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깔 모자를 쓴 단군

고깔 모자를 쓴 단군

(부여족의 기원과 이동)

정형진 (지은이)
백산자료원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3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깔 모자를 쓴 단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깔 모자를 쓴 단군 (부여족의 기원과 이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88435601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03-12-10

목차

서장

제1장 고깔모자를 쓴 사람들
1. 동서문화의 교류
2. 초원의 길로 이어진 세계
3. 고깔모자를 쓴 사람들

제2장 부여족의 등장
1. 부여족의 등장
2. 부여족은 망명(亡人)집단이었다

제3장 부여는 프리기아의 후예이다
1. 프리기아의 미다스 왕과 신라의 경문왕
2. 프리기아인은 누구인가

제4장 프리기아의 종교와 부여계의 종교
1. 여신 키벨레
2. 소나무 신 아티스와 부여계의 소나무 숭배

제5장 예(濊)에 관한 고찰
1. 문헌에 나타난 예
2. 예족에 관한 여러 견해

제6장 프리기아와 관련된 나라, 왕, 성(城)이름
1. 국어의 계통
2. <삼국지> 위서 30 오환선비열전 한(韓)조의 '불례구야(不例拘邪)'는 '프리기아'의 음사표기이다.
3. 고구려 수도 국내성(國內城)은 불이성(不而城)이었다
4. 프리기아가 나라 이름이나 성(城)이름으로 사용된 예
5. 우수주(牛首州)의 이칭인 수차야(首次若)는 프리기아의 음사표기이다.
6. 프리기아와 관련된 지도자 명칭들

제7장 후단군의 나라 진번(眞番)
1. 프리기아인들의 이주와 후단군
2. 벌제(伐帝)가 후단군(後檀君)이 되었다
3. 숙신(肅愼)과 조선(朝鮮)
4. 조선(朝鮮)은 요서(遼西)에 진번(眞番)은 요동(遼東)에 있었다
5. 만번한(滿潘汗)은 진번(眞番)의 고도(古都)이다
6. 진번국(眞番國)이 요동에 있었던 이유 8가지
7. 다물도(多勿都)의 비밀이 밝혀졌다

저자소개

정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천년고도 경주로 내려가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 고대사와 고대 종교문화를 연구해오고 있다. 이번에 출간한 『문화로 읽어낸 우리 고대사』는 그의 여섯 번째 저작이다. 저자는 대한민국의 뿌리에 해당하는 역사가 중국 중원지역과 유라시아 초원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교류와 흐름의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그동안의 연구 결과물로 부여족의 기원과 이동에 관한 『고깔모자를 쓴 단군』, 신라왕족의 뿌리에 관한 『실크로드를 달려온 신라왕족』, 단군신화의 주인공인 환웅에 관한 『수시아나에서 온 환웅』, 우리 문화의 흐름을 추적한 『바람타고 흐른 고대문화의 비밀』, 환웅시대부터 삼한이 정립되기까지의 역사를 정리한 『한반도는 진인의 땅이었다』를 펴냈다. 현재 저자의 관심은 통일시대에 통일한국의 역사 정체성 통합과 한·중·일이 공존할 수 있는 고대 동북아역사관 정립하는데 있다. 또한 저자는 지구촌 시대를 열어갈 통일 한국이 가져야할 시대정신으로 풍류도 정신의 부활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음 저작에는 풍류도를 유라시아 문명사의 관점으로 재정립한 내용을 담으려고 준비하고 있다. 저자는 부산 KBS시민대학에서 『삼국유사』와 고대문화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경주에서는 ‘신라얼문화연구원’을 만들어 시민강좌를 꾸준히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