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87562001
· 쪽수 : 709쪽
· 출판일 : 1997-08-05
목차
머리말 ................................................................................................................................. 5
차례 ...................................................................................................................................... 7
출애굽기서의 서언 .......................................................................................................... 9
하나님의 이름 ................................................................................................................... 11
성막의 구조와 모형도 .................................................................................................... 13
성막의 기구들 ................................................................................................................... 14
대제사장의 복장 .............................................................................................................. 15
약어표 .................................................................................................................................. 16
1 장: 이스라엘 자손들의 증가와 이집트인들의 박해 (1-22) ........................................ 19
2 장: 모쉐[모세]의 출생과 어린 시절 (1-25) ................................................................ 35
3 장: 모쉐[모세]에게 사명을 맡기시는 주님 (1-22) ...................................................... 48
4 장: 주님께서 선택하신 모쉐[모세]와 아하론[아론] (1-31) ..................................... 66
5 장: 이집트 감독들의 탄압과 지도자의 시련 (1-23) ................................................ 85
6 장: 주님의 재(再) 단언(斷言) (1-30) .......................................................................... 99
7 장: 첫 번째 재앙과 두 번째 재앙의 예언 (1-29)..................................................... 116
8 장: 두 번째에서부터 네 번째까지에 재앙들 (1-28) ................................................ 132
9 장: 다섯 번째부터 일곱 번째까지에 재앙들 (1-35) ............................................... 148
10 장: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재앙들 (1-29) ................................................................ 167
11 장: 마지막 열 번째 재앙의 선포 (1-10) .................................................................... 185
12 장: 마지막 법령 (1-51) ................................................................................................... 191
13 장: 기념 의식 (1-16) ....................................................................................................... 221
14 장: 갈대들의 바다에서 일어난 기적 (1-31) .............................................................. 237
15 장: 주님을 찬양하는 모쉐 (1-27) ................................................................................ 256
16 장: 음식의 결핍: 만나와 메추라기 (1-36) ................................................................. 274
17 장: 시련과 전쟁 (1-16) .................................................................................................... 297
18 장: 이트로의 방문과 사법부의 조직 (1-27) ............................................................... 308
19 장: 시나이 산에 나타나신 하나님 (1-25) ................................................................. 323
20 장: 열 가지 말씀들과 참된 예배 (1-23) .................................................................... 337
21 장: 사법(司法)의 제정(制定) I (1-37) ........................................................................ 352
22 장: 사법(司法)의 제정(制定) II (1-30) ........................................................................ 371
23 장: 사법(司法)의 제정(制定) III (1-33) ...................................................................... 386
24 장: 성약(聖約)의 비준(批准) (1-18) ............................................................................ 404
25 장: 증거궤(證據櫃))와 상(床)과 등대(燈臺) (1-40) ................................................ 415
26 장: 성막(聖幕)의 구조 (1-37) ........................................................................................ 437
27 장: 제단의 모형과 성막의 등불 (1-21) ...................................................................... 457
28 장: 대제사장과 대제사장의 복장 (1-43) ..................................................................... 469
29 장: 제사장들의 취임식 (1-46) ....................................................................................... 494
30 장: 주님의 추가(追加) 지시(指示) (1-38) .................................................................. 518
31 장: 건축가의 임명과 안식일의 엄수 (1-18) .............................................................. 536
32 장: 성약(聖約)을 어김: 우상 숭배자들의 죽음 (1-35) ............................................ 545
33 장: 주님의 명령과 모쉐의 청원 (1-23) ...................................................................... 567
34 장: 성약(聖約)의 갱신(更新) (1-35) ............................................................................ 581
35 장: 주님께 드릴 예물과 성막의 기구들 (1-35) ........................................................ 600
36 장: 성막(聖幕)의 건축 (1-38) ........................................................................................ 615
37 장: 성막에서 쓰일 각종에 기구들의 제조 (1-29) .................................................... 633
38 장: 제단 신축과 성막의 구획 및 물자의 계산 (1-31) ............................................ 646
39 장: 대제사장의 복장과 성막의 완성 (1-43) ............................................................... 660
40 장: 성막의 봉헌과 주님의 성령이 나타나심 (1-38) ................................................... 679
참고 문헌 ........................................................................................................................... 694
저자소개
책속에서
히브리어 원전 분해 및 강해 성경, 창세기를 끝내면서 끊임없이 계속되시는 하나님의 말씀 속에 미쳐 살아오다가 나 자신의 부족함과 연약함을 하나님께 고백하는 중에 오묘하신 진리의 말씀에 다시 한번 붙들림을 받게 되어 겸손히 무릎을 꿇어 기도하게 되었고, 주님의 인도하심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면서도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었던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 있어서 히브리어의 근본 의미를 알지 못해서 생기는 오역으로 인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잘못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거나, 아니면 그른 것을 알면서도 고치지는 아니하고 잘못된 것을 그대로 믿고 받아들이려는 부류의 사람들도 있으나, 반면에 진리 탐구에 가슴이 뜨거운 사람들은 누구가는 이에 대한 시정을 해야한다고 하면서 깃발을 든 부족한 종에게 성원을 아끼지 않음을 알게 되었는데, 어쨋든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정확 무오하게 전해야 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믿는 저자는 다시한번 히브리어 원전에 근거하여 잘못 알려진 것에 대한 교정의 시급함을 깨닫고 오랫동안 준비와 불철주야 심혈을 기울이며 연구하여 연이어 히브리어 원전 분해 및 강해 성경, 출애굽기를 내어놓게 되었다.
출애굽기는 구약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에게나 아니면 오늘날 이스라엘 백성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까지도 하나님과 끊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임을 알려주고 있는데, 하나님의 성약을 통한 열 가지 말씀들과 계명들과 율법들을 통하여 인류의 법이 생겨나는 원동력이 되었고, 또한 주님의 세계를성막으로 보여주시므로 말미암아 오늘날 이것이 교회로 발전하게 되어 하나님을 찬양하고 영광을 드리며 구원의 특권을 누리기 위하여 끊임없이 말씀으로 환원하는 삶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
본서의 배경 역시 창세기와 마찬가지로 히브리어의 근본 의미를 찾고자 고대 히브리어의 언어적 표현과 역사적인 근거와 지리적인 위치와 문화적인 배경 등 총체적인 사안을 재검토하지 않으면 안되었기에 부득불 오역된 여러 부분을 우리 글로 정확한 의미를 찾으려 전체를 재 번역하지 않을 수가 없었으며,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강해 및 문법을 자세하게 설명하여 놓았다. 그러므로 본서는 진리를 탐구하는 신학생들이나, 말씀 연구에 필요한 목회자들이나, 또한 말씀의 의미를 알기 원하여 갈급하는 모든 성도들에게는 귀한 지침서가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