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88906651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01-04-06
목차
서문
제1장 - 기행가사의 개념과 유형
1. 기행가사의 개념
2. 연구자료의 범위
1) 시대구분
2) 여행 목적지별 분류
3) 작가별 분류
3. 기행가사 작품 일람
4. 기행가사의 유형
1) 관유기행가사
2) 유배기행가사
3) 사행기행가사
4) 표류기행가사
제2장 - 연구 목적과 방법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제3장 - 연구사 검토
제4장 - 기행가사에 나타난 서술 양상
1. 서술 전개 방식
2. 대화체의 과감한 구사
3. 체험 시간과 서술 시간과의 거리
4. 서술자의 현실 인식에 의한 다양한 기술
제5장 - 기행가사의 유형별 주제 양상
1. 유가적 삶의 자세 : 관유기행가사
1) 유람을 통한 삶의 진실 모색
2) 현실무상에서 오는 풍류 탐닉
3) 입신양명과 좌절과 재기 의지
4) 풍속과 역사를 통한 주체 의식
2. 유배에서 느낀 삶의 갈등과 극복 : 유배기행가사
1) 죄에 대한 회환과 소망
2) 좌절을 딛고 이어선 호방한 기질
3. 사행에서 본 존숭의식과 자국문화우월의식 : 사행기행가사
1) 숭명멸청우월의식의 중국사행
2) 자국문화우월의식의 일본사행
3) 선진문명에 대한 선망과 갈등
4. 표류 중에 느낀 절망과 여정 : 표류기행가사
제6장 - 기행가사의 문학사적 의의
제7장 - 기행가사의 국어교육적 가치와 교수. 학습 모형
1. 인문학의 위기와 고전 문학 교육
2. 현행 고전 문학 교육에 대한 반성적 접근
3. 고전문학의 국어교육적 당위성
4. 새로운 고전 문학 교육에 대한 발전적 논의
5. 학습자 활동 중심의 문학 교육
1) 학습자 활동 중심 교육의 개념과 가능성
2) 학습자 수준과 취향
6. 기행가사의 창작 원리
1) 노정에 따른 구성의 원리
2) 장면 독립의 원리
3) 현재 시제의 원리
4) 일상적인 의사 소통 방식의 원리
7. 기행가사의 문학 교육적 가치
8. 기행가사 교수.학습 방법의 한 예
9. 소결
제8장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