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85482967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09-06-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채권시장의 중요성
채권시장은 ‘꼬리를 흔드는 개’와 같다/ 채권시장은 금리가 결정되는 곳이다/ 금리는 개인 금융에 영향을 미친다/ 신용카드/ 금리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채권시장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리에 민감한 채권시장이 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 경제상황이 중요한 이유/ 채권시장은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채권시장과 정치/ SUMMARY
제2장 채권시장의 구성 요소와 특징
세상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채권/ 오늘날의 채권시장/ 채권시장의 전문화/ 국채전문딜러가 채권시장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채권시장의 규모/ 채권시장만큼 큰 시장은 없다/ 시장규모 평가/ 유동성: 시장 활력, 깊이, 효율성 척도/ 시장 유동성을 측정하는 방법: 매수-매도 호가 차이, 시장 깊이, 가격 투명성/ 시장 깊이/ 가격 투명성/ SUMMARY
제3장 채권의 기초: 기본 요소와 경고문
채권: 채권이란 무엇인가?/ 채권약정서: 채권발행자와 채권소유자 간의 계약서/ 표면금리: 이제는 이표를 절취하지 않는다/ 수의상환 및 차환 조항: 투자자가 되도록 받아들이지 말아야 할 조항이다/ 수의상환수익률과 최저수익률: 중요한 부속 사항/ 상환 요구 조항/ 경상수익률/ 만기수익률/ 경과이자/ 베이시스포인트(bp): 채권전문용어/ 듀레이션: 채권가격 변동성의 핵심지표/ SUMMARY
제4장 채권의 유형
미 재무부채권/ 회사채/ 정부기관증권/ 모기지담보부증권/ 지방채/ 고정수익증권 보유자/
SUMMARY
제5장 채권투자자들이 직면하는 위험: 경계는 하되 두려워하지는 말라
시장위험 혹은 금리위험/ 재투자위험/ 사건위험/ 부문위험/ 수의상환 및 조기상환 위험/ 유동성 위험/ 신용위험 혹은 채무불이행위험/ 수익률곡선 위험/ 인플레이션 위험/ 통화위험/ 헤지위험/ 단주위험/ SUMMARY
제6장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맞서지 말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강력한 역할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존재 이유: 미국의 금융 안정/ 조폐국에서부터 식료품점에 이르기까지: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어떤 방식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가/ 달러화 들여다보기/ 통화정책의 변화는 어떤 방식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구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대토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 반향/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맞서지 말라: 이 지침을 지켜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믿어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관측의 기술/SUMMARY
제7장 수익률곡선: 채권시장의 수정구슬
수익률곡선을 주시해야 하는 3가지 이유/ 진정한 수정구슬/ 재무부채권의 수익률에 가장 주목하는 3가지 이유/ 수익률곡선의 형태에 관한 고전적 설명/ 수익률곡선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10가지 주요 요인/ SUMMARY
제8장 실질수익률: 진정한 메시지가 담겨 있는 지표
실질수익률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실질수익률의 변동 요인/ 실질금리를 향후 경제 상황을 전망하는 지표로 사용하는 것에 따르는 3가지 위험/ 마이너스 실질금리가 필요한 경우/ SUMMARY
제9장 성공적인 금리 예측의 5가지 원칙
성공적인 금리 예측의 5가지 핵심 요소/ 통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많은 것을 이야기해준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연속적 흐름 속에서의 우려/ 경제성장 속도: 어느 정도를 빠른 성장 속도라고 할 것인가?/ 시장의 기술적 조건: 금리 예측의 기본적 사항/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 기술적 분석/ SUMMARY
제10장 튤립에서부터 재무부채권까지: 시장움직임 예측을 위해 시장분위기 파악하기
채권시장 역시 극단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시장은 매수 초과상태인가 아니면 매도 초과상태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다음 거래를 결정한다/ 극단적 시장분위기가 역전되려면 촉매가 필요할 때가 있다/ 풋·콜 비율/ 상품선물거래위원회의 거래현황보고서/ 총 듀레이션 조사/ 2년 만기 재무부채권수익률과 연방기금금리의 차이/ 기타 유용한 시장분위기지표/ SUMMARY
제11장 시장 정보를 수집하는 데 선물시장을 이용하기
선물은 중요한 시장 정보를 제공한다/ SUMMARY
제12장 신용등급: 채권투자자에게 필수적인 도구
신용등급은 투자자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신용평가기관/ 신용등급 체계/ 신용등급 범주/ 신용등급이 채권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신용등급 발표효과/ 신용등급이 유동성, 호가 깊이, 매수-매도 호가 차이 등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신용등급 결정의 방법론/ 신용등급: 고정수익증권 도구상자의 필수 항목/ SUMMARY
제13장 인터넷: 마침내 채권시장 고유의 거래소를 만들어내다
채권은 이미 웹상의 총아로 떠오른 지 오래다/ 전자거래/ 시장투명성 증가/ 시장 조사와 정보 이용 가능성의 증가/ 채권의 발행 및 인수/ 미 재무부채권과 미 저축채권의 매입비용 감소 및 편리성 증가/ SUMMARY
제14장 금리가 정치지형도를 형성하는 방식
미국 독립 이후 경제적 쟁점이 핵심적 정치 쟁점이었다/ 대공황이 정치권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현대의 정치와 금리/ SUMMARY
제15장 경제지표를 투자 성과를 높이는 데 활용하기
경제지표 예측: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융통성: 투자자들이 주안점을 두는 대상은 항상 변한다/ 예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사방법론을 배워라/ SUMMARY
플러스+
경제지표 편람(알파벳순)
Business Inventories 기업재고
Chicago Purchasing Managers Index 시카고구매관리자지수
Construction Spending 건설 지출부문
Consumer Confidence Index 소비자신뢰지수
Consumer Credit 소비자신용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University of Michigan Consumer Sentiment Index 미시건대학교 소비자태도지수
Durable Goods Orders 내구재 주문
