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87350905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06-08-0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제1장 소년에서 군인으로: 박정희의 전前 정치적 생애(1917~1945)
1.가족 배경과 '유기 불안'
2.초등학교와 '가난 체험'
3.대구사범학교와 '심리적 고아'
4.문경초등학교와 '목가적 이상'
5.군인의 길
제2장 시련, 육영수 그리고 정치군인: 군부 지도자가 되는 과정(1945~1959)
1.정체성 위기(1945년 8월 15일~1949년)
2.남로당 사건과 시련의 세월
3.군대 복직과 8기생의 리더
4.육영수의 전통주의
5.박정희의 잡문 분석
6.부산정치파동
7.목표 지향적 '지도자 중심 사상'의 확립
제3장 5·16 쿠데타 그리고 정치 : 1960년대의 사상과 행동(1960~1970)
1.1960년대 초반의 정치적 인식
2.5·16쿠데타와 박정희
3.군정과 박정희
4.한일 국교 정상화와 월남파병
5.1967년 양대 선거와 3선개헌
제4장 유신체제, 국가주의 그리고 파국: 1970년대의 사상과 행동(1971~1979)
1.1970년대 초반의 정치적 인식
2.유신체제의 수립
3.유신체제의 전개
4.유신체제의 붕괴
제5장 박정희는 누구인가? : 박정희의 정치사상과 행동
1.정치사상의 심리적 얼개
2.초기 사회화 과정
3.가치의 혼돈과 '심리적 고아'
4.박정희의 정치사상
5.권력 운용의 방법
6.목표 지향적 리더십
7.실체적 공동체 윤리와 모순적 행동론
맺는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도자 중심 사상의 확립: <지도자도> 분석
군 지휘관 시절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은 그가 이 시기에 목표지향적 '지도자 중심 사상'을 확립했다는 것이다. 박정희는 5.16 쿠데타를 일으킨지 꼭 한 달 만인 6월 16일 <지도자도(指導者道)―혁명 과정에 처하여>라는 소책자를 출판하여 리더십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 <지도자도>는 기존의 박정희 연구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한 자료이지만, 그 내용을 정치적 필요에 의해 왜곡·윤색하지 않고 밝힌 저서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특히 이 자료는 박정희가 직접 작성한 글들이 언제나 그렇듯이 세련된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정연한 논리 체계를 보여준다. 또한 박정희 자신의 권위적이며 비민주적인 사고 체계마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그렇다면 "박정희의 지도자 중심 사상"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이 책에서 박정희는 "민주 사상이 발달된 현대에 와서 지도자는 피지도자와 이해 관계를 공통으로 가진 평등한 지위에서 일보 앞서 그들과 같은 길을 걷는 동지이다"이라고 말했으며, "현대의 지도자란 대중과 유리되어 그 위에 군림하는 권위주의나 특권계급이 아니라 그들과 운명을 같이하고 그들의 편에 서서 동고동락하는 동지로서의 의식을 가진 자라야 한다"며 피지도자에 대한 지도자의 동지 의식을 강조한다.
(...) 그러나 그는 곧 "지도자 중심 사상"이 언제든지 절차적 민주주의를 배제할 수 있는 원리임을 도처에서 드러내고 있다. (...) 박정희는 "의사와 환자의 비유"를 통해 민주주의가 중요한 덕목으로 내세우는 절차를 부정하며 엘리트주의적 지도자론을 역설한다. 또한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와 같은 비상사태"에 처했을 때는 민주주의를 유보할 수 있다고 했는데, 사실 그는 집권 기간 내내 현재를 비상사태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했다. - 본문 157~15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