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811727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목차
11 들어가는 말
21 참고사진
31 Ⅰ. 조선은 천자의 나라로 세계의 중심
33 1. 나는 중국기록이나 다른 나라의 기록은 믿지 않는다.
38 2. 거북선은 태종 때도 있었고 미국에서 거북선 그림들이 발견되다.
43 3. 조선의 영역은 매우 넓고 중국 대륙의 3배 크기
52 4. 조선은 양경제도를 했는데 한경은 서울로서
적현(적봉,홍산)이고 송경은 라성이고 LA에 있었다.
55 5. 라성=송경=개성=LA
64 6. 서울(홍산)과 개경LA 사이에는 최소한 9개의 역참이
있었다
65 7. 제주도는 서울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였다.
67 Ⅱ. 대부분이 위조된 《조선왕조실록》
70 1. 논리적으로 모순된 내용들.
79 2. 《조선왕조실록》 원본이 되는 ‘전주사고 본’은 없다.
82 3. 책의 형식이 다르다.
84 4. 한문은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었다.
86 5. 글자는 정서로 쓰여져야한다.
88 6. 명나라와 청나라의 연호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매우
작은 글씨로 그리고 서체와는 전혀 다른 서체로 쓰여져 있고 너무나 분명하게 오려 붙인 듯한 자국이 선명히
드러나는 것도 있다.
93 7. 《승정원일기》와도 대조해 보아야 하는데 승정원일기는 인조 때와 고종과 순종 때만 한글 번역이 진행되어있다.
94 8. 고려 왕과 조선시대의 왕의 어진이나 왕비들의 초상화가 모두 불타
95 9. 특히 《명실록》과 《청실록》을 비교해보면 《명실록》은
목판본도 아니고 필사본
97 10.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중에 대부분은 지금의 한반도가 바로 조선이라는 나라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수많은 곳에서 강조되고 있고 조작된 것이 보인다.
99 Ⅲ. 삼한三韓 구주九州
101 1. 미국인디언의 샤먼들이 증거한다.
103 2. 인디언 샤먼이 주장하는 3한과 구주
106 3. 미국 일리노이주 버로우스 동굴에서 발견된 구주의 증거물
113 Ⅳ. 中國중국의 뜻과 만주
117 1. 赤縣神州 적현=중국,=서울=신의 도시=
홍산(적봉,붉은산) =케세이=만주=龍神=거란
124 2. 조선왕조실록》에서 적현(赤縣)
131 3. 요나라 지방에서 고려시대의 한글문서 발견
137 4. 赤縣神州의 의미
137 1) 미국에서 신(우주인)그림 다수발견
140 5. 이집트와 고구려 마야
142 6. 미국에서 한글과 비슷한 문자가 나타나다.
145 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종들이 섞인나라.
147 1. 4색당파는 다 인종
153 2. 명성황후는 러시아여자
156 3. 홍산 적봉(서울)은 국제도시였다.
158 4. 고종의 후궁 에밀리는 미국여성
163 5. 일본에서 온 배 백인종을 싣기 위해 황인종을 코리아에 붓다.
167 6. 소도지역이었던 한반도 사람들이 갑자기 늘어나다.
179 Ⅵ. 일본과 미국 & 코리아
181 1. 만주와 코리아
183 2. 이성계의 다른 이름은 티무르
188 3. 세계를 정복한 태종 이방원 영락제
191 4. 백두산은 천산=탱구리산=단군산=하느님산
194 5. 사군육진이란 아메리카
196 6. 전주사고본을 추적하다 전주의 실제 위치를 발견
207 Ⅶ. '임진란' 미국에서 발발
211 1. 아란타는 곧 일본에 속한 군(郡)이었다.
214 2. 중국침공계획을 거절한 펠레페2세 (도요토미히데요시)
238 3. '임진란'의 원인
241 4. 일본은 섬나라가 아닌 반도국가였다.
159 5. '임진란'의 시작 부산포는 어디인가? 루이지애나
272 6. 대마도는 바하마인가?
276 7. '임진란' 발발초기 선조는 어디에 있었나?
284 8. '임진란' 때 일본의 침입로
295 Ⅷ. 켈레해전=한산도대첩
301 1. 강화도 영국 영국공 충렬왕
308 2. 이순신=드레이크경
311 3. 빠른 갤리선
313 4. 포의 사거리가 절대적으로 우세
320 5. 학익진
322 6. 캘레해전 & 한산도대첩
324 7. 평양은 어디인가?
329 8. 왜 '임진란'의 기록물들이 미국에서 발견되고 미국인의 손에 있는가?
333 9. 도요토미히데요시 (펠레페2세)의 도코 궁성 쥬라쿠테
(파라다이스)
343 원고를 마치면서
346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