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88983948854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목차
Chapter1 감염병과 인간
-감염병이란 무엇일까?
-감염병은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신이 내린 형벌
-마녀, 감염병으로 박해받다
[생각발전소] 전염병 대신 감염병
Chapter2 감염병, 세상을 뒤흔들다
-예수와 한센병
-신의 저주, 페스트
-아스테카와 잉카 제국을 멸망시킨 천연두
-나폴레옹을 좌절시킨 발진 티푸스
-인류 최대의 재앙, 스페인 독감
[생각발전소] ‘글쟁이들의 직업병’이라고 불린 결핵
Chapter3 의학의 발전으로 감염병의 원인이 밝혀지다
-미생물의 존재를 깨닫게 한 현미경의 발명
우리 몸에도 살고 있는 세균
세균보다 더 작은 바이러스
[생각발전소]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
어둡고 습한 곳을 좋아하는 곰팡이
기생충은 왜 욕을 먹을까?
-제너와 종두법, 예방 접종의 시초
-상수도 공급과 노로 바이러스
[생각발전소] 세계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Chapter4 우리의 일상생활을 바꾼 현대의 질병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와 에이즈
-여전히 살상력 강해 무서운 바이러스, 에볼라
-사스 때문에 홍콩 병원에 감금된 사람들
-사육하는 닭이 전파시키는 감염병, 조류 인플루엔자
-신종 플루의 유행
-낙타 독감,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아기
-세계보건기구가 팬데믹을 선언한 코로나19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도 있다?
-생물 무기와 세균
[생각발전소] 바이러스로 암을 치료한다?
Chapter5 영화 속의 감염병
-<연가시>처럼 사람을 조종하는 병원균이 있을까?
-<부산행>의 좀비처럼 빨리 번지는 바이러스가 존재할까?
-<우주전쟁>의 승자는 누구일까?
-격리가 무엇인지 보여 주는 영화 <감기>
-세균과 바이러스의 생존법을 보여 준 <월드워 Z>
-세균과 바이러스를 악용하는 사람들, <인페르노>와 <창궐>
-<괴물>의 탄생 이유와 <컨테이전>
[생각발전소] 나이가 들어도 병에 걸리지 않고 죽지 않는다면?
Chapter6 감염병과 인간의 미래
-항생제가 쓸모없게 된다? 항생제 내성
-미래에는 감염병이 없어질까?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세균
-감염병 예방의 첫걸음, 손 씻기
-깨끗한 환경이 오히려 해로운 감염병, A형 간염
-환경 파괴는 새로운 감염병을 부른다
[생각발전소] 유전자 조작은 미래의 질병 치료법이 될까?
리뷰
책속에서
또 홍콩 독감이나 우한 코로나로 부르게 되면 홍콩이나 우한 지역에 사는 또는 이 지역을 거쳐 간 이들을 미워하게 되거나 차별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감염병을 옮긴 사람들이니 당연히 그렇게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감염병을 생물학적 무기처럼 의도적으로 유포시킨 경우가 아니라면 감염병에 걸린 환자들 역시 피해자예요. 다른 사람들이 감염되지 않도록 사람들과 접촉을 차단, 즉 격리는 할 수 있어요. 하지만 격리하더라도 그들 역시 최선의 치료를 통해서 감염병을 극복하도록 우리 사회가 도와야 하는 환자랍니다.
만약 감염병이 무서워 어떤 특정한 사람들을 죄인 취급하면 어떻게 될까요? 감염병보다는 사람들의 낙인이나 비난이 무서워 숨게 되기 일쑤예요. 그럼 누가 감염병에 걸렸는지 알 수 없어서 보건 당국이나 의료진은 더욱 난관에 빠지게 되고, 감염은 모르는 사이 더 많이 퍼지게 되지요. 결국 감염병에 걸린 이들이 스스로 신고하고 제대로 치료받도록 도와야 우리 사회 전체가 감염병 위기로부터 안전을 찾아갈 수 있어요. 이처럼 바이러스 이름 짓는 데에도 많은 것들을 감안해야 한답니다.
바이러스 질환 가운데 생물학적 무기로 쓰일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의심받는 것이 하나 있어요. 바로 세계보건기구(WHO)가 벌써 수십 년 전에 박멸 선언을 한 천연두예요. 인류 최초의 예방 접종인 우두 접종 덕분에 이 질환에 걸리는 사람들이 없어졌고, 천연두는 마침내 인류의 곁에서 사라졌어요. 벌써 오래 전부터 천연두 예방 접종은 하지 않고 있어요. 이는 다시 말하면 과거 어린 시절에 천연두를 앓았던 일부 노인들과 천연두 예방 접종을 받았던 중년층을 제외한 나머지는 천연두에 대해 무방비 상태라는 것이지요. 이 때문에 천연두의 경우 언제든 강력한 생물학적 무기로 쓰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와요. 이는 공공연한 비밀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나라에서 천연두 예방 백신을 아직도 비축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혹시 모를 전쟁에 대비해야 하니까요. 물론 천연두와 같은 질환을 전쟁에 활용하는 일은 없어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