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84202009
· 쪽수 : 425쪽
· 출판일 : 2013-02-28
목차
머리말/ 3
차 례/ 5
제1장 교육의 이해
제1절 교육의 의미 15
1. 교육의 개념/ 15 2. 교육의 어원과 정의/ 19
제2절 교육의 필요성과 한계 23
1. 교육의 필요성/ 23 2. 교육의 한계/ 25
제3절 교육의 기능 26
1. 교육의 기능 분류/ 27 2. 교육의 내재적수단적 기능/ 31
3. 교육의 의의/ 33
제4절 교육의 형태 34
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35
2. 가정교육/ 36 3. 학교교육/ 37
4. 사회교육/ 38 5. 평생교육/ 40
학습과제 42 참고문헌 44
제2장 교육의 철학적 탐구
제1절 철학과 교육철학의 탐구 47
1. 철학과 교육철학의 의미/ 47 2. 철학의 기본 영역/ 49
3. 교육철학의 기능/ 51
제2절 전통철학과 교육 52
1. 이상주의 교육/ 52 2. 실재주의 교육/ 54
3. 실용주의 교육/ 55
제3절 현대 교육철학 56
1. 진보주의 교육/ 57 2. 본질주의 교육/ 58
3. 항존주의 교육/ 59 4. 재건주의 교육/ 61
제4절 새로운 교육이론 62
1. 실존주의와 교육/ 62 2. 분석철학과 교육/ 63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64 4. 신자유주의와 교육/ 66
학습과제 69 참고문헌 71
제3장 교육의 역사
제1절 교육사의 이해 75
제2절 한국교육사의 이해 76
1. 원시사회 교육/ 76 2. 삼국사회의 교육/ 77
3. 고려사회의 교육/ 78 4. 조선사회의 교육/ 79
5. 근대의 교육/ 80 6. 일제하의 교육/ 81
7. 현대사회의 교육/ 82
제3절 한국교육사상의 이해 82
1. 성리학과 교육/ 82 2. 실학사상과 교육/ 84
3. 동학사상과 교육/ 86
제4절 서양교육사의 이해 88
1. 그리스 사회의 교육/ 88 2. 로마 사회의 교육/ 88
3. 중세 사회의 교육/ 89 4. 근대 사회의 교육/ 90
5. 현대 사회의 교육/ 92
학습과제 94 참고문헌 96
제4장 교육의 심리학적 탐구
제1절 발달 99
1. 발달의 의미/ 99 2. 발달 이론/ 100
제2절 개인차 109
1. 지능/ 109 2. 창의성/ 113
제3절 학습 119
1. 행동주의 이론/ 120 2. 인지주의 이론/ 126
제4절 학습의 동기 131
학습과제 135 참고문헌 137
제5장 교육의 사회학적 탐구
제1절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달 141
1. 교육사회학의 개념/ 141
2.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143
3. 교육적 사회학과 교육의 사회학/ 144
제2절 교육사회학의 접근 이론 146
1.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146 2. 교육사회학의 새로운 동향/ 150
제3절 사회화와 교육 153
1. 사회화의 개념/ 154 2. 사회화의 기관/ 155
3. 사회화의 방법/ 158
제4절 사회계층과 교육 159
1. 사회계층의 개념/ 159 2. 사회계층의 결정요인/ 160
3. 사회계층과 교육/ 161
제5절 사회변동과 교육 162
1. 사회변동의 개념/ 162 2. 사회변동의 요인과 과정/ 163
3. 사회변동과 교육/ 164
학습과제 166 참고문헌 168
제6장 교육과정
제1절 교육의 목적 173
1. 교육목적의 정의/ 173 2. 교육목적의 설정과 진술/ 175
3. 교육법상의 교육목적/ 177
제2절 교육의 내용 179
1. 교육과정의 개념/ 179 2. 교육과정의 유형/ 183
2.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구분/ 188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190
제3절 교육의 방법 199
1. 교수와 학습/ 199 2. 교수학습의 조건/ 200
3. 학습지도의 형태/ 205
학습과제 212 참고문헌 214
제7장 교육공학
제1절 교육공학의 영역 217
1. 교육방법/ 217
2. 교육공학/ 218
3.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관계/ 222
제2절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223
1. 교수설계의 개념/ 223 2. 교수설계 이론/ 223
3. 교수설계 모형/ 226
제3절 교수방법의 유형 233
1. 강의법/ 233 2. 토의법/ 233
3. 협동학습법/ 235 4. 문제기반학습/ 236
제4절 교수매체의 활용 237
1. 교수매체 활용의 정당성/ 238
2.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활용기술/ 239
3. 교수매체의 활용/ 240
학습과제 246 참고문헌 248
제8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의의 253
1. 측정, 평가, 총평의 차이점/ 254 2. 교육관과 교육평가/ 254
제2절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256
1. 의의/ 256
2. 규준참조평가(상대평가)/ 257
3. 준거참조평가(절대평가, 목표지향평가)/ 258
4.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의 비교/ 258
제3절 교수학습과정과 교육평가 260
1. 의의/ 260 2. 진단평가/ 260
3. 형성평가/ 263 4. 총괄평가/ 265
5.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의 비교/ 266
제4절 성취평가제 267
1. 성취평가제의 의의 및 특징/ 269
2. 상대평가와 성취평가의 비교/ 270
3. 고등학교 보고방식/ 271
학습과제 273 참고문헌 275
제9장 생활지도와 상담
제1절 생활지도의 개념 279
제2절 생활지도의 영역 281
제3절 생활지도의 기능 283
제4절 상담의 이해 286
1. 상담의 의미/ 286 2. 상담의 유형/ 287
3. 개인상담의 기법/ 292
학습과제 296 참고문헌 298
제10장 교육행정 및 재정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301
1. 교육행정의 의의/ 301 2. 교육행정의 원리/ 303
3. 교육행정의 영역/ 308
제2절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311
1. 고전적 조직이론/ 311 2. 인간관계론/ 318
3. 행동과학적 이론/ 326 4. 체제 이론/ 328
제3절 교육경제와 재정 333
1. 교육의 경제적 측면/ 333 2. 교육재정의 의의/ 337
학습과제 343 참고문헌 345
제11장 교직과 교직윤리
제1절 교직의 성격 351
1. 교직의 특성/ 351 2. 교직관의 유형/ 354
3. 교직의 전문화/ 362
제2절 교사의 역할과 자질 366
1. 교사의 역할/ 366 2. 교사의 자질/ 370
3. 바람직한 교사상/ 374
제3절 교원의 윤리와 교권 378
1. 교원 윤리의 중요성/ 378 2. 교원윤리의 확립/ 381
3. 교권/ 388 4. 소극적 권리/ 393
학습과제 397 참고문헌 399
제12장 평생교육의 이해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 403
제2절 평생교육의 특성 406
제3절 평생교육의 필요성 407
1. 사회적 차원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408
2. 개인적 측면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409
3. 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409
제4절 평생교육의 목적 410
제5절 평생교육 관련 용어 412
제6절 평생교육의 내용 415
제7절 평생교육의 방향 417
학습과제 420 참고문헌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