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인
· ISBN : 9788988182536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06-10-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역사란 무엇인가?
1 역사에 대한 세 가지 단상
2 대한민국 헌법 전문의 정신
제2장 육군사관학교의 뿌리를 찾아서
1 왜 부국강병인가?
2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의 설립과 폐교
3 독립전쟁과 신흥무관학교
4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육군무관학교
제3장 해방정국과 건군
1 광복군의 실망
2 돌아온 군인들
3 미군정과 군사영어학교의 실상
제4장 국방경비대의 창설과 육군사관학교의 설립
1 국방경비대의 창설
2 육군사관학교의 설립
3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군의 확장
제5장 6·25전쟁과 육군사관학교
1 반가운 소식, 생도 제1기 모집공고
2 4년제 정규 사관생도들의 꿈
3 6·25전쟁의 발발, 그날의 새벽
4 육사를 공격한 생도들, 불암산 호랑이
5 생도 유해 발굴, 그리고 못내 안타까운 우리들
6 불멸탑과 6·1탑
7 눈물의 명예졸업장, 그리고 참전생도상 건립
제6장 진해 시절과 개척자적 소명의식
1 전쟁 중에 재개교한 이유
2 왜 하필 진해인가?
3 양심과 법치주의
제7장 원칙과 현실
1 1950년대의 군대와 원칙 장교
2 4·19혁명과 육군사관학교 출신 장교들
3 5·16과 육군사관학교
4 5·16 이후 육사 졸업생이 걸어간 길
제8장 화랑대의 별
1 옥산포 전투의 영웅, 심일 소령
2 풍운의 별, 박정인 장군
3 내가 서 있는 위치에, 강재구
4 영원한 중대장, 정경화
5 조국 근대화의 초석, 박정희
6 영일만의 기적, 박태준
7 통신혁명의 대부, 오명
8 베트남 전쟁과 육사 출신 장교들, 그리고 두코 전투의 영웅들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침 식사는 제대로 했는지, 발은 제대로 닦고 자는지, 혹은 잠 안 자고 모여서 저들끼리 수군대는 고참병들은 없는지 일일이 살펴보는 행동은 이미 그의 몸에 배어 있었다. 소대 막사마다, 혹은 멀리 떨어져 있는 2초소까지 그는 매일 아침이면 이렇게 세심하게 살펴보곤 했던 것이다.
그러던 6월 초 어느 날, 상급부대로부터 하나의 지시가 내려왔다. 철책선 경계부대에서 비무장지대를 정찰하라는 지시였다. 비무장지대 안에는 GP라는 초소가 있기 때문에 그 안의 정찰 임무는 철책선을 경계하는 소위 GOP부대의 임무가 아니었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1974년 11월 15일 판문점 남방 4킬로미터 지점에서 처음으로 땅굴이 발견되었다. 그 충격은 실로 컸다. 바로 2년 전인 1972년 7월 4일 남북한이 이른바 7.4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함으로써 남북 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북한은 평화공세와 더불어 남침 기도를 병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북한의 적화 전략이 전혀 변화하지 않고 있음이 분명해졌다. -- 본문 38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