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4945999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윤동주의 공간(1)-만주와 조선족, 기독교, 교육
이용식|만주국(滿洲國)하 조선인의 삶과 민족 정체성간도성 조선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간도지역 조선인과 민족정체성
3. 위만주국하 간도성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강압과 조선인의 저항
4. 위만주국하 조선인의 삶과 민족정체성
5. 맺음말
최민호|민간신앙으로 본 명동사람들의 삶
1. 머리말
2. 이주와 생활여건
3. 상산제의 변천
4. 상공당제사의 성격
5. 마을제사의 종류 및 변천
6. 맺음말
박금해|20세기 초 간도지역 기독교계 학교의 설립과 민족교육
1. 머리말
2. 조선인의 간도 이주와 종교적 계몽
3. 기독교계 학교의 설립과 민족교육
4. 민족교육의 실천과 학생들의 반일운동
5. 맺음말
문백란|1920년대 이후 용정 주재 캐나다 선교사들의 활동과 문재린 목사
1. 머리말
2. 북간도 캐나다 선교사와 한인교회
3. 문재린의 활동과 사상
4. 맺음말
여인석|만주와 세브란스
1. 머리말
2. 독립운동을 하는 의사들
3. 용정 제창병원과 세브란스
4. 만주국 설립 이후의 진출 양상
5. 맺음말
제2부 윤동주의 공간(2)-연전과 교토, 송몽규
허경진|윤동주 문학과 연희전문 학풍
1. 머리말
2. 한문시대 서양 유학생 출신 교수들의 합류
3. 문과 강의실의 정인섭과 손진태
4. 한문학 소양 속에 기독교를 받아들인 윤동주의 시
5. 독자에게 떠오르는 윤동주의 이미지, 별?부끄러움?성찰
6. 맺음말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 정한나 역|일본 유학시절의 윤동주와 송몽규
1. 머리말
2. 일본 유학 준비와 입학시험
3. 송몽규의 유학생활
4. 윤동주와 송몽규의 도쿄행
5. 송몽규.윤동주의 ‘독립운동’
6. 맺음말
홍성표|송몽규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1. 머리말
2. 북간도 명동촌의 기독교
3. 민족의식의 형성
4. 연희전문의 기독교 민족교육
5. 맺음말:송몽규와 윤동주
제3부 윤동주의 문학-동주 문학의 새로운 이해
정명교|윤동주 시의 내재적 자질로서의 상호텍스트성
1. 출발점
2. 상호텍스트성의 의미와 위치
3. 상호텍스트성의 일차적 현상:상호텍스트를 통한 상호텍스트성의 실패
4. 윤동주 상호텍스트성의 이차적 현상:계시의 형상화
5. 잠정적인 마무리
김호웅.김정영|윤동주론:순결한 영혼의 고뇌와 저항
1. 머리말
2. 순진무구한 동심에서 소년기의 갈등으로
3. 기독교의 영향과 청년기의 고뇌와 참회
4. ‘탈식민 저항의 3대 유형’과 순교자적 저항
5. 맺음말
강동호|윤동주 시의 기독교적 근원
1. 머리말
2. 평면적 초월성
3. 구조적 계기로서의 모순
4. 시적 실천으로서의 부끄러움
5.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