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놀이/체험학습
· ISBN : 9788984287587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2-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우리 아빠가 일기 썼어요. 보실래요?"
십수 년 만에 일기를 쓴다 (6~7월 일기)
모둠일기를 시작하며
6월 20일(월) 처음 모둠일기를 쓴다
6월 21일(화) 화내지 않고 혼내지 않을게
6월 22일(수) 아무쪼록 예쁘게 읽어 주세요
6월 23일(목) 지현 어머니, 시원한 차 한잔해요
6월 24일(금) 달팽이를 키우고 싶다
6월 25일(토) 사랑한다, 내 동생!
6월 27일(월) 어른들이라고 다 옳겠니
선생님 일기 :: 모둠일기, 이렇게 시작됐어요
6월 28일(화) 오늘도 달해한테 화를 냈다
6월 29일(수) 지혜와 함께 빵을 만들어 보았다
6월 30일(목) 우리 아빠는 일기 쓰기 싫은가 봐
7월 1일(금) 언제쯤 ‘ㅎ’과 이별할 수 있을까요?
7월 4일(월) 내가 아무래도 천재를 낳았나 보다
7월 5일(화) 쌍둥이들 하늘 산책 시켜 줘야겠다
7월 6일(수) 웬수 같은 술은 먹어 치워야 한다
7월 7일(목) 왜 엄마를 자주 못 보는 걸까
7월 8일(금) 같이 때리라고 가르쳐야 하는지
7월 11일(월) 사랑합니다, 나의 순애 씨
선생님 일기 :: "이젠 그냥 한준이로 불러. 김한준!"
7월 12일(화) 아직은 연필을 썼으면 해
7월 13일(수) 할머니와 나는 쌩쌩 신나게 달렸다
7월 16일(토) 술을 줄이는 것이 첫 번째 숙제
선생님 일기 :: 8월 27일 토요일, 교실 청소 하던 날
글과 함께 마음도 주고받았다 (9월 일기)
2학기 모둠일기를 다시 시작하며
9월 5일(월) 할 수 있을 만큼 효도할 거다
9월 6일(화) 교감 선생님께서 탁구를 알려 주셨다
9월 7일(수) 갑자기 친구들이 나를 멀리한다
9월 8일(목) 놀이터에 아이들이 없다
9월 9일(금) 약 먹이는 걸로 고생해 보질 않았다
9월 11일(일) 오늘은 행복한 날
9월 13일(화) 다음에 꼭 쓸게, 미안……
9월 14일(수) 엄마를 많이 보아서 좋은 날
9월 15일(목) 언제든 부르면 너한테 가지
9월 16일(금) 예전엔 참 잘 웃고 살았는데……
9월 19일(월) 웬일이니 귀신이니 장난이니?
선생님 일기 :: '모둠회 일기'의 주인공, 선아 아버지
9월 20일(화) 엄마가 염색을 했다
9월 23일(금) 바람아, 가지 마라!
9월 25일(일) 차라리 내가 아프고 말지
9월 26일(월) 웬만해선 휴가를 쓸 수 없다
9월 27일(화) 넌 친절하고 멋진 아이란다
9월 28일(수) 사랑합니다, 선생님
9월 29일(목) 나뭇잎에 이슬이 있다
9월 30일(금) 글과 함께 마음도 주고받았다
모둠일기 문집을 받고 나서
맺음말 - 아이와 부모의 아픔이 만나는 길, ‘삶을 가꾸는 글쓰기’
리뷰
책속에서
9월 14일 수요일
[서민지] 엄마를 많이 보아서 좋은 날
난 오늘 학교를 갔다 왔는데 엄마가 아직도 자고 있었다. 그런데 난 생각을 했다. 엄마가 왜 피곤한지. 왜냐하면 아빠가 다리를 다쳤을 때 병원에서 12시까지 있었고 또 엄마가 일하러 3시 30분에 갔다. 끝나는데 10시 30분에 끝나서 피곤하신 거다. 그리고 또 우리 가족을 위해 아침밥, 점심밥, 저녁밥까지 차려주시고 설거지도 해주셔서 그런 거다. 그리고 아빠가 빨리 퇴원을 해서 기분이 좋다. 왜? 엄마를 많이 보고 아빠도 많이 보아서 기분이 좋다.
[서민지 어머니] 공주가 기분 좋아 엄마도 기분 좋은 날
엄마 공주 일기를 보니 엄마 기분이 좋아진다. 늦게까지 잠을 청하고 있었는데 엄마를 이렇게 이해해주는 엄마 공주 민지한테 너무 고맙다. 울 민지가 어떻게 이런 생각까지 하며 있었는지 엄마는 몰랐던 것이 너무도 민지한테 챙피해. 공주야, 고마워! 엄마가 항상 민지가 걱정되고 그러지만 민지를 믿고 열심히 학교생활도 잘할 거라 굳게 믿고 있어. 맘 약하게 울지 말고, 알았지? 학교에서도 집에서 하는 것처럼 생활하면 좋겠어. 집에서만 까불지 말고요. 알았지, 민지? 맘 깊은 민지야. 엄마가 고맙고 사랑해.
