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8445338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9-01-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민유성(한국산업은행 은행장)_ 금융기관 M & A: 국내시장과 국제시장 비교
·김효준(BMW코리아 사장)_ 미래의 글로벌 리더십
·나성린(한나라당 의원)_ 경제전망과 경제 선진화를 위한 과제
·송자(전 연세대학교 총장)_ 21세기 한국의 비전
·이영탁(전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_ 자본시장의 현재와 미래
·이장규(KIEP 연구위원)_ 중국경제의 고성장 정책과 한국의 대응
·장준익(한국안보연구소 소장)_ 북핵과 우리의 생존 전략
·주인기(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_ 지식정보화 사회와 기업윤리
·한정화(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_ 벤처기업가 정신
·조지호(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_ 우량기업 발굴 전략
·전세일(포천중문의대 원장)_ 리더의 건강과 지혜
·김천수(인터콘티넨탈호텔 지배인)_ 테이블 매너와 와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리더십은 산업적, 경제적, 경영적 관점에서 200~400년 역사 속에서 축적해 온 서구사회의 리더십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시장경제를 적용한 지는 불과 30~40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첫 리더십 형태는 ‘전통적인 리더십’으로서 ‘남들보다 수면 시간을 줄여서 성실하게 일하는 것’이 주 골자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1970, 80년대부터 형태가 변하기 시작하여 사람과 돈, 시간을 잘 관리하는 ‘관리형 리더십’으로 바뀌어 우리나라의 산업화를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IMF 외환위기와 혹독한 구조조정을 겪은 후, 기업들은 홀로 성공한다고 해서 무작정 좋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외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더 중요함을 인지하기 시작했습니다. 한마디로 ‘미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 있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기업들은 기업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해외로 수출하거나 다른 회사에서 재화, 서비스를 수입하기도 하고 해외에 공장을 짓기도 하며, 외국 근로자들의 취업 비율이 높아지는 형태로 점점 글로벌화되고 있습니다. 저는 다음 단계의 리더십은 ‘초국가적 리더십(Transnational Leadership)’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 '미래의 글로벌 리더십',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