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알기 쉬운 커뮤니케이션 길라잡이)

오미영, 정인숙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알기 쉬운 커뮤니케이션 길라잡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4993525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05-08-05

책 소개

한국적 현실과 접목시켜 커뮤니케이션학에 처음 입문하는 학부생이나 일반인들이 비교적 쉽게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공부할 수 있도록 씌어진 책이다. 책은 국내 학문 풍토에서 상대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비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인간커뮤니케이션 영역을 높은 비중으로 다룬다.

목차

저자 서문
차례

1장 |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개념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 인간의 중요한 활동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 "커뮤니케이션은 '과정'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 송수신자, 메시지, 채널, 피드백, 잡음, 세팅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 해석의 필요성과 오해의 발생

2장 | 자아와 커뮤니케이션
자아개념(self-concept)
자아개념의 강화
자아의 사회적 구성
자아표현.고프만의 이론
자아노출(self-disclosure)
성(性)과 자아의 사회적 구성

3장 |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특성
자아 커뮤니케이션(Intrapersonal Communication)
대인 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
소집단 커뮤니케이션(Small-Group Communication)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공중 커뮤니케이션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

4장 |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미디어
언어의 기원
사회 발전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등장
언어와 그림, 문자의 발생.원시 및 고대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인쇄기술의 등장.중세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인쇄미디어의 발달.근대 산업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전자시대 개막.현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등장
인터넷 미디어의 등장.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출현

5장 | 커뮤니케이션 모델
라스웰의 모델(1948)
웨이플스 모델(1942)
쉐넌과 위버의 모델(1949)
오스굿의 모델(1954)
슈람의 모델(1954)
거브너의 모델(1956)
웨슬리와 맥린의 모델(1957)
벌로의 모델(1960)
스키마 이론 모델(1973)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델

6장 |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언어의 중요성
언어란 무엇인가?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7장 | 비언어와 커뮤니케이션
비언어란 무엇인가?
비언어의 특성
비언어의 기능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비언어 기술

8장 | 설득과 커뮤니케이션
설득(persuasion)이란 무엇인가?
설득의 요소
귀인 이론
사회판단 이론
정교화가능성 이론
일관성 이론
대칭 이론
인지부조화 이론

9장 | 커뮤니케이션 능력
능력의 개념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황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듣기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문화 차이

10장 | 미디어 결정론
미디어 결정론의 개요
헤롤드 이니스(1894~1952)의 미디어관
시간구속적 미디어와 공간구속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편견
마샬 맥루한(1911~1980)의 미디어관
매체는 메시지이다
핫미디어와 쿨미디어
구텐베르크 시대와 지구촌
맥루한에 대한 비판
미디어와 세대 차이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결정론―테크노폴리
미디어 결정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1장 | 이용과 충족 이론
이용과 충족 이론의 개념 및 전제
이론의 등장 배경: 능동적 수용자론
욕구, 동기, 모티베이션
미디어 이용과 충족
이용과 충족 이론의 장점과 약점
이용과 충족 이론 연구의 방향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2장 | 미디어 의존 이론
미디어 의존 이론의 등장 배경과 개념
미디어 의존 이론의 구성요소
개인의 생활양식과 미디어 의존
미디어 의존 이론의 장단점
이용과 충족 이론과의 유사성
미디어 의존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3장 | 의제설정 이론
의제설정기능의 개념과 등장 배경
의제설정 이론의 주요 개념과 측정
의제설정의 원인과 시간 지체
의제설정의 효과와 측정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개변인
광의의 의제설정 과정
2단계 의제설정: 속성의제설정
의제설정 이론의 가치와 평가
의제설정 이론의 응용분야 및 새로운 방향
의제설정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4장 |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의 개념과 전제
미디어의 배양 효과에 대한 연구 과정과 배경
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
배양 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과 논란
배양 효과에 대한 새로운 연구
폭력물의 효과에 대한 기타 이론

15장 | 문화연구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스튜어트 홀의 문화연구
막강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미디어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
문화연구를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6장 | 침묵의 나선 이론과 제3자 효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개요와 등장 배경
제6의 감각기관
침묵의 이유―고립의 두려움
침묵의 나선 과정과 매스컴의 역할
침묵의 나선 이론의 장단점
제3자 효과 이론(또는 제1자 효과)
침묵의 나선 이론과 제3자 효과 이론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

17장 | 틀짓기 이론과 점화 효과 이론
틀짓기 효과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미디어 틀짓기의 의미와 중요성
미디어 틀짓기의 유형과 영향 요인
점화 효과의 개념
매스 미디어의 점화 효과
틀짓기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18장 | 뉴미디어의 이용과 채택 이론
뉴미디어 이용과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혁 확산 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
채택의 속도와 시기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뉴미디어의 인지된 속성
경로의존 이론(Path Dependency Theory)
뉴미디어 채택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

19장 | 정보격차 이론
정보격차와 디지털 디바이드
지식격차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지식격차가설의 사회적 의미
인터넷 시대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디제라티와 디지털 함정
정보격차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20장 | 커뮤니케이션 정책 결정 이론
커뮤니케이션 정책 과정 이론의 구성
정책 결정의 행위 주체에 관한 네 가지 접근 방법
권력구조 모델
방송정책 결정 체계 모델
정책 갈등과 커뮤니케이션
정책 참여자와 사회조합주의(Societal Corporatism) 정책 모델
정책 결정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저자소개

오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학사, 중앙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아나운서와 한국일보 LA지사 기자를 거쳐 2003년부터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해 왔으며 한국소통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방송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서 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토론 vs. TV토론』(2004), 『방송학의 이해』(공저, 2014)가 있으며, “포스트휴먼 시대 청소년의 정신 건강 : 비대면 대화 매체 사용과 언어폭력 관련성 연구”(공저, 2019), “국내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과 언론사 및 여론조사 신뢰에 대한 연구”(2018),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한계 : 다매체 다채널 환경에서의 정치적 편향성 문제를 생각함”(2017)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하였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커뮤니케이션핵심이론>(2023, 개정판, 공저), <미디어플랫폼의 이해 - 방송에서 메타버스까지>(2022), <새로운 방송론>(2017, 공저),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현대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가 국내 영화 VOD 공급구조에 가져온 변화와 함의 : 홀드백 구조 변화와 갈등이슈를 중심으로”(2021), “글로벌 OTT의 확산에 따른 미래 예측과 정책 대응”(2020), “방송정책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한 평가”(2019), “방송법 개정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방송정책수단’의 변화와 함의분석”(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