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자인 심사.심판실무

디자인 심사.심판실무

노태정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자인 심사.심판실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자인 심사.심판실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88984112766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09-07-15

책 소개

디자인등록출원에 대해 주로 실체심사를 행하는 심사관이 디자인보호법에서 정하고 있는 등록요건에 대한 사고방식과 실무상의 취급에 관해 설명하는데 주력하였다. 디자인 유사와 관련하여 실무상 적용하는 유사여부판단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구체적인 사실과의 관계에서 법원이 어떤 판단을 하였는가에 관해 살펴본다.

목차

제1장 디자인등록제도의 의의

제1절 서 설 3
Ⅰ. 지식재산권의 분류 3
Ⅱ. 산업재산권제도의 목적과 보호대상 4
Ⅲ. 산업재산권 출원현황 5
1. 우리나라 산업재산권 출원현황 / 5
2. 주요국의 산업재산권 출원현황 / 6
제2절 디자인보호법의 목적과 보호의 기조 6
Ⅰ. 디자인보호법의 목적 7
1. 디자인의 보호 / 7 2. 디자인의 이용 / 10
3. 디자인의 창작장려 / 12 4. 디자인과 산업발전 / 12
Ⅱ. 디자인보호의 기조 14
1. 권리주의 / 14 2. 등록주의 / 15
3. 심사주의와 무심사주의의 병행 / 15 4. 선출원주의 / 17
제3절 디자인보호법과 인접법 17
Ⅰ. 서 언 17
Ⅱ. 디자인보호법과 인접법과의 관계 18
1. 디자인보호법과 특허법·실용신안법 / 18
2. 디자인보호법과 상표법 / 20 3. 디자인보호법과 저작권법 / 23
4. 디자인보호법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 25