▶ 민지 어머니! 민지가 엄마 아빠 생각을 참 많이 하네요. 기특한 딸입니다. 피곤해하는 엄마를 헤아리고 이해하려는 속 깊은 민지. 든든하시겠어요, 민지 덕분에. (선생님)
▶ 민지가 생각이 많이 깊네요. 민지 어머니, 힘내세요. 민지는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한 아이가 될 거예요. (경훈 엄마)
▶ 생각 주머니가 많이 커 있는 민지 덕에 행복하고 든든하겠어요. (연호 엄마)
6월 29일 수요일
[탁선아] 아빠
오늘은 모둠일기 쓴다. 오늘은 나다. 저번에 엄마가 썼는데 술을 마셔서 이상했다. 오늘은 아빠가 썼다. 아빠는 잘 썼다. 엄마는 장사하니까 앞으로 아빠만 일기 쓰게 할 거다.
[탁선아 아버지] 6월 29일 물요일
수요일이라 그런지 비 폭탄이 쏟아지고 있는데 선돌이가 모둠일기를 써달란다. 모둠, 모둠회가 생각나네. 회의 영원한 벗 쐬주도 땅긴다. 30여 년 만에 일기를 쓰네. 나도 연식이 무척 되었구나. 선돌이 시집갈 때쯤이면 나도 노인 연금을 타는구나. 연금 타서 모둠회에 쐬주나 빨자. 결혼을 하고 아기가 안 생겨 포기하고 살다가 예전 우리 나라 평균 수명 나이에 선돌이가 태어났는데 내년이면 선돌이도 두 자릿수 나이가 되네. 열 살 되는 날 축하주 한잔해야겠다. 오늘 낮에는 비 핑계로 감자전에 막걸리가 부어졌다. 내 몸이 제대로 작동을 잘하더니 그 탄력으로 일기를 쓴다. 선돌이한테 대필료 달라고 해서 한잔 더 빨아야겠다. 일기 끝.
▶ 하하하~ 선아 아버지. 참 재미있는 분이시네요. 어제 비 오는 날 막걸리 한잔하셨군요. 비 오는 날에는 왠지 술이 당기는 것 같아요. 술 한잔 드시고 글 쓰니 글이 술술 더 잘 나오지요? 선아가 집에서는 선돌이라 불리나봐요. 선아 아버지의 딸 사랑하는 마음이 듬뿍 묻어납니다. 선아가 이제 아빠한테만 일기 쓰게 할 거라네요. 좋으시겠어요. (선생님)
6월 23일 목요일
[최유나] 오늘은 내 차례, 엄마 써주세요
오늘 모둠일기가 누굴까? 설렌다. 오늘 요일을 확인해보니 오늘은 목요일이다. 난 신이 났다. 왜냐하면 목요일은 내가 모둠일기를 쓰는 날이기 때문이다. 모둠일기 쓰는 게 왜 좋냐면 매일 엄마 아빠는 나에게만 일기 쓰라고 잔소리를 하면서도 엄마 아빠께선 일기를 쓰신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에 비롯해 오늘은 드디어 엄마 아빠 두 분 중에 한 분이 일기를 써주시는 날이기 때문이다. 난 온종일 엄마에게 “엄마, 일기 오늘 꼭 써줘야 돼, 알았지?” 엄마가 하는 말, “아~ 뭐, 알았다고, 도대체 몇 번을 말하는 거야!”라고 했다. 오늘은 두세 번밖에 안했다. 왜 그런지 대충 짐작이 되었다. 그 이유는 월요일에 “엄마, 목요일에 꼭~ 써줘.”라고 해놓고선 화요일에도 수요일에도 계속해서 목요일에 일기 써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도 마음은 쿵딱쿵딱콩콩콩 계속 뛰고 있다. 아직 엄마께서 써주실지 안 써주실지 모르기 때문이다. 엄마께서 ‘에이, 쓰기 싫다.’라고 한 것 같기 때문이다. ‘엄마, 써주세요. 제가 이 순간을 얼마나 기다렸는데, 흑흑흑.’
[최유나 어머니]
유나야, 모둠일기 그렇게 좋아하니? 월요일부터 계속 “엄마, 우리 목요일이 모둠일기 쓰는 차례야.”라고 매일매일 하루에 몇 번도 말하고 오늘도 일기 쓸 때까지 계속 말했어요. 유나의 기대에 보답할 수 있게 엄마도 열심히 할 거예요. 일기 쓰면서 사전을 보고 한국말 공부하고 있어요.
▶ 아~ 유나 어머니! 글씨 참 깨끗해요. 한글 참 잘 쓰시네요. 유나가 모둠일기 쓰는 차례 기다리면서 엄마한테 무척이나 보챘군요. 은근히 부담되셨겠어요. 이렇게 써주시니 참 고맙습니다. 유나도 좋아했지요? 다음번에도 유나 엄마 글 기대할게요. 아, 참! 유나 아빠 차례인가요? 후후.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