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기타 세계문학론
· ISBN : 9788984335165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8-07-18
목차
머리말
제1부 고전 운문
고전시가에 나타난 모성 형상 - 김상진
1.시작하는 말
2.<도천수관음가>와 숭고한 모성
3.기녀시조와 억압된 모성의 변주
4.남은 이야기 : 모성을 향한 영원한 그리움
난설헌과 여신선 - 김명희
1.들어가는 말
2.난설헌시에 나타난 여선의 정체성
3.나오는 말
당대 여성시인 설도의 시와 삶 - 왕지화
1.들어가며
2.설도의 생애
3.설도의 작품
4.나오며
일본 헤이안 중기 여류문학의 특징 - 남이숙
1.들어가는 말
2.일본 헤이안 여류문학의 특징
3.맺는 말
제2부 고전 산문
한국 고전 산문작품에 나타난 여성 삶의 양상 - 이금희
1.서론
2.여성의 자율적인 삶
3.여성의 덕을 구현시키는 삶
4.여성의 능력을 구현시키는 삶
5.결론
문학의 창으로 만나는 조선의 궁녀 - 정은임
1.머리말
2.조선조 궁중문학의 백미
3.궁녀의 기원과 제도
4.맺음말
『고부기담姑婦奇譚』의 연구 - 김승호
1.머리말
2.작가의 면모와 간행경위
3.시적 제재와 형식
4.근대적 규방문학으로의 변신
5.주체적 여성성의 부각
6.간도의 실상 보고
7.맺는 말
한·중 여성 해신海神 비교연구 - 김인희
1.해로를 통한 한·중의 문화 교류
2.마조신에 대한 논란 몇 가지
3.시대에 따른 마조신의 성격 변화
4.마조신앙의 해외 전파
5.마조와 수성당의 개양(開洋)할미 비교
6.비교연구에 있어 해양교류의 중요성
한·중 여성영웅소설의 구조적 분석 - 이춘희
1.서론
2.문제제기와 자료
3.두 작품의 구조에 대한 비교 고찰
4.결론
『고사기古事記』에 나타난 '미오야' 호칭 고찰 - 사이토 아사코
1.서론
2.모신(母神)으로서의 '미오야'
3.'미오야'의 계열
4.'미오야'의 역할
5.결론
제3부 현대 문학
'여성-되기'와 '시-하기' - 김행숙
1.김혜순의 문제제기
2.'바리데기'를 호명하는 이유
3.여성성과 '여성-되기'
4.'시-하기'와 시 장르의 새로운 가능성
5.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오정희의 유년기 체험 소설 연구 - 조회경
1.머리말
2.오정희의 유년기 체험소설의 특성
3.비극적 인식으로부터 구원에 이르는 여정
4.맺음말
야마다 에이미의 아웃사이더 의식과 이문화 체험 - 안노 마사히대
1.들어가며
2.『베드 타임 아이즈』
3.『바다 쪽 아이』
4.마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