의 귀를 맞추고’ 있는 것을 보면 아내는 지금 이불의 어디를 꿰매는 것이 아니라, 벗겨서 빨아 놓은 홑청을 ‘시치고’ 있는 것이다. ‘바느질할 때, 여러 겹을 맞대어 듬성듬성 호다’가 ‘시치다’이다._132쪽, <2장 점점 잊히는 정다운 우리말>에서


밤에 자는 잠이 ‘밤잠’이고, 낮에 자면 ‘낮잠’이 된다. 아침에 늦게까지 자면 ‘아침잠(‘늦잠’이기도)’이고, 초저녁에 일찍 자면 ‘초저녁 잠(저녁잠)’이다. 봄날에 노곤하게 자는 잠은 ‘봄잠’인데, ‘가을잠’이라는 말은 없고, ‘여름잠’과 ‘겨울잠’은 동물에게만 허용된 잠이다. 깨워야 할 잠이 있는가 하면, 곯아떨어져야 할 잠이 있고, 나가떨어져야 할 잠도 있다. 우리는 무슨 잠이든 자긴 자야 한다._156쪽, <3장 국어학자도 놓치기 쉬운 우리말>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