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

이영 (지은이)
혜안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4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8494426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09-06

책 소개

1990년 이래 지금까지 20년 동안 일관되게 왜구 해명에 집중해 온 이영 교수의 저작으로, 일본인 연구자들이 구축해 온 왜곡된 왜구상(倭寇像)을 원사료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왜구의 침구지역과 이동경로, 전투 현장을 실제로 현지 답사하고 복원함으로써 왜구의 발생 배경과 그 실체, 침구 목적 등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어 기존 연구에 한 획을 긋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목차

제1장 원정기의 여일교류에 관한 한 고찰
서 론 19
제1절 여일교류 전사(前史) 21
제2절 여일교류 부정설의 재검토 25
제3절 일송 간 해상교통로에서 고려의 위치 43
결 론 48

제2장 중세 전기(前期)의 고려와 일본-진봉관계(進奉關係)를 중심으로-
서 론 50
제1절 진봉관계의 성립 시기 51
1. 사료 및 기존 설의 검토 51
2. 진봉의식의 성립 57
3. 진봉관계 성립의 전제 61
4. 진봉 개시의 연차비정(年次比定) 65
제2절 헤이시(平氏) 정권과 진봉관계의 성립 69
제3절 진봉관계 성립의 시대적 배경 79
제4절 진봉관계의 실태 81
제5절 진봉관계의 종언 86
결 론 90

제3장 ‘여몽연합군의 일본침공’과 고려·일본 관계
서 론 92
제1절 조이(趙彛) 94
제2절 이장용(李藏用) 102
제3절 삼별초 111
결 론 124

제4장 ‘경인년 이후의 왜구’와 내란기의 일본 사회
서 론 126
제1절 ‘13세기 왜구’와 ‘경인년 이후의 왜구’ 127
1. 왜구 초견(初見)에 관한 주 사료 127
2. 두 왜구의 단절성과 연속성 129
1) 규모 129 / 2) 빈도 132 / 3) 행동지역 및 행동양식 133 / 4) 조직화의 정도 137 / 5) 왜구에 대한 대응방식 141 / 6) 두 왜구의 연속성 143
제2절 왜구의 공백기 144
1. 공백기의 내외정세 146
1) 여몽연합군의 일본침공과 왜구의 공백기(1274~1310년) 146 / 2) 해상경고(海上警固)와 왜구의 공백기(1311~1149년) 153
2. 쇼니 씨(少?氏)와 소 씨(宗氏)의 역할 157
1) 쇼니 씨 및 소 씨와 왜구 금압 157 / 2) 쇼니 씨, 소 씨와 공백기 160
제3절 ‘경인년 이후의 왜구’의 성립 165
1. ‘경인년 왜구’와 쇼니 씨 165
1) ‘경인년 왜구’의 주체 165 / 2) 경인년 전후의 일본의 정세 172
2. ‘경인년 이후의 왜구’의 사회적 배경 180
1) 왜구와 아쿠토(惡黨) 181 / 2) 대규모화·장기화의 원인 194
결 론 202

제5장 고려 말기 왜구의 실상과 전개-<고려사>의 재검토를 통한 기존 학설의 비판-
서 론 206
제1절 ‘고려·조선인 주체’론의 비판적 검토 208
1. 기존 학설의 전제 208
1) 다수의 왜구선박 208 / 2) 많은 수의 마필(馬匹) 210
2. ‘왜구=고려·조선인 주체’론의 문제점 215
1) ‘화척(禾尺)·재인(才人)=왜구’론 215 / 2) ‘제주도인=왜구’론 222 / 3) 일반인의 ‘가왜(假倭)’ 행위 233
3. ‘왜구=고려인 주체’론의 근거가 된 이순몽(李順蒙) 237
제2절 왜구 사료로서의 <고려사> 242
1. <고려사>의 사료적 신빙성 242
2. <고려사>에 보이는 ‘일본’과 ‘왜’ 245
1) ‘왜’의 용법 246 / 2) ‘일본’과 ‘왜’의 관계 247 / 3) 왜구 금압을 둘러싼 대일교섭 250
제3절 고려의 왜구 대책과 왜구의 실상 256
1. 고려정부의 지방 장악 256
1) 지방의 반란과 조정의 대응 257 / 2) 지방의 여러 범죄와 조정의 대응 258 / 3) 유민(流民)과 조정의 대응 260
2. 왜구 대책의 문제점 262
3. <고려사>의 왜구 관련 기사의 재검토 269
결 론 287

저자소개

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 총합문화연구과 대학원 지역문화 전공과정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방송통신대학교를 2024년 8월에 정년퇴직하였으며 주로 일본 중세사 그중에서도 남북조 내란과 고려말 왜구에 관하여 연구해왔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倭寇と日麗関係史>(東京大學出版會, 1999년 11월, 2011년 11월, 혜안에서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로 번역 출판), <잊혀진 전쟁, 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에피스테메, 2007년),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고려 말 왜구>(혜안, 2014년) <황국사관과 고려말 왜구>(에피스테메, 2015년)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