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 속 지형 이야기

영화 속 지형 이야기

심승희, 장영진, 양희경 (지은이)
푸른길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0원
750원
12,7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화 속 지형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 속 지형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8898769185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7-08-27

책 소개

영화 속 지형이 들려주는 이야기. 세 명의 여성 지리학자가 쓴 이 책은 영화를 통해 지형이라는 주제에 접근코자 한다. 모두 26편의 영화를 통해 10여 가지의 지형을 다루었으며 영화 장면 외에 참고 사진과 그림 등을 추가하여 좀 더 쉽게 지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01 구조 지형_해저에서 기원한 지상의 아름다움 <미션 임파서블 2>와 <델마와 루이스>
02 폭포_암석의 경연차가 만든 아메리카의 상징 <미션>과 <슈퍼맨 2>
03 산지_산, 거부할 수 없는 이끌림
04 극지형_하늘 아래 첫 땅 북극 <아타나주아>
05 화산 지형_현무암으로 빚은 제3의 캐릭터 <연풍연가>
06 화산 지형_볼케이노, 신의 분노? 정복의 대상? <폼페이 최후의 날>, <볼케이노> 그리고 <단테스피크>
07 지진_땅의 갈라짐-신의 뜻? <일본 침몰>
08 카르스트 지형_황야를 더 비극적으로 만든 카르스트 지형 <폭풍의 언덕>
09 카르스트 지형_석회암으로 그린 수묵화 <소림사 2>와 <인도차이나>
10 해안 지형_밀물과 썰물이 만든 삶의 공간 <해안선>, <취화선> 그리고 <시월애>
11 해안 지형_세월의 풍화를 견뎌낸 추억의 퇴적물 <태양은 없다>와 <번지 점프를 하다>
12 건조 지형_사막의 모래알, 그 소유할 수 없는 무한 <잉글리시 페이션트>
13 건조 지형_부르카, 전쟁 그리고 사막 <칸다하르>
14 빙하 지형_빅토리아 여왕이 사랑한 빙하의 땅, 하일랜드 <미세스 브라운>
15 기후 지형_빙하가 녹은 내일, 그리고 디아스포라 <투모로우>
16 복합 지형_자연의 경이로움과 버림의 미학 <반지의 제왕-반지 원정대>
17 복합 지형_두 발로 디디고 눈으로 보며 가슴으로 넘는 안데스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18 한국 지형_한반도라는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 <가을로>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심승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003년부터 청주교대 사회과교육과, 2022년부터는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맡았던 강의는 인간과 환경, 세계문화지역의 이해, 한국지리, 문화역사지리학 등으로 문화지리학 및 장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이 강하다. 그러나 이 책의 번역에 참여하면서 문화지리학과 사회지리학의 경계를 고민하기보다, 현대 공간과 장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에 가로놓인 다양한 경계와 장벽, 그리고 연결성과 교차성 연구의 중요성을 더욱 실감하게 되었다.
펼치기
장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지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1999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역서로 『전환기의 안산』(2006, 공저), 『세계화시대 대기업의 진화』(2007, 공역) 등이 있고 주요 연구로 ‘계약생산에 의한 기업 주도형 유기낙농단지의 형성(2015)’, ‘농업의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설원예농업의 집약화와 공간적 집중화(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양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에서 지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세계 여러 나라와 우리나라 곳곳을 누비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지리교사들, 남미와 만나다》 《영화속 지형이야기》 《서울 스토리》 등을 공동으로 썼습니다. geoyhk@chol.com
펼치기

책속에서

<폭풍의 언덕>에서 두 주인공의 비극적 운명을 예언한 이 독특한 경관의 카르스트 지형은 왜 이토록 황량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또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카르스트 지형이란 석회암으로 인해 발달하는 독특한 지형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폭풍의 언덕>의 배경인 영국 잉글톤의 석회암은 가장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는 석탄기에 형성된 석회암이다. 회색빛을 띠는 석탄기 석회암은 탄산칼슘 성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절리가 많아 물에 의한 용식이 활발해 카르스트 지형이 매우 잘 발달한다. 따라서 잉글톤의 카르스트 지형은 회색빛의 암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용식되어, 에칭처럼 메마르고 거친 듯 황량하면서도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08_황야를 더 비극적으로 만든 카르스트 지형, p.113


<델마와 루이스>에서 그랜드 캐니언은 두 주인공이 자신들의 삶을 포기하고 생을 마감하는 공간이다. 오랜만에 해방감에 들떠 떠났던 여행길에서 그들이 뛰어든 그랜드 캐니언은 경찰로부터, 나아가 남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해방구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보다는 서글픔과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공허한 공간의 이미지가 더 크게 다가온다.-p21 중에서

<시월애>의 배경 장소는 해안 도로와 인접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부 조간대에서 나타나는 두터운 펄 갯벌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이미 고려 시대부터 강화도를 비롯한 석모도, 교동도, 고가도 일대에서 간척사업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간척 사업에서 우선 대상지는 육지에 가깝게 발달된 염습지나 펄 갯벌이기 때문이다.-p142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