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84331761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03-06-04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부 미당 시에 나타난 시적 자아·공간·시간의 유기적 상상력
1. 서론
1) 종합적 접근을 위한 방법적 모색
2) 시적 자아·공간·시간에 대한 이론들
2. 고착과 침몰의 단적적 심연
1) 본능적 자아의 비극성
동물적 에너지와 병적 자아
쾌락과 고뇌의 아이러니
2) 감금과 상실의 공간
'벽'과 방향 상실
자기 부정과 공간 소멸
3) 정체와 불연속적 시간
정지된 시간 체험
단절 의식과 과거의 현재화
3. 상승의 역동성과 세계의 확대
1) 공유의식으로서의 '우리'
동일성 회복과 자아 확대
현실 긍정과 화해 의식
2) 지상과 하늘의 경계 공간
수직적 모성 공간
상승의 매개적 이미지 - '물'
3) 입사(initiation)의 순간과 시간의 창조
생명 분만과 우주적 진통
사랑과 존재 전환
4. 변신 은유와 초월 의지
1) 변신의 다양성과 육체성의 해체
고통의 초월과 자아 변신
공기적 상상력과 자유의지
2) 공간 확대와 응축의 운동성
경계 세우기와 허물기
크고 작음의 顚倒
3) 변신 은유의 연쇄와 영원성
영원의 순환적 구조
영원과 여성 이미지
5. 수평·수직의 융화와 낙관적 현실 인식
1) 전능적 자아의 낙천성
유희 정신과 다성적 목소리
聖과 俗의 거리(distance) 조정
2) 일상 공간의 정황
세속과 천상의 조응
생활 공간과 우주적 거울의 類比
3) 지속과 초역사성
역사 지속의 시간 의식
현실 지향적 내세관
6. 시적 상상력의 변모 과정
2부 목월 시에 나타난 공간의식
1. 목월의 상상력을 포괄하는 '길' 이미지
2. 자연과 현실의 공간
1) 靑山의 길
외로움와 '盲' 이미지
빛의 공간
2) 생활의 직선로와 곡선로
노동의 '계단'
휴식의 '우회로'
3. 내면적 사유의 공간
1) 불안과 '흔들리는 길'
2) 길의 無化
'망각'와 '잠적'의 여과작용
가벼움와 '눈'(雪)
4. 초월의 공간
1) '無順'의 자유의식
2) 존재의 '중심부'
5. 시적 상상력의 변모 과정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적 자아와 공간, 시간의 구조를 살펴볼 때 이 셋이 동일한 의미를 생산해내고 있음 알 수 있다. 시적 자아의 변화는 곧 공간과 시간의 변화를 뜻하며 이들은 서로의 의미를 부연해줌으로써 시의 맥락을 총체화한다. 시적 자아와 공간, 시간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서 서정주의 시세계가 세계와 자아간의 갈등과 화해라는 대타적 문제에서 인간 존재 자체의 근원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정주는 인간 존재가 안고 있는 생의 무거움을 시의 출발선상에서부터 철저히 인식했던 시인이다. 따라서 그의 상상력과 의식을 지배했던 것은 인간의 숙명적 비극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초월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연과 우주의 거대한 질서 속에서 초월의 방식을 발견해내고 있으며, 이를 인간의 구체적인 삶과 결합시킴으로써 인간과 우주의 생명력을 동일화하는 동양적 사유를 시로 형상화하고 있다. - 본분 242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