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과학일반
· ISBN : 978898896424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3-10-05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글
추천의 글
프롤로그|과학이란 무엇인가(대담 토론)
서설|인류사의 거시적 조망
1. '과학혁명' 이전의 과학
고대 오리엔트 과학
원시기의 과학|메소포타미아 과학|이집트 과학|오리엔트 과학의 특질
그리스 과학
미케네 문명|밀레토스 학파|엘레아 학파|피타고라스 학파|아리스토텔레스|알렉산드리아의 과학
인도의 과학
인더스 문명|'우파니샤드'의 시대|'육사외도'와 불교|'바이셰시카'와 '니아야'
중국의 과학
은 문명|제자백가의 시대|과학고전이 집대성된 한나라 시대|육조 이후|중국 과학의 특색
중세의 과학
그리스 과학의 행방|아라비아 과학|서구 라틴 과학
르네상스
르네상스의 의의|르네상스의 조건
2. 과학혁명
과학혁명의 특질
기존 세계관의 붕괴|'과학적 방법'의 확립|지식의 축적|과학지식의 급속한 진보|제도 과학의 성립|과학과 기술의 제휴|사회에 대한 과학의 영향력|과학 주체의 변화
운동론의 내용적 변화
개별 과학에 있어서의 과학혁명|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아리스토텔레스 운동론의 문제점|임페투스 이론|갈릴레이와 근대 역학|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체계|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케플러의 천문학|중력 이론의 선구자|뉴턴의 만유인력 이론|뉴턴의 과학과 신학
과학혁명의 사상적 기반
브루노의 무한우주관|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자연관|베이컨의 자연지배 이념
3. 근대적 생명관의 형성
고전시대의 의학사상
오늘날의 의학|물질로서의 인간 vs. 생명을 가진 인간|'병'에 대한 그리스 시대의 관점|아스클레피오스|히포크라테스|갈레노스|갈레노스 체계
근대 생리학의 길
전통적 체계에 대한 도전|해부|이론과 사실|파브리키우스의 발견|반 갈레노스 체계를 세운 하비|혈액순환론|인체=기계
4. 원자론의 계보
그리스의 원자론
자연현상|그리스의 원자론|레우키포스|데모크리토스|환원주의|무한과 연속
근대 원자론의 탄생
원자론의 쇠퇴|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관|연금술|그리스 원자론의 부활|보일|보일의 화학체계|보일의 이론|데카르트의 영향|원자론과 민주주의
5. 계몽주의 시대
계몽주의
근대의 찬가|계몽주의의 발전|볼테르|백과전서파|자연탐구와 신에 대한 신앙|인간을 위한 과학|진보사관|콩도르세|계몽주의의 역할
계몽주의의 의의
과학과 계몽주의|달랑베르의 예감|새로운 계몽주의
6. 19세기의 제반 양상
18세기에서 19세기로
계몽주의의 심화|독일의 근대화|칸트 철학|철학의 독립|역사학의 성립|경제학의 성립
19세기의 독자적인 발전
산업혁명|영국의 산업혁명|산업혁명의 사회체제 및 사상의 혁명
반계몽주의
낭만주의의 등장|영문학에 나타난 낭만주의|불문학에 나타난 낭만주의|독문학에 나타난 낭만주의|괴테의 뉴턴 비판|반계몽주의의 고양|독일 철학|헤겔 철학|음악에 나타난 낭만주의|러다이트 운동
사회를 보는 관점
사회에 대한 관심|사회주의|실증주의
7. 과학의 새로운 움직임
에너지 개념의 성립
열역학의 발전|칼로릭 이론|와트의 증기기관 발명|카르노 이론|열=운동설|톰프슨의 이론|줄의 이론|마이어의 이론|헬름홀츠의 이론|클라우지우스의 이론
장을 생각하는 방법
빛의 파동설|패러데이|맥스웰
8. 진화사상의 전개
진화론에 이르는 길
정적 우주관의 확립|린제의 한 종류|진화론의 생성|진보사상
생물진화론의 탄생
라마르크|다윈|자연선택설
다위니즘의 영향
근대 서양사상의 붕괴|사회사상의 영향
9. 20세기의 과학
과학기술혁명
과학기술혁명|공리주의와 현대 수학|현대 물리학|새로운 생물학
과학과 국가
과학의 제도화|기업 내 연구기관|국립 연구소|전쟁과 과학
10. 선험주의의 극복
공리주의의 극복
과학만능주의|선험적 자연|역학적 자연관|역학의 타당성|수학의 대상|자명한 진리로서의 공리|평행선 공리|비 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가설로서의 공리|공리주의|공리계의 무모순성|실수의 이론
상대성이론
마흐의 역학 비판|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상대운동과 절대운동|시간·공간 개념의 변화|상대론적 역학|선험주의의 타파
11. 새로운 물리학
미시 세계
X선의 발견|방사능의 발견|전자의 실재|알파선과 베타선|방사성 변환|원자의 실재|X선 회절과 결정구조
확률적 법칙
기체분자운동론|통계학의 발전 과정|속도분포함수|열현상의 불가역성|H정리|두가지의 배리|확률해석|통계역학
과학 이론과 실재
열복사|양자기설|빛의 입자성|소르베 회의|양자와 원자의 구조|스펙트럼과 원자 구조|고전 물리학의 한계|양자역학|불확정성 원리|파동함수의 확률|과학 이론과 실재
12. 자연과학 중심의 학문 재편
과학과 철학의 재결합
물리학과 수학에서의 혁명이 철학에 미친 영향|논리실증주의
생명과 의식을 다루는 방법
왓스니즘|프로이트|분자생물학
유연한 과학의 출현
정보 이론|사이버네틱스
13. 현대 문명과 과학
과학기술의 이데올로기
과학동원|과학기술 정책의 강화|국가적 사업으로서의 과학|과학기술주의
현대는 또 다른 문명 전환기
양에서 질로|요소주의의 반성|결정론의 몰락|서구 중심주의의 종말|'정보혁명'에서 '환경혁명'으로|과학기술의 변혁|세계관의 변혁|문명의 변혁
에필로그|현대 문명과 과학(대담 토론)
편집 노트|1975~2002년의 과학을 개관하며
옮긴이의 글
과학사상사 연표
찾아보기
책속에서
결국 원자론은 물질관으로서 근대 과학의 한 분야인 '화학' 안에 스며들었지만, 단지 거기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 이론과 이념이 17세기의 모든 사상 영역으로 침투됨으로써 하나의 커다란 사상적 흐름을 형성하였다. (p.139 중에서)