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69252218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08-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레버리지는 잘못이 없다
PART1 내가 해오던 투자
01 김철수 군은 친구가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는 소식을 듣고 참을 수 없었다
02 이영희 양은 주식은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다
03 라오어는 하루에 모든 주식을 포기했다
04 라오어는 무주택의 공포심으로 코인투자를 시작했다
쉬어가는 페이지 · 나에게 맞는 투자 스타일 찾기
PART2 미국주식에 진심을 다해 투자하기로 한 이유
01 미국기업의 영향력은 대체할 수 없다
02 미국은 인구학적 장점을 유지할 것이다
03 미국은 셰일가스 혁명을 이루었다
04 401K 연금제도와 주주친화적 기업문화
05 미국은 주도적으로 금리정책을 펼칠 수 있다
06 지정학적 요소와 미국의 패권
쉬어가는 페이지 · 미국주식은 세금이 많아서 투자하고 싶지 않아요
PART3 장기투자에서 리밸런싱이 필요한 이유
01 적립식 투자는 장기적으로 큰 약점이 있다
02 대표적인 리밸런싱 전략 ‘주식/채권 리밸런싱’
03 주식/채권 리밸런싱은 왜 현시대에 맞지 않을까
쉬어가는 페이지 · 레버리지는 장투하면 녹는다고 하던데요
PART4 밸류 리밸런싱 방법론
01 밸류 리밸런싱의 전반적인 개요
02 VR 준비단계, TQQQ 모으기
03 적립식VR 투자법
04 거치식VR 투자법
05 인출식VR 투자법
06 실제 VR이 진행되는 모습
쉬어가는 페이지 · 밸류 에버리징이란
PART5 밸류 리밸런싱이 특별한 이유
01 리밸런싱 효율이 우수하다
02 수익률과 위험도를 자유자재로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03 장기적으로 비슷하게 수렴해간다
04 그 외 VR의 장점들
쉬어가는 페이지 · ‘투스틴’의 저수지 이야기
PART6 밸류 리밸런싱 수치들의 의미 및 응용법
01 VR에서 상승률의 의미
02 최소밴드, 최대밴드 폭의 의미
03 더 고수익 혹은 더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싶다면
04 목돈을 추가로 넣거나 빼고 싶은 경우
05 VR과 단투를 동시에 하는 이유
쉬어가는 페이지 · 밸류 리밸런싱의 한계
PART7 밸류 리밸런싱 실력공식편
01 기본공식의 장점 및 한계
02 실력공식 계산법
03 실력공식의 특징
쉬어가는 페이지 · 실력공식이 만들어진 과정
PART8 FIRE와 라오어의 은퇴 프로젝트
01 FIRE가 뭐길래
02 진짜 FIRE의 현실은 만만치 않다
03 주식에 대한 라오어의 생각
04 라오어의 은퇴 ‘후’ 프로젝트
쉬어가는 페이지 · 닷컴버블을 극복하는 방법
에필로그 개미가 할 수 있는 진짜 주식
참고자료 및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런데 심적으로 더 힘들었던 이유는 그다음에 일어난 일 때문이었다. 미국에서 양적완화가 시작되면서, 내가 주식을 그만둔 지 6개월도 되지 않아 대부분의 주식들이 내가 팔았던 가격보다 훨씬 상승해버린 것이다. 그리고 겨우 2년이 지난 2010년 말 코스피가 다시 2,000을 돌파하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내가 고통에 고통을 견디다가 주식을 포기했던 지점은 지나고 보니 최저점이었고, 그냥 아무것도 안 하고 있었어도 원금 이상을 회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더 큰 상처를 받았다.
- 라오어는 하루에 모든 주식을 포기했다
일반인 투자자들이 오해하는 것 중에 하나는, 적립식 투자는 무조건 안전하고 옳은 투자방법이라는 생각이다. 심지어 닷컴버블과 리먼 브라더스 사태 시절에도 적립식 투자를 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백테스트 자료를 보여주는 유튜브 영상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역사적인 두 사건을 적립식 투자로 극복할 수 있는 경우는, 그 역사적인 위기의 초반부에서 적립식 투자를 시작했을 경우뿐이다. 문제는 내가 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는 시점이 위기의 초반부인지 중반부인지 종반부인지 알 수 없으며, 적립식 투자의 끝자락에 어떤 종류의 위기에 처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 적립식 투자는 장기적으로 큰 약점이 있다
〈블룸버그(Bloomberg)〉의 보도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Bank ofAmerica)는 “60/40 포트폴리오의 종말(the end to 60/40)”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더 이상 주식과 채권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선진국들의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채권의 인기가 더 높아지면서 채권가격이 고평가되고 있다는 것이다. 주식도 아니고 채권에 거품이 낀다는 것은 언뜻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많은 매체에서 이 현상을 주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 주식/채권 리밸런싱은 왜 현시대에 맞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