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713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7-11-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v
머리말 vii
1장_ 퍼블릭 액세스의 이론적 배경
1. 근대 사회와 공공 영역 3
2. 시민 참여 미디어 이론 10
1) 시민 미디어론 11
2) 미디어 액세스권 이론 18
3) 시청자 주권론 22
4) 대안 미디어론 25
3. 시민 참여 미디어 제도론 28
1) 규제 패러다임의 한계 28
2) 참여 패러다임의 복원 31
참고 문헌 37
2장_ 퍼블릭 액세스 발달사
1. 퍼블릭 액세스의 개념, 역사, 주요국 사례 43
2. 미국의 케이블 액세스 채널 49
1) 법제 및 정책 51
2) 운용 현황 55
3. 캐나다의 케이블 액세스 63
1) 수용자 참여 64
2) 면허 과정 65
3) 재정 65
4) 편성 65
5) 문제점 66
4. 영국의 퍼블릭 액세스 66
1) 수용자 참여 67
2) 면허 과정 68
3) 재정 68
4) 편성 69
5. 독일의 퍼블릭 액세스 69
1) 수용자 참여 69
2) 시민 공개 채널에 대한 규정 70
3) 재정 71
4) 편성 72
참고문헌 73
3장_ 퍼블릭 액세스 방송의 현황 및 사례
1. 세계의 시민참여방송 현황 79
1) 액세스 방송의 근원 79
2) 국가별 운영 현황 80
3) 외국 공공 시민 참여 채널의 사례 83
4) 주요 도시 독립 방송국 현황 86
2. 국내 외 시민참여방송 운영 사례 86
1) 도쿄 MXTV 방문 조사 86
2) 시민방송 RTV 방문 조사 94
3) TV서울 방문 조사 102
4장_ 시민참여방송의 설립 방향-부산 사례 연구
1. 의식 조사를 통해 본 부산 시민참여방송 설립의 필요성 115
1) 조사 목적 115
2) 조사 설계 115
3) 조사 항목 116
4) 조사 결과 117
2. 설립 방안 126
1) 21C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부산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126
2) 기존 방송 매체에 의한 지역 커뮤니티의 한계 133
3) 시민 참여에 의한 액세스 채널의 필요성 대두 145
4) 제도적 기초 148
3. 설립 방향 154
1) 기본 방향 154
2) SWOT 분석과 포지셔닝 160
4. 운용 방안 168
1) 지방화 시대 참여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지역 시민참여방송의 모델 168
2) 부산 시민참여방송을 통한 21세기 새로운 지역사회 비전 제시 169
3) 프로그램 편성 170
4) 방송 시간 및 순환 편성 비율 175
5) 프로그램 확보 방안 175
6) 운용 방안 176
참고 문헌 181
부록 1_ 부산 영상산업의 현황 184
1. 부산 영상산업의 현주소 186
2. 부산 영상산업의 정책적 논의점 189
1) 기존의 부산 영상산업의 논의들 191
2) SWOT 분석 191
3) 부산 영상산업 구조 문제 193
4) 부산 영상산업 인력 문제 194
5) 부산 영상산업 정책 기구 문제 196
6) 부산 영상산업의 향후 발전 추이 197
7) 부산 영상산업의 정책적 특성화 방안 199
3. 부산 영화산업 현황 202
1) 부산국제영화제(PIFF) 205
2) 영화 제작 205
4. 부산 방송 산업 현황 206
5. 광고 산업 현황 207
6. 애니메이션 산업 현황 210
7. 게임 및 컴퓨터그래픽 산업 현황 210
8. 전시 영상 및 테마파크 현황 211
9. 영상 관련 기관 212
1) 부산영상위원회(Busan Film Commission) 212
2) 아시아 영상위원회 네트워크(AFCNet) 213
3)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213
4)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 214
5) 영상벤처센터 214
6) 시네마테크 부산 215
7) 부산 시청자미디어센터 217
10. 관련 대학 현황 219
참고 문헌 221
부록 2_ 시민방송 관련법규
1.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요건 224
2. 정책 공표의 공정성 및 공익성 225
3. 방송채널사업(PP)등록 225
4. 방송법, 시행령, 방송법시행에 관한 방송위원회 규칙 226
미주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