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2851591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총론 새 자료 발굴의 중요성과 가치
1. 새 자료 발굴의 중요성
2. 자료를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
3. 자료 발굴과 자료 해석
제1부 한국 고전서사문학의 새 자료의 성격
제1장 『최척전』의 이본 『삼국기봉三國奇逢』
1. 서론
2. 기메 박물관 소장 『삼국기봉』
3. 『삼국기봉』과 『최척전』의 관계
4. 『삼국기봉』의 특성 및 의의
5. 마무리와 남는 문제
제2장 『일락정기』의 이본 『서경충효지徐卿忠孝誌』
1. 서론
2. 『서경충효지』의 필사자와 필사시기
3. 『서경충효지』와 『일락정기』의 관계
4. 『서경충효지』의 의미
제3장 『소대성전』의 한문본 『대봉기大鳳記』
1. 『소대성전』의 이본 『대봉기大鳳記』
2. 『대봉기』의 서사적 특징
3. 『소대성전』 한역의 의의
제4장 『유충렬전』의 한문본 『유충렬고담劉忠烈古談』
1. 서론
2. 『유충렬고담』의 번역 양상
3. 『유충렬고담』의 문체와 담당층
4. 맺음말
제5장 한문소설 『만가춘설萬家春說』의 개관과 소설적 특성
1. 들어가는 말
2. 서사적 흠결과 원 텍스트 추론
3. 윤리 문제의 소설적 형상화
4. 주요 인물들의 유형적 특성
5. 비소설적 양식의 수용과 의도
6. 나오는 말
제6장 『화산중봉기』의 개작본 『이몽선전李夢仙傳』
1. 서론
2. 『이몽선전』의 작품 경개梗槪
3. 『이몽선전』의 텍스트 생성 방식과 의미:차용借用, 변용變用, 삽입揷入
4. 마무리
제2부 한국 고전서사문학의 새 자료의 가치와 위상
제7장 방각소설 『장풍운전』의 형성과 전개
1. 들어가는 말
2. 『장풍운전』의 형성 배경과 과정
3. 『장풍운전』 판본의 존재 양상과 유통
4. 맺는 말
제8장 『유년공부酉年工夫』의 형성과 일본에서의 조선어 교육
1. 들어가는 말: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와 텍스트로서의 문학 작품
2. 아메노모리 호슈의 부산 입항과 『유년공부』
3. 『유년공부』와 조선 문화 교육 교재
4. 맺는 말
제9장 최부崔溥의 『금남표해록』 한글본
1. 서론
2. 서강대본 『금남표해록』의 서지書誌
3. 서강대본 『금남표해록』의 성격과 가치
4. 마무리와 과제
제10장 한문현토소설 『춘도기우春桃奇遇』와 작자 이보상李輔相
1. 머리말
2. 이보상의 행적과 저술
3. 『춘도기우』의 서사적 특성
4. 맺음말
제11장 『육미당기』의 개작본 『일당육미一堂六美』
1. 머리말
2. 『육미당기』를 개작한 『일당육미』
3. 통속적 흥미와 시대성 투영
4. 제국주의적 가치의 침윤
5. 맺음말
제12장 한문현토소설 『쌍미합벽雙美合璧』의 근대적 서사 기법과 중세적 관념
1. 머리말
2. 서사적 연원과 변용
3. 근대적 서사기법의 활용
4. 중세적 관념의 지속과 변화
5. 맺음말
제13장 한문현토소설 「충노 만석전忠奴萬石傳」과 유흥문화의 담당층
1. 「충노 만석전」의 개요
2. 구성의 비현실성
3. 유흥문화의 담당층
4. 20세기 한문현토소설의 가치
논문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