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의 문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8767172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7-04-25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8767172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7-04-25
책 소개
<나와 너>로 국내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종교학자이자 철학자인 마르틴 부버의 또 다른 대표 저작. 독일에서 마르틴 부버의 철학사상으로 10년 간 연구한 후 박사학위를 받은 윤석빈씨가 번역을 맡았으며, 길 출판사의 코기토 총서 아홉번째 책이기도 하다.
목차
해제 - 고립된 이성적 존재에서 공동체 인간성으로
옮긴이의 말
제1부 문제의 방향
제1장 칸트의 물음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칸트까지
제3장 헤겔과 마르크스
제4장 포이어바흐와 니체
제2부 우리시대의 사도들
제1장 위기와 위기의 표현
제2장 하이데거의 이론
제3장 셸러의 이론
제4장 전망
연보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고대의 현실적 인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속에서 고향의 느낌을 받았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세계 속에서는 기독교적 현실적 인간이 그러했다. 그러나 헤겔의 세계는 현대의 현실적 인간을 위해 결코 현실적 세계가 되지 못했다. 인류의 사상 속에서 헤겔은 칸트의 인간학적 질문을 단지 한순간 억눌렀을 뿐이다. 그러나 인간의 삶 속에서는, 그는 신시대에 우선적으로 파스칼의 물음 속에서 나타난 거대한 인간학적 불안을 한순간이라도 잠재우지 못하였다.-p104 중에서
현존하는 기독교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비판은 내면적인 비판이다. 그는 기독교를 니체처럼 어떤 허용된 높은 가치와 함께 두지 않았고, 그 가치를 통해 시험하거나 배척하지 않았다. 그에게 어떤 더 높은 가치나 다른 가치는 존재 하지 않았다. 그는 기독교인들에 의해 존속된 기독교를 그들이 믿는다고 사칭하고 전도하는 현실적인 기독교와 비교하여, 이 모든 현실적인 기독교적인 삶을 그들의 거짓된 삶과 함께 비난하였다.-p145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