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미디어 플랫폼의 이해](/img_thumb2/979112889657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96576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2-12-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미디어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01 미디어의 발달과 사회변화
1. 미디어의 발달과 미디어융합
2. 기술결정론과 사회변화
3. 코로나19와 미디어 윈도의 변화
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가상사회
02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특징
1.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
2.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와 유형
3. 미디어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징
4. 미디어 콘텐츠의 플랫폼 유통구조
5.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기업과 디지털 조세
2부 미디어 플랫폼별 시장구조와 이슈
03 방송 플랫폼의 시장구조와 이슈
1. 방송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2. 방송 플랫폼의 시장구조
3. 방송 플랫폼의 주요 이슈
04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OTT)의 시장구조와 이슈
1. OTT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2. OTT 플랫폼의 시장구조
3. OTT 플랫폼의 주요 이슈
05 소셜미디어 플랫폼(SNS)의 시장구조와 이슈
1. SNS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2. SNS 플랫폼의 시장구조
3. SNS 플랫폼의 주요 이슈
06 포털 플랫폼의 시장구조와 이슈
1. 포털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2. 포털 플랫폼의 시장구조
3. 포털 플랫폼의 주요 이슈
07 메타버스 플랫폼의 시장구조와 이슈
1. 메타버스 플랫폼의 유형과 특징
2. 메타버스의 수익구조
3. 메타버스 플랫폼의 주요 이슈
3부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와 디지털 시민권
08 미디어 알고리즘의 특징과 이슈
1. 미디어 알고리즘의 개념과 특징
2. 미디어 플랫폼 알고리즘의 구성 요인
3. 미디어 플랫폼 알고리즘 관련 이슈
4. 플랫폼 알고리즘 규제의 근거와 동향
09 디지털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디지털 시민권
1. 디지털 플랫폼 자본주의의 특성
2. 디지털 시민권과 민주주의
3. 디지털 시민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를 들면 미국에 콘텐츠 데이터와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OTT 기업의 경우(A법인) 고정사업장이 미국에 있는 것이고 한국의 이용자로부터 월 구독료를 받게 된다. 그리고 한국에는 A법인을 지원하는 회사(B법인)를 설립하여 사업 지원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한다. 이 경우 A법인은 한국 고객을 통해 발생한 수익에 대해 미국에 법인세를 납부하며, B법인은 고정사업장이 없기 때문에 수수료 소득에 대한 법인세만 한국에 납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슈에 대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럽연합(EU)에서는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글로벌 플랫폼 기업에 대해 디지털 조세를 부과하고 있다.
-“02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특징” 중에서
현재 각 나라 지상파방송이 처해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유료 방송 플랫폼이나 OTT와 같은 새로운 경쟁 매체와의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공영방송은 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제도로 알려져 왔으나, 새로운 경쟁 매체가 등장하고 방송산업 전반에 경제원리가 도입되면서, 이러한 가치에 대한 회의와 평가절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03 방송 플랫폼의 시장구조와 이슈” 중에서
다섯째, 소셜미디어는 정치적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플리런(Simplilearn, 2022)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정치사회적 영향에 대해 설명하면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것은 트위터 기반 선거운동에 의한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한편 그는 SNS가 실천적 사회참여를 억제하고 대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행동을 그저 ‘좋아요’를 누르거나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슬랙티비즘(slacktivism)으로 대체시키는 부작용도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05 소셜미디어 플랫폼(SNS)의 시장구조와 이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