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88984944688
· 쪽수 : 415쪽
· 출판일 : 2013-05-3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재건 담론의 지향과 문화재건의 방향
1. 재건 담론의 지향과 국가의 정체성
1) 1950년대 재건 담론의 방향과 정체성 문제
① ‘재건’의 용례와 의미
② 재건 담론과 국가의 정체성
2) 1960년대 재건 담론의 변모와 귀결
① 재건 담론의 변모와 國家像의 변화
② 재건국민운동과 재건 담론의 귀결
2. 문화재건의 방향과 영화의 도구성
1) 해방후~1950년대 문화재건의 방향과 민족문화론
① 해방후~전쟁기 민족문화/국민문화론
② 전후 문화재건의 방향과 민족문화 재건 담론
2) 문화재건과 영화의 도구성
① 1950년대 문화재건과 영화의 계몽성
② 1960년대 문화재건과 영화의 선전성
제3장 영화 재건을 위한 제도와 담론
1. 영화 서사의 재건을 위한 정책과 제도
1) 외국영화 수입과 보호주의적 영화정책
① 외국영화에 대한 이중적 시각
② 외국영화 수입 정책과 국산영화 육성책
2) 검열과 국가주의적 영화정책
① 1950년대 검열 기구와 검열의 방향
② 1960년대 민간 심의기구와 국가 검열의 재강화
2. 영화 산업의 재건을 위한 담론과 정책
1) 영화 산업화 모색의 역사적 전개
① 영화기업화론의 발생과 한계
② 해방후~1950년대 영화기업화론의 전개
2) 영화기업화론의 귀결과 영화 산업화의 두 방향
① 1960년대 영화기업과 영화 산업화의 방향
② 영화법 찬반론과 영화 산업화의 두 가지 길
제4장 국가의 영화 생산과 이미지 전략
1. 1950년대 문화영화와 국가 표상
1) 문화영화의 제작과 상영
① 문화영화의 개념과 문화영화 생산의 두 계통
② 문화영화 생산의 일원화와 이동영사
2) 문화영화와 국가 정체성
① 국가 정체성의 키워드들
② 국가 정체성의 재건
2. 1960년대 문화영화의 재현/선전 전략
1) 1960년대 문화영화의 위상 변화
① 공보 선전의 강화와 선전매체로서의 영화
② 문화영화 생산의 조직화와 선전영화로서의 부상
2) 문화영화와 선전하는 국가
① 문화영화 상영 의무화와 국가 표상
②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제5장 국가 장려 영화와 서사의 재건
1. ‘우수영화’ 선정과 국가 재건의 키워드
1) 1950년대 문화재건과 ‘우수영화’
① ‘우수영화’의 선정기준
② ‘우수영화’와 재건 담론의 관계
2) 1960년대 ‘우수영화’와 국가 재건의 키워드
① 대종상 시상의 추이와 특성
② 대종상 수상작과 재건 담론의 관계
2. ‘우수영화’의 서사 전략
1) 1950년대 ‘우수영화’에서의 ‘민족’과 ‘국민’
① [종각]에 나타난 ‘민족’과 ‘민족문화’
② [구름은 흘러도]에 나타난 ‘국민’과 ‘국민 도의’
2) 1960년대 ‘우수영화’에 나타난 ‘반공’과 ‘근대화’
① [제3지대]에 나타난 ‘반공’의 의미 변화
② [열녀문]에 나타난 ‘근대화’의 이중적 의미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