제2장 디자인심사

제1절 심사절차 31
Ⅰ. 개 설 31
1. 출원번호통지 / 31 2. 방식심사 / 31
3. 실체심사 / 33
Ⅱ. 방식심사 33
1. 의 의 / 33 2. 출원서류 등의 반려 / 34
3. 보정명령 / 36 4. 절차의 무효 / 36
Ⅲ. 실체심사 36
1. 의 의 / 36 2. 심사관에 의한 심사 / 37
3. 심사방식 / 38 4. 실체심사사항 / 38
Ⅳ. 선행디자인의 조사의뢰 등 41
제2절 디자인등록의 주체적 요건 41
Ⅰ.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자 41
1. 권리능력을 가진 자 / 42
2.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 / 42
3. 선출원자 / 44
Ⅱ.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없는 자 44
1. 무권리자(제26조 제1항 제3호) / 44
2. 특허청 및 특허심판원 직원(제26조 제1항 제3호) / 45
Ⅲ. 공동출원(제10조) 45
Ⅳ. 외국인의 권리능력(제4조의24) 46
제3절 디자인의 성립요건 46
Ⅰ. 디자인의 정의(제2조 제1호→제5조 제1항 본문) 47
Ⅱ. 물품에 관한 것(물품성) 47
1. 의 의 / 47
2. 디자인등록의 대상이 되는 물품의 범위 / 48
3. 심사실무상 물품성이 인정되지 않는 것 / 52
4. 물품의 부분(부분디자인) / 54
Ⅲ. 물품자체의 형상?모양?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에 관한 것(형태성) 57
1. 의 의 / 57 2. 물품과 형태 / 58
3. 형태 구성요소 / 58
4. 형태구성요소에 의한 디자인의 구분 / 60
5. 형태성에서 문제가 되는 대상 / 63
Ⅳ. 시각을 통하는 것(시각성) 65
1. 의 의 / 65
2. 시각성을 가지지 않는 것 / 66 3. 시각성에 관한 문제 / 67
Ⅴ.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심미성) 68
1. 의 의 / 68 2. 미감에 관한 제설 / 69
3. 심사실무상 미감을 일으키게 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예 / 70
Ⅵ. 글자체디자인 71
1. 의 의 / 71 2. 글자체디자인의 성립요건 / 72
제4절 디자인등록의 실체적 요건 74
Ⅰ. 공업상 이용가능성(제5조 제1항 본문) 74
1. 의 의 / 74
2. 공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는 디자인 / 75
Ⅱ. 신규성(제5조 제1항 각호) 80
1. 의 의 / 80 2. 신규성의 판단기준 / 81
3. 신규성이 상실된 디자인 / 82 4. 신규성상실의 예외(제8조) / 86
Ⅲ. 창작비용이성(제5조 제2항) 93
1. 의 의 / 93 2. 창작비용이성의 판단기준 / 94
3. 창작용이한 디자인의 구체 예 / 95
4. 법 제5조 제1항 제3호와 제5조 제2항과의 관계 / 104
제5절 디자인등록의 절차적 요건 104
Ⅰ. 1디자인1출원 원칙(제11조) 105
1. 의 의 / 105
2. 1디자인1출원 원칙의 내용 / 105
3. 1디자인1출원 원칙의 위반 예 / 110
Ⅱ. 복수디자인등록출원요건(제11조의2) 113
1. 의 의 / 113
2. 복수디자인등록출원의 요건 / 114
3. 복수디자인등록출원된 디자인 중 일부 디자인에 대해 거절이유가
있는 경우의 취급 / 118
Ⅲ. 선출원주의(제16조) 119
1. 의 의 / 119 2. 선후원 판단의 기준 / 119
3. 선출원주의의 내용 / 121
4. 선출원의 지위를 가지는 출원과 가지지 않는 출원 / 125
5. 디자인보호법 제5조 제1항(신규성)과 제16조 제1항(선출원)의 적용
관계 / 126
Ⅳ. 확대된 선출원(제5조 제3항) 127
1. 의 의 / 127 2. 적용요건 / 128
3. 선출원디자인과 후출원디자인과의 관계 / 129
4. 적용대상이 되는 선후출원디자인의 구체적 유형 / 130
5. 적용에 관한 시기적 요건 / 132
6. 법 제5조 제3항과 제16조와의 관계 / 132
Ⅴ. 디자인무심사등록출원할 수 있는 디자인(제9조 제6항) 133
제6절 디자인등록의 특별요건 135
Ⅰ. 부분디자인제도(제2조 제1호) 135
1. 의 의 / 136 2. 부분디자인의 성립요건 / 136
3. 부분디자인의 등록요건 / 136
Ⅱ. 유사디자인제도(제7조) 140
1. 의 의 / 140
2. 유사디자인제도에 관한 학설?판례 / 141
3. 유사디자인의 등록요건 / 142
4. 유사디자인무심사등록출원디자인의 등록요건(제26조 제1항제5호) / 149
Ⅲ. 한 벌 물품의 디자인제도(제12조) 151
1. 의 의 / 151
2. 한 벌 물품 디자인의 성립요건 / 152
3. 한 벌 물품 디자인의 등록요건 / 156
4. 효 과 / 157
Ⅳ. 비밀디자인제도(제13조) 160
1. 의 의 / 160 2. 비밀디자인의 청구요건 / 161
3. 비밀디자인 청구의 효과 / 162
4. 비밀디자인의 예외적 열람 및 공개 / 164
5. 비밀디자인으로 청구할 경우의 이익과 불이익 / 164
Ⅴ. 동적 디자인제도 165
1. 의 의 / 165 2. 동적 디자인의 성립요건 / 166
3. 동적 디자인의 구체 예 / 167 4. 동적 디자인의 출원절차 / 168
제7절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없는 디자인 169
Ⅰ. 국기?국장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제6조 제1호) 169
1. 의 의 / 169
2. 등록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 170
3. 구체적 판단 및 판단시점 / 170
Ⅱ. 선량한 풍속에 어긋나거나 공공질서를 해칠 우려가 있는 디자인
(제6조 제2호) 171
1. 의 의 / 171
2. 등록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 171
3. 구체적 판단 및 판단시점 / 172
Ⅲ. 타인의 업무에 관계되는 물품과 혼동을 가져올 염려가 있는 디자인(제6조 제3호) 172
1. 의 의 / 172
2. 등록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 174 3. 구체적인 태양 / 174
4. 판단의 주체적 기준 및 시점 / 175
5. 혼동의 염려가 있으나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 176
Ⅳ.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 불가결한 형상만으로 된 디자인
(제6조 제4호) 177
1. 의 의 / 177
2. 등록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 177
3. 구체적 판단 및 판단시점 / 178
제8절 조약규정에 의한 요건 181
Ⅰ. 우선권의 의의 181
Ⅱ. 우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자 181
1. 정규의 출원 / 182 2. 출원인 또는 그 승계인 / 182
Ⅲ. 우선권의 성립요건 182
1. 객체적 요건(출원내용의 동일성) / 182 2. 절차적 요건 / 183
Ⅳ. 우선권 주장의 인정여부판단 184
Ⅴ. 우선권의 실효 185
Ⅵ. 우선권의 효과 185
제9절 거절이유통지에 대한 출원인의 대응 및 심사관의 처분 186
Ⅰ. 거절이유통지에 대한 출원인의 대응조치 186
1. 의견서 제출 / 186 2. 보정서 제출 / 190
3. 출원의 분할 / 196 4. 취하·포기 / 199
Ⅱ. 심사관의 처분 200
1. 보정각하의 결정 / 200 2. 디자인등록여부결정 / 201
Ⅲ. 재심사청구제도 203
1. 의 의 / 203 2. 청구요건 / 203
3. 재심사청구의 효과 / 204 4. 재심사에 따른 불복수단 / 205
제10절 디자인의 유사 205
Ⅰ. 서 설 205
1. 디자인의 유사개념의 중요성 / 205 2. 디자인의 유사개념 / 206
3. 디자인의 유사의 형태 / 207
Ⅱ. 디자인의 유사여부판단기준 208
1. 유사여부판단기준에 관한 학설 / 208
2. 유사여부판단의 주체 / 210 3. 유사여부판단의 대상 / 213
Ⅲ. 디자인의 유사여부판단의 구체적 기준 213
1. 동일 또는 유사물품간에 있어서만 유사여부를 판단 / 214
2. 유사여부판단의 주체 / 217
3. 전체관찰에 의한 종합적인 판단 / 219
4. 형태구성요소의 유사여부판단 / 222
5. 물품의 속성에 의한 유사여부판단 / 224
6. 특수한 디자인의 유사여부판단 / 231
Ⅳ. 구체적 판결사례 237
1. 유사하다고 판단한 사례 / 237
2.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례 / 242

