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춘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 현재 선문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세책(貰冊)과 방각본(坊刻本)을 포함한 고소설 상업출판물의 연구, 국내외에 흩어진 고소설과 고문헌 자료의 발굴, 한·중 고소설의 비교, 한문소설의 번역, 근대 서지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근대서지』 편집위원, ‘동아시아책문화연구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고소설의 현장과 문화지형』(소명출판), 『조선시대 수호전의 수용 연구』(보고사)가 있고, 자료집 및 주석본으로 『신문관의 육전소설』(공편저, 소명출판), 『세책과 방각본』(공편저, 국립중앙도서관), 『러시아와 영국에 있는 한국전적』(공편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금향정기』(공편저, 경인문화사), 『근대계몽기 조선의 이솝우화』(공편저, 보고사), 번역서로 『각색 이론의 모든 것』(공역서, 앨피), 『화몽집』(공역서, 보고사), 『삼방록』(공역서, 보고사), 『요람』(공역서, 보고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산문을 전공하여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연세대학교와 숭의여자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연행집단의 성격에 따른 이야기 연행의 변화 연구」, 공저로 <숲골 마을의 구전 문화>가 있고, <요람(要覽)>, <삼방록(三芳錄)>을 공동 번역하였다.
펼치기
박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산문을 전공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동아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 <고소설 선악이야기의 서사규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동 번역서로 <요람(要覽)>, <삼방록(三芳錄)> 등이 있고, 논문으로 「자기항변의 소설쓰기: <염승전>」, 「활판본 고소설 <무릉도원> 연구」, 「<애국부인전>의 연설과 고소설적 요소」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 『금오신화 연구』, 공저 『옛 편지 낱말 사전』, 번역 『용재총화?齋叢話』와 『수이 전殊異傳』 등, 공역 『요람要覽』과 『삼방록三芳錄』 등, 논문 「김시습의 잡저雜著 연구」와 「화악 지탁華嶽知濯의 간찰에 드러난 성속의 조화와 문장관」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