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8898769185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7-08-27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01 구조 지형_해저에서 기원한 지상의 아름다움 <미션 임파서블 2>와 <델마와 루이스>
02 폭포_암석의 경연차가 만든 아메리카의 상징 <미션>과 <슈퍼맨 2>
03 산지_산, 거부할 수 없는 이끌림
04 극지형_하늘 아래 첫 땅 북극 <아타나주아>
05 화산 지형_현무암으로 빚은 제3의 캐릭터 <연풍연가>
06 화산 지형_볼케이노, 신의 분노? 정복의 대상? <폼페이 최후의 날>, <볼케이노> 그리고 <단테스피크>
07 지진_땅의 갈라짐-신의 뜻? <일본 침몰>
08 카르스트 지형_황야를 더 비극적으로 만든 카르스트 지형 <폭풍의 언덕>
09 카르스트 지형_석회암으로 그린 수묵화 <소림사 2>와 <인도차이나>
10 해안 지형_밀물과 썰물이 만든 삶의 공간 <해안선>, <취화선> 그리고 <시월애>
11 해안 지형_세월의 풍화를 견뎌낸 추억의 퇴적물 <태양은 없다>와 <번지 점프를 하다>
12 건조 지형_사막의 모래알, 그 소유할 수 없는 무한 <잉글리시 페이션트>
13 건조 지형_부르카, 전쟁 그리고 사막 <칸다하르>
14 빙하 지형_빅토리아 여왕이 사랑한 빙하의 땅, 하일랜드 <미세스 브라운>
15 기후 지형_빙하가 녹은 내일, 그리고 디아스포라 <투모로우>
16 복합 지형_자연의 경이로움과 버림의 미학 <반지의 제왕-반지 원정대>
17 복합 지형_두 발로 디디고 눈으로 보며 가슴으로 넘는 안데스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18 한국 지형_한반도라는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 <가을로>
참고 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폭풍의 언덕>에서 두 주인공의 비극적 운명을 예언한 이 독특한 경관의 카르스트 지형은 왜 이토록 황량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또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카르스트 지형이란 석회암으로 인해 발달하는 독특한 지형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폭풍의 언덕>의 배경인 영국 잉글톤의 석회암은 가장 전형적인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는 석탄기에 형성된 석회암이다. 회색빛을 띠는 석탄기 석회암은 탄산칼슘 성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절리가 많아 물에 의한 용식이 활발해 카르스트 지형이 매우 잘 발달한다. 따라서 잉글톤의 카르스트 지형은 회색빛의 암석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용식되어, 에칭처럼 메마르고 거친 듯 황량하면서도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08_황야를 더 비극적으로 만든 카르스트 지형, p.113
<델마와 루이스>에서 그랜드 캐니언은 두 주인공이 자신들의 삶을 포기하고 생을 마감하는 공간이다. 오랜만에 해방감에 들떠 떠났던 여행길에서 그들이 뛰어든 그랜드 캐니언은 경찰로부터, 나아가 남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해방구로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보다는 서글픔과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공허한 공간의 이미지가 더 크게 다가온다.-p21 중에서
<시월애>의 배경 장소는 해안 도로와 인접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부 조간대에서 나타나는 두터운 펄 갯벌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이미 고려 시대부터 강화도를 비롯한 석모도, 교동도, 고가도 일대에서 간척사업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간척 사업에서 우선 대상지는 육지에 가깝게 발달된 염습지나 펄 갯벌이기 때문이다.-p14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