제3장 디자인심판

제1절 디자인심판제도 개관 249
Ⅰ. 서 설 249
1. 디자인심판의 특징 / 250
2. 디자인에 관한 심판청구 및 처리현황 / 251
Ⅱ. 디자인심판의 내용 251
1. 디자인등록거절결정에 대한 심판 / 251
2. 디자인등록취소결정에 대한 심판 / 253
3. 보정각하결정에 대한 심판 / 253 4. 디자인등록무효심판 / 254
5. 권리범위확인심판 / 258 6. 통상실시권 허여의 심판 / 261
Ⅲ. 심판절차 일반 261
1. 심판기관 / 261 2. 심판청구의 방식 / 262
3. 심 리 / 263 4. 심판참가 / 265
5. 심판의 종료 / 266
Ⅳ. 재 심 267
1. 의 의 / 267 2. 재심의 청구 / 268
3. 재심사유 / 268 4. 재심심리 / 268
5. 재심심결의 효과 / 269
Ⅴ. 심결취소소송?상고 269
1. 심결취소소송 / 269 2. 상 고 / 271
제2절 디자인심판실무 272
Ⅰ. 디자인심판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및 사례 272
1. 디자인등록거절결정에 대한 심판 / 272
2. 디자인등록무효심판 / 283 3. 권리범위확인심판 / 297
Ⅱ. 심판청구서 및 답변서의 작성 예 327
1. 디자인등록거절결정에 대한 심판 / 327
2. 디자인등록무효심판 / 329 3. 권리범위확인심판 / 338

