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306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12-03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성민정(한국PR학회 제22대 학회장, 중앙대학교 교수)
서 문 정의철(저술위원장, 상지대학교 교수)
비판적 소통 관점이 필요한 때!
1장 감염병 시대, 헬스커뮤니케이션과 PR의 역할 - 정의철
1. 들어가는 말: 건강 위기와 커뮤니케이션(학)의 위기
2. 감염병의 역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3. 건강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대안적 관점
4. ‘프레카리아트’의 위기와 인권의 위기
5. 코로나19는 어떤 위기이며,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6. 건강불평등에 대응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
7. 감염병 시대, ‘보건소통’과 PR의 역할 및 변화
감염병에도 역사가 있다!
2장 역사와 공익캠페인 사례 고찰을 통한 감염병 극복의 소통 의미 분석 - 김현정ㆍ박영희ㆍ최선아ㆍ권종애
1. 감염병 역사와 사회적 소통의 관계는 무엇인가?
2. 역사 속의 감염병 기록과 극복 방안
3. 감염병 관련 공동체 책임 대응과 소통: 공익캠페인을 중심으로
4. 마치며
감염병 언론 보도와 K-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장 최근 주요 감염병에 대한 언론 보도와 국민 소통: 사스,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김양중
1. 인류 역사에서의 감염병
2. 최근 국내 주요 감염병 대응과 언론 보도
3. 감염병과 언론 보도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와의 전쟁!
4장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의 실태와 공공PR의 역할 - 임유진
1. 가짜 뉴스의 위험성
2. 가짜 뉴스에 대한 기존 논의
3. 유튜브 랭킹 사이트를 이용한 콘텐츠 수집과 언론 기사 활용
4. 유튜브에 나타난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 소재
5. 다양한 가짜 뉴스 대응 사례
6. 가짜 뉴스 대응을 위한 대안적 방안
확산이론과 코로나19 정보의 관련성은?
5장 미주 한인 이민자들 간의 코로나19 정보 소통: 확산이론과 정보 탐색 채널을 중심으로 - 박슬기ㆍ김도균ㆍ한은정
1. 코로나19 팬데믹, 미주 한인 언론과 커뮤니티의 역할
2. 확산이론을 통해 본 코로나19 정보 흐름의 특성
3. 미주 한인의 코로나 정보 탐색 채널
4. 효과적인 정보 확산을 위한 과제
위험-기회 모형이 주는 해결책이란?
6장 위험-기회 모형과 성공적인 방역소통의 조건 - 안도현
1. 문제해결로서의 소통
2. 왜 위험-기회 모형인가?
3. 실재와 인식의 심리작용
4. 방역소통의 함의
5. 성공적인 소통을 위한 조건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기치 않은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는 보건의 위기, 소통의 위기를 넘어서 사회의 전 시스템과 삶의 방식이 흔들리는 혼란을 겪었고, 그것은 현재 진행 중이기도 하다.
- 발간사
코로나19를 계기로 정부와 전문가 중심으로 전개되던 의학적 관점의 방역과 보건정책을 뛰어넘어,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타인과 공동체의 건강을 존중하고, 상호 배려하는 시민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 참여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 서문
일상화된 감염병 국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즉 소통 차원의 대응은 필수적이다. 특히 언론은 물론, 다양한 채널들을 활용해 신종감염병과 관련된 불평등과 차별 문제들을 의제화하고, 필요한 공동체의 관심과 정책을 공론화하며, 소통해야 한다.
- 1장 비판적 소통 관점이 필요한 때! 감염병 시대, 헬스커뮤니케이션과 PR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