Employment Situation 고용 상황
Employment Cost Index 고용비용지수
Existing Home Sales 기존 주택판매
Factory Orders(공장주문)
Gross Domestic Product; GDP 국내총생산
Housing Starts 주택착공
Industrial Production and Capacity Utilization 산업생산 및 생산설비가동률
Initial Jobless Claims 신규 실업보험청구
Index of Leading Economic Indicators 경기선행지수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Report on Business 공급관리협회지수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Nonmanufacturing Index 공급관리협회 비제조업지수
New Home Sales 신규주택판매
Personal Income and Consumption 개인소득 및 지출
Philadelphia Fed's Business Outlook Survey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
Productivity and Costs 생산성과 비용
Retail Sales 소매판매
U.S. Trade Balance 미 무역수지
책속에서
그리고 필자는 이 책 전반에 걸쳐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즉, 여러분은 이 책을 통해 위험 부담의 규모를 증가시켜야 할 때와 감소시켜야 할 때가 언제인지 그리고 각기 다른 경제순환주기에 맞춰 자금을 투자해야 할 곳이 어디인지 찾아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 24~28쪽 중에서
오랜 세월 주식시장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간단한 투자원칙 하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채권시장이 바로 ‘꼬리를 흔드는 개’라는 사실이다. 채권시장이 날개를 퍼덕이면 주식시장이 요동을 친다. 최근의 사건들을 돌아봐도 그렇고 이러한 부분은 과거 역사를 통해서도 충분히 검증된 사실이다.
1998년을 한번 상기해 보자. 이때는 아시아에서 시작되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 퍼져나간 금융위기가 온 세계를 강타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금융대란이 시장을 약화시켰고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은 경색되기 시작했다.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금융상품을 피하고 외환시장을 기피하면서 유동성 부족 위기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금융상품으로 간주되고 있는 미 재무부채권마저도 적극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단기 만기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기가 오래라서 적극적인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중장기채권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했다. 가격 변칙성을 경험해왔던 미 재무부채권시장으로서는 당시 시장의 위기 상황을 더욱 도드라지게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1998년 9월 29일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그해 단행한 총 세 차례의 금리인하 가운데 첫 번째 금리인하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유동성 위기에 반응했다.
첫 번째 금리인하를 단행하면서 내놓은 정책성명서를 통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외국 경제 상황의 악화와 적응력이 떨어지는 국내의 금융 조건이 미국 경제의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금리를 낮추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역기능적인 금융시장이 궁극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전 세계적으로 완전히 무너져버린 투자자의 신뢰를 다시 회복하는 데 금리의 영향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묘약은 역시나 마법을 발휘했고 전 세계 시장이 회복의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예를 들어,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인하하기 두 달 전에 기록했던 최고치 9367.84에서 9월 1일에 7400.03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JIA)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인하 후 두 달 만에 다시 최고가 수준으로 회복됐다. 주가지수가 이렇듯 회복된 것을 보면 금리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1998년에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회복시키는 데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인하 조치가 필요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 같은 금리인하가 앞으로 도래할 경제 및 금융 역사상 가장 폭발적이고 또 가장 끔찍한 시기에 멍석을 깔아주는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이 아마 맞을 것이다.
금리인하 조치는 여러 가지 금융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매우 고전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문제는 이것이 양날을 지닌 칼이라는 데 있다. 이론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금리인하는 경제적 문제가 아니라 시장문제를 다루는 도구로 간주돼왔다. 따라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일단 위기 상황이 극복되면 금리인하 조치를 원위치 시켜야 한다. 그런데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1999년에 경제와 주식시장 모두에 거품현상이 발생했다. 1999년 6월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여섯 차례에 걸친 금리인상 가운데 첫 번째 금리인상 조치를 취했으나 거품시장에 대한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렸고 거품은 더욱 부풀어 올랐다.
아마도 여러분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1999년 6월부터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그러나 주식시장은 강세장에 도취되어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쪽에 대해서는 아예 눈을 감다시피 했다. 또한 주식시장은 채권시장의 동향에 대해서도 등을 돌린 채였다. 그 당시 채권시장에서는 수익률 역전(7장에서 상세히 다룰 것임)현상이 나타나는 등 경제와 주식시장 모두에 불길한 징조들이 발생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