제4장 디자인권.실시권

제1절 디자인권 353
Ⅰ. 서 설 353
1. 디자인권의 의의 / 353 2. 디자인권의 발생 / 354
Ⅱ. 디자인권의 효력 354
1. 의 의 / 354 2. 디자인권의 효력범위 / 355
3. 디자인권의 효력내용 / 355
4. 특수한 디자인의 디자인권 / 357
Ⅲ. 디자인권의 효력의 확장과 제한 359
1. 디자인권의 효력의 확장 / 359 2. 디자인권의 효력의 제한 / 359
Ⅳ. 디자인권의 소멸 360
1. 디자인권 소멸의 의의 / 360 2. 디자인권의 소멸원인 / 361
3. 디자인권 소멸의 효과 / 363
제2절 타권리와의 조정(이용?저촉) 364
Ⅰ. 서 설 364
1. 권리조정의 필요성 / 364 2. 이용·저촉의 적용요건 / 364
Ⅱ. 이 용 365
1. 의 의 / 365 2. 이용의 태양 / 366
Ⅲ. 저 촉 369
1. 의 의 / 369 2. 저촉의 태양 / 369
Ⅳ. 이용·저촉관계의 효과 371
1. 후출원 등록디자인의 실시의 제한 / 371
2. 위반자의 책임 / 371
Ⅴ. 디자인권자 등의 실시수단 371
1. 허락실시권 / 371
2. 통상실시권 허여의 심판청구 / 371 3. 권리의 양수 등 / 372
제3절 실 시 권 372
Ⅰ. 서 설 372
1. 실시권의 의의 / 372 2. 실시권의 성질 / 373
Ⅱ. 전용실시권 373
1. 개념 및 성질 / 373 2. 전용실시권의 범위 / 373
3. 전용실시권의 발생 / 374
4. 전용실시권의 효력 및 효력의 제한 / 375
5. 전용실시권의 이전?질권의 설정 등 / 375
6. 전용실시권의 소멸 / 376
Ⅲ. 통상실시권 376
1. 개념 및 성질 / 376 2. 통상실시권의 종류 / 376
3. 통상실시권의 발생 및 등록의 효력 / 377
4. 통상실시권의 효력 및 효력의 제한 / 378
5. 통상실시권의 이전·질권의 설정 등 / 379
6. 통상실시권의 소멸 / 379
Ⅳ. 전용실시권과 통상실시권의 비교 380
제4절 디자인권의 침해와 그 구제 381
Ⅰ. 서 설 381
1. 디자인권 침해의 의의 / 381
2. 디자인권 침해의 성립요건 / 381
Ⅱ. 디자인권 침해에 대한 구제 382
1. 민사적 구제 / 382 2. 형사적 구제 / 386
Ⅲ. 침해구제조치에 대한 방어방법 등 388
1. 사전조사 / 388
2. 권리자의 구제방법이 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388
3. 권리자의 구제방법이 정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390
4. 화해·조정에 의한 해결 / 390

|판례색인| 391
|사항색인| 395

저자소개

노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특허청 심사관, 디자인심사과장, 심판관, 서울사무소장 -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디자인보호법 강사 - 디자인보호법 개정추진반 위원, 특허청 디자인제도혁신 자문위원 - 대한변리사회 디자인제도위원회 위원장, 글자체디자인심사 자문위원 등 역임 - 현 유니테크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주요 저서 및 논문] - 신의장법연구 - 의장도면작도법입문(역서) - 디자인보호법 개정내용해설 - 디자인보호법(공저) - 상표의 사용권제도 고찰 - 재외자의 특허관리인 - 등록신청의 불수리사유에 대한 고찰 - 객관식 디자인보호법(공저) - 디자인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소고 - 디자인 심사·심판실무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