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8778717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1999-10-06
책 소개
목차
제1장 왜 고려왕조에 주목해야 하나?
1.제3의 역사, 고려왕조 다시 읽기
2.시간 속의 고려왕조
제2장 고려왕조를 이끈 사람들
1.국왕의 세계
2.관료의 세계
3.민의 세계
제3장 민족통합의 모델, 고려왕조의 본관제
1.고려왕조의 특징, 본관제
2.본관제의 특성과 역사적 의의
제4장 벌집구조로 이루어진 다원사회
1.분할적 형태의 재정.경제구조
2.전업적.분업적 형태의 신분.직역 구조
3.벌집구조의 사회 구성, 군현제와 부곡제
제5장 문화와 사회, 다양성과 통일성의 조화
1.다양성과 통일성의 문화와 사상
2.고려문화의 사회적 기반
3.평행의 원리 : 가족과 혼인, 호주와 상속제도
제6장 실리와 공존, 줄타기 외교전술
1.고려왕조기 대외정세 개관
2.등거리 실리외교 : 송.거란.금과의 관계
3.벼랑끝 외교, 원과의 항쟁과 강화
제7장 희망과 기회의 시대를 열다
1.12, 13세기 민의 동향 - 유망과 항쟁
2.14세기 민의 동향 - 하층민의 진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고려문화라고 생각해왔던 청자나 고급 수공업 제품은 문벌들의 문화였고, 통일신라의 석탑문화는 진골귀족의 문화였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상류층의 문화이자, 지배층의 문화인 것입니다. 이런 문화는 양이 아니라 질을 추구합니다. 그에 비해 석불문화로 상징되는 고려의 지방문화는 지방세력과 지방민들의 문화로서, 그 속에는 거대함, 투박함, 역동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달리 양의 문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본문 21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