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336544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08-04-30
목차
서문
제1부 문화 담론으로서의 고소설
규방문화권에서의 고소설 향유 양상
1.머리말
2.향유 방식과 이본 파생의 관계
3.맺음말
'가사의 소설화'재론
1.머리말
2.'장르의 복합과 전환'에 대하여
3.가사와 소설의 접점
4.맺음말
<박씨전> 의 이데올로기적 구조
1.머리말
2.'혼인'의 의미
3.'미'에 대한 이원적 인식과 '변신'의 의미
4.천의로 합리화된 이데올로기적 귀결
5.맺음말
우화 소설의 현실 대응과 이본의 존재 양상
1.머리말
2.향유 방식과 이본의 계열
3.텍스트의 지향과 이본 존재 양상의 의미
4.맺음말
제2부 문화 담론으로서의 판소리
신재효 판소리 사설 개작의 두 가지 지향
1.머리말
2.개작 사설에 나타난 두 지향
3.두 가지 <춘향가> 의 존재
4.맺음말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개적 지향과 의미
1.머리말
2.사설 개작의 두 지향
3.맺음말
판소리 서사체의 향유 관습과 <장끼전>
1.머리말
2.향유 방식의 특성과 이본 생성
3.맺음말
출판 문화와 <심청전> 의 전승 양상
1.머리말
2.출판 문화를 통해본 <심청전> 의 전승 양상
3.맺음말
제3부 문화 담론으로서의 정재
처용전승의 변천과 계승
1.머리말
2.처용전승의 특성과 변화
3.처용전승의 계승과 변천 양상
4.맺음말
당악 정재 텍스트의 변천과 전승
1.머리말
2.<연화대> 의 역사적 변천
3.<연화대> 의 전승 양상
4.맺음말
효명세자의 정재 텍스트 창작 양상
1.머리말
2.새로운 정재 종목의 창작 배경과 <만수무> 의 특징
3.<헌선도> 와 <경풍도>·<만수무>·<헌천화> 의 관련 양상
4.맺음말
궁중 정재와 문화 콘텐츠
1.머리말
2.문화 콘텐츠 사업의 방향성
3.궁중 정재와 문화 콘텐츠
4.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후기 서사물들이 향유된 구체적 양상에 관한 것이었다. 조선후기 문학이 향유되던 공간은 생활문학화된 텍스트가 생성·소토되던 문화적 공간이었다. 이 공간은 소설,판소리,가사 등 문학 장르를 비롯하여 서간·일기·생활백과류 등 여러 이질적 장르의 텍스트들이 독서물의 형태로서 동시적으로 향휴되기도 하고,장르간의 경계를 허물며 자유롭게 소통하기도 하는 문화적 공간이었다. 특히 붓으로 직접 베끼는 '필사(筆寫)'라는 능동적 향유 행위를 통해 문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텍스트 생성과 유통이 가능하였고,텍스트의 변형이나 재창조가